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배·건설 노동도 거뜬'…기계연, 근육 옷감 로봇 개발

팔뚝·허벅지 등 필요한 부위에 부착해 사용

 한국기계연구원은 박철훈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택배부터 건설 노동까지 근력이 필요한 작업 현장에서 쓸 수 있는 근육 옷감 로봇 기술을 개발했다고 14일 밝혔다.

 웨어러블 로봇은 크게 아이언맨 슈트처럼 딱딱한 외골격형과 스파이더맨 슈트처럼 부드러운 의복형으로 나뉜다.

 연구팀은 스파이더맨 슈트처럼 가볍고 부드러우면서도 근육처럼 스스로 힘을 낼 수 있는 의복형 웨어러블 로봇 기술을 개발했다.

 머리카락 굵기의 4분의 1 정도인 20㎛(1㎛는 1천분의 1㎜) 두께의 형상기억합금을 스프링 형태의 실로 만든 뒤 옷감을 짜듯 근육 옷감을 직조했다.

 실제 옷감처럼 자르거나 접을 수 있고, 무게도 6.6g 정도로 가볍다.

 팔뚝, 허벅지 등 힘이 필요한 신체 부위에 붙여 근력을 보조받을 수 있다.

 전류 흐름에 따라 근육처럼 수축과 이완을 반복하며 힘을 내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자체 무게의 1천500배에 달하는 10㎏까지 들어올릴 수 있다.

 연구팀이 다리나 팔에 근육 옷감을 붙인 뒤 앉았다 일어서기, 계단 오르기, 무거운 짐 들기 등 실험을 진행한 결과 평소 사용하던 근력의 절반만 써도 동작을 수행할 수 있었다.

 박철훈 책임연구원은 "택배, 돌봄노동, 건설 노동 등 작업환경뿐만 아니라 가정에서도 착용형 재활기기, 마사지기 등에 적용할 수 있다"며 "근력 보조 의복형 웨어러블 로봇기술을 이전해 대량생산을 추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