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블루 넘어 코로나 레드…사회 전반에 부정 정서 만연"

언론진흥재단 '코로나19 이후 국민의 일상 변화 조사' 발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한국 사회에 전반적으로 부정 정서가 만연하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한국언론진흥재단은 성인 1천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코로나19 이후 국민의 일상 변화' 온라인 조사 결과 우리 사회가 우울함의 단계인 '코로나 블루'를 넘어 분노의 단계인 '코로나 레드'로 넘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2일 밝혔다.

 코로나19 확산 전과 비교해 일상에서 느끼는 감정은 어떻게 변화했는지 질문한 결과 응답자의 78.0%는 '걱정 또는 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낀다고 답했다.

 또한 '불안 또는 두려움'을 코로나19 이전보다 많이 느낀다는 응답자는 65.4%였다. '짜증 또는 화', '분노 또는 혐오'가 늘었다는 응답은 각각 60.8%, 59.5%로 집계됐다.

 반면, '자긍심 또는 자부심'이 늘었다는 응답은 35.4%, '감사함 또는 안도감'은 29.3%에 그쳤다.

 그러나 미래 사회에 대한 인식은 낙관적으로 조사됐다.

 '우리 사회는 어떤 어려움도 결국 극복할 것'이라고 생각한 응답자는 63.6%로 집계됐으며 '우리 사회는 더 나은 사회가 될 것'이란 응답도 56.7%를 차지했다.

 다만, '혐오와 차별이 증가할 것'(66.9%), '사회 구성원 간 격차가 커질 것'(63.0%), '개인의 자유가 제한될 것'(56.0%) 등 과반의 응답자가 우려를 표명했다.

 이 밖에도 코로나19로 외부활동은 감소하고 재택 활동이 많이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많이 감소한 활동은 여행(85.1%), 공연·예술·극장 영화 관람(83.3%), 오프라인 사교 활동(81.5%) 등이었다. 반면, 미디어 이용(70.3%), 온라인 쇼핑(63.2%), 직접 요리(58.3%)는 크게 늘었다.

 미디어를 이용할 때 어떤 매체·기기를 사용했는지 물어본 결과 코로나19 이전과 비교해 스마트폰(78.9%), TV(68.5%), 개인용 PC(65.7%) 이용량이 증가했다고 답한 응답자가 다수였다.

 반면 종이신문 이용이 감소했다는 응답자는 23.2%로, 증가했다는 응답자 17.6%보다 5.6%포인트 많았다.

 서비스 차원에선 온라인 동영상 서비스(OTT) 이용(65.5%)이 가장 많이 늘었고 포털(63.7%), 유튜브 등 1인 미디어 플랫폼(62.5%), 종편·보도채널·PP(57.8%) 등의 순이었다.

 콘텐츠 차원에서는 응답자의 72.2%가 뉴스 콘텐츠 이용을 늘렸다고 답했으며 이어 예능(55.8%), 드라마(53.8%) 순이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