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스크로 생긴 피부발진 진정 등 허위·과대 광고 413건 적발

식약처, 속눈썹 영양제 등 온라인 광고 점검…위법 사이트는 접속 차단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황에서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피부 문제를 화장품으로 해결할 수 있는 것처럼 허위·과대 광고한 제품 등이 무더기로 적발됐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온라인 허위·과대 광고로 '화장품법'을 위반한 누리집(사이트) 413건을 적발하고 사이트 접속을 차단하는 한편, 현장 점검을 진행했다고 28일 밝혔다.

 적발된 사례를 보면 마스크 착용이 일상화하면서 생긴 피부 발진이나 여드름 등 피부 문제를 화장품 사용만으로도 해결할 수 있다고 광고한 내용이 많았다.

 이처럼 항염 효과, 피부 재생, 여드름 및 홍조 개선 등을 내세운 광고는 모두 합쳐 318건이었다.

 일부 제품은 '마스크 착용으로 인한 트러블 진정', '손상된 피부 치유' 등의 문구를 내세웠고, 또 다른 제품은 '피부 속부터 손상을 회복한다'고 광고했다고 식약처는 전했다.

 속눈썹 영양제 관련 제품 광고에서도 95건의 위법 사례가 나왔다.

 적발된 광고 중에는 '탈모 예방', '발모 촉진', '속눈썹 모발 성장' 등의 문구를 써 허위·과대 광고한 내용이 많았다.

 식약처 관계자는 "화장품을 살 때 의학적 효능이 있는 것처럼 홍보하는 허위·과대 광고에 현혹되지 않도록 주의해달라"며 "앞으로도 온라인 허위·과대 광고 점검을 지속해서 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