베트남서 디프테리아 유행…방역당국, 예방접종·진단검사 당부

 방역당국이 최근 베트남에서 디프테리아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면서 국내 유입 가능성에 주의를 당부했다. 이달 7일 기준 베트남에서 디프테리아 환자가 68명 나왔고 이 중 3명은 사망했다.

 질병관리본부는 10일 베트남 방문객은 출국 전 디프테리아 예방접종을 하고 입국할 때는 증상이 있으면 검역관에게 신고해달라고 요청했다.

 디프테리아는 급성 호흡기 감염병으로 발열, 인후통 등의 증상을 보이고 인두부를 덮는 하얀색 막(위막)이 나타난다. 국내에서는 이 질환을 1급 법정 감염병으로 지정·관리하고 있고, 1988년 이후 국내 환자 발생은 보고되지 않았다.

 그러나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베트남에서 디프테리아 환자가 발생하면서 국내 유입 가능성도 우려되는 상황이다. 지난달부터 이달 8일까지 환승객 5천54명을 제외한 베트남발 입국자는 총 9천203명에 이른다.

 이에 질병관리본부는 베트남에서 국내로 온 입국자 중 발열과 인후통 등 디프테리아 의심 증상을 보이는 사람은 입국 시 검역관에게 신고하고 진단검사를 받아 달라고 당부했다.

 또 입국 시 증상이 없더라도 최장 잠복기인 10일간 건강 상태를 관찰하고 증상이 생기면 보건소나 1339에 문의해 안내를 받을 것을 요청했다.

 베트남에 가야 한다면 출국 전 디프테리아 예방접종을 받아달라고 권고했다.

 한편 질병관리본부는 예방접종으로 디프테리아를 예방할 수 있다면서 표준예방접종 일정을 준수해 달라고 당부했다.

 아이가 태어나면 파상풍·디프테리아·백일해(Tdap) 백신을 접종해야 한다. 생후 2·4·6개월에 기본접종 3회(1∼3차)를 마치고 생후 15∼18개월, 만4∼6세, 만 12세에 추가 접종을 3회(4∼6차) 해야 한다. 만 12세 이후에는 10년마다 디프테리아·파상풍(Td) 백신을 맞아야 한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1∼4차 접종률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0.3~1.5%포인트 정도  높았지만 5차 접종률은 2%포인트 떨어졌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야간 근무자 심혈관질환 위험, 낮에만 식사하면 낮출 수 있어"
심혈관 질환(CVD) 위험을 높이는 요인으로 꼽히는 야간 교대 근무를 하는 사람도 밤에는 먹지 않고 낮에만 식사하면 야간 근무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을 낮출 수 있다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의대 브리검 여성병원 프랭크 시어 교수팀은 10일 과학 저널 네이처 커뮤니케이션(Nature Communications)에서 젊고 건강한 20명을 대상으로 야간 교대 근무를 모방하고 식사 시간을 통제하면서 심혈관 질환 위험 지표 등을 측정하는 임상시험을 실시, 이런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연구팀은 야간 근무자도 낮에만 식사하면 교대 근무 관련 심혈관 질환 위험을 피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이는 교대 근무와 관련된 심혈관 건강에서 식사 시간이 수면 시간보다 더 큰 위험 요소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교대 근무는 많은 연구에서 관상동맥 심장질환(CHD) 위험을 높이는 등 심혈관 질환 위험 요인으로 확인되고 있다. 하지만 이런 위험 증가는 생활방식이나 사회경제적 지위 등의 차이로는 완전히 설명되지 않고 있다. 시어 교수는 야간 근무나 시차 등 일주기 불일치가 심혈관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효과적인 대응책은 아직 확립되지 않았다며 이 연구에서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