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술 덜 마셨다…주류회사 줄줄이 실적 부진

주점·유흥업소 영업제한 영향…하이트진로는 선전

 지난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외식과 모임이 줄면서 주류회사들의 실적이 부진한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롯데칠성음료의 지난해 별도기준 매출은 2조1천620억원으로 전년보다 7.7% 줄었다.

 영업이익은 972억원으로 10.8% 감소했다.

 롯데칠성음료는 칠성사이다 등의 음료와 함께 소주 '처음처럼'과 맥주 '클라우드' 등의 주류를 판매한다.

 맥주 '카스'를 판매하는 오비맥주의 지난해 매출은 1조3천529억원으로 12.3%, 영업이익은 2천945억원으로 28.0% 감소했다.

 위스키 업체들은 더 큰 타격을 받았다. 코로나19 사태로 주요 판매처인 유흥업소 영업이 수시로 중단됐기 때문이다.

 국내 토종 위스키 회사인 골든블루의 지난해 매출은 1천270억원으로 24.8%, 영업이익은 202억원으로 5.2% 감소했다.

 위스키 '윈저'와 '조니워커'를 보유한 디아지오코리아의 매출은 2천4억원으로 32.6%, 영업이익은 200억원으로 59.4% 급감했다.

 또 위스키 '임페리얼', '발렌타인', '시바스 리갈'을 보유한 페르노리카코리아의 매출은 916억원으로 11.7% 줄었다. 반면 영업이익은 161억원으로 흑자 전환했다.

 디아지오코리아와 페르노리카코리아의 실적은 2019회계연도(2019년 7월~2020년 6월) 기준이다. 

 소주 업체들도 실적 부진을 겪기는 마찬가지다.

 소주 '좋은데이'의 무학의 지난해 매출은 1천360억원으로 전년 대비 10.4%, 대선주조는 712억원으로 17.0%, 한라산은 189억원으로 11.7% 각각 줄었다.

 소주 업체들은 대체로 영업이익은 흑자를 냈지만 큰 실적 개선은 없었다.

 이는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로 식당·주점의 영업시간이 오후 9~10시로 제한되고 유흥주점의 영업은 수시로 금지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말부터는 5인 이상 사적모임 금지로 회식도 불가능한 상황이다.

 주류업계의 한 관계자는 "홈술과 혼술이 늘었다고 하지만 외식시장 타격이 워낙 커 전체 주류 판매는 줄었다"며 "지난해 가정시장의 술 소비가 8~9% 정도 늘었다면 외식시장에선 20~30% 빠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말했다.

 주류회사 중에는 하이트진로가 유일하게 선전하는 모습을 보였다.

 하이트진로의 지난해 매출은 2조493억원으로 12.0%, 영업이익은 1천808억원으로 125.2% 증가했다.

 2019년 내놓은 맥주 '테라'와 소주 '참이슬'의 서브 브랜드 '진로이즈백'의 꾸준한 인기 덕분으로 보인다.

 테라는 출시 100일 만에 판매 수량이 1억 병을 돌파한 데 이어 지난해 12월에는 13억 병을 넘었다.

 [표] 연도별 주류회사 실적 (단위: 억원)

 

연도 롯데칠성음료 하이트진로 오비맥주  
매출 영업이익 매출 영업이익 매출 영업이익
2020 21,620 972 20,493 1,808 13,529 2,945
2019 23,432 1,090 18,301 803 15,421 4,090
2018 23,233 876 16,576 900 16,981 5,145
2017 22,793 746 16,649 835 16,635 4,941
연도 골든블루   디아지오코리아 페르노리카코리아
매출 영업이익 매출 영업이익 매출 영업이익
2020 1270 202 2004 200 916 161
2019 1688 213 2973 493 1037 -74
2018 1637 217 3035 372 1038 196
2017 1605 290 3257 568 967 164
연도 무학   대선주조   한라산  
매출 영업이익 매출 영업이익 매출 영업이익
2020 1,360 28 712 111 189 1
2019 1,518 -123 858 102 214 -3
2018 1,775 -91 812 105 232 -1
2017 2,313 289 507 41 241 15

 

※ 별도기준. 디아지오코리아·페르노리카코리아 지난해 실적은 2019년 7월~2020년 6월 기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