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콕'에 커지는 층간소음 걱정…매트·귀마개 수요 '쑥'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로 온 가족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늘면서 층간 소음을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상품의 수요가 커지고 있다.

 온라인 쇼핑몰 위메프는 지난해 12월 1일부터 지난달 31일까지 층간 소음을 방지하기 위한 상품의 매출이 늘었다고 16일 밝혔다.

 특히 물건이 떨어져도 큰 소음이 나지 않도록 해주는 충격 흡수 매트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80%, 소음 방지용으로 원하는 장소에 깔았다가 롤 형태로 정리할 수 있는 롤 매트 매출은 95% 증가했다.

 소파와 의자, 책상 등의 다리 끝에 부착하는 소음 방지 패드는 37%, 벽간 소음을 줄여주는 방음재는 12% 더 팔렸다.

 실내 슬리퍼와 러그는 각각 86%, 12%의 매출 증가율을 기록했다.

 층간 소음을 겪고 있는 소비자들이 사용하는 소음 방지 귀마개도 매출이 122% 증가했다.

 한국환경공단 이웃사이센터에 따르면 지난해 집계된 층간소음 관련 민원은 4만2천250건으로 전년 대비 61% 많아졌다.

 위메프 관계자는 "재택근무와 홈스쿨링 등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소음을 줄이기 위한 제품 구매는 계속 증가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