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약류' 식욕억제제 처방 1년간 133만명…여성이 91.4%

연령대별로는 40대 가장 많아…3개월 초과 처방 5.8만건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1년간 우리 국민 133만명이 의료용 마약류에 해당하는 식욕억제제를 처방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2019년 11월부터 2020년 10월까지 마약류통합관리시스템에 보고된 의료용 마약류 식욕억제제 사용 현황을 분석해 이런 사실을 확인했다고 21일 밝혔다.

분석 결과 이 기간 전체 국민 5천184만명 중 133만명(2.6%)이 식욕억제제를 사용했다. 국민 39.1명 중 1명 수준이며, 의료용 마약류 전체 사용자 1천756만명의 7.6%다.

성별로 보면 여성이 119만명(91.4%)으로 압도적으로 많았다. 남성은 11만명(8.6%)이었다. 연령대별로는 20대부터 40대가 주로 사용했으며, 40대가 29.4%로 가장 많았다.

성분별로는 펜터민(83만명), 펜디메트라진(61만명), 암페프라몬(12만명) 순서로 사용한 환자가 많았다.

식욕억제제 처방은 대부분 4주 이하로 이뤄져야 하지만 3개월 넘게 처방된 경우도 5.8만건(0.9%)이었다. 평균 처방일수는 21일이었다.

식약처는 식욕억제제 처방 현황과 통계를 담은 '의료용 마약류 안전사용을 위한 도우미' 서한을 의사에게 온라인으로 발송한다. 서한은 전체 의료용 마약류 및 식욕억제제 사용현황, 본인의 처방 현황 등을 담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암 진단뿐만 아니라 치료·면역까지 유도하는 나노물질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은 암 진단은 물론 치료, 면역 반응까지 유도하는 나노물질을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항암 치료에 쓰이는 기존 수술, 방사선 치료, 항암화학요법은 암 조직뿐만 아니라 정상 조직에까지 손상을 가한다는 부작용이 있다. 지름 1∼100(㎚·10억분의 1m) 크기 나노물질은 암세포와 병변 부위를 정밀하게 표적해 약물을 전달할 수 있어 부작용이 적으면서도 효과는 뛰어난 차세대 암 치료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표준연 나노바이오측정그룹은 암 부위의 위치와 상태를 실시간으로 확인해 치료하고, 면역 반응 체계도 활성화할 수 있는 나노물질을 개발했다. 금 사이에 철을 넣은 나노디스크(나노 원형 형태) 형태의 삼중 층 구조로, 종양 부위에 자석을 대면 철의 자성으로 인해 나노물질을 쉽게 끌어당길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광음향 영상(조직에 레이저 빛을 쪼여 발생하는 초음파 신호를 이용해 조직 내부의 정보를 얻는 영상 기법) 기능을 탑재해 종양의 위치와 물질의 전달 과정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다. 연구팀은 쥐 실험을 통해 종양 부위에 나노입자가 축적되는 과정을 추적, 치료에 가장 효과적인 시점이 물질을 투여한 뒤 6시간 지난 시점이라는 점을 확인했다.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