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육아 도맡은 남성 1만3천명으로 '역대 최다'

 지난달 육아를 도맡은 남성이 통계 작성 이래 가장 많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19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비경제활동인구(만 15세 이상 인구 중 취업자도 아니고 구직 활동도 하지 않는 사람) 가운데 육아를 전담한 남성은 1만3천명으로 1년 전보다 6천명 늘면서 관련 통계 조회가 가능한 1999년 이래 최다치를 기록했다.

 증가 폭도 2018년 3월(6천명) 이후 가장 컸다.

 육아 상태인 남성은 초등학교 입학 전인 미취학 아동을 돌보기 위해 집에 있는 이들을 말한다.

 취업 중 육아휴직을 한 이들은 일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간주해 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되기 때문에 이 수치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장기적으로 보면 남성 육아 인구는 점점 더 늘어나는 추세다.

 10년 전(2011년 3월) 육아 상태인 남성 비경제활동인구는 3천명에 불과했으나 올해 들어서는 1월 1만1천명, 2월 9천명, 3월 1만3천명 등으로 줄곧 1만명에 가까운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반면 지난달 육아를 전담한 여성은 1년 전보다 9만3천명 줄어든 111만2천명을 기록했다.

 이는 10년 전(148만5천명)과 비교하면 37만3천명 감소한 수준이다.

 절대적인 규모 자체는 여전히 여성이 훨씬 크지만, 추세적으로 보면 남성 육아 인구는 늘어나는 반면 여성 육아 인구는 줄어들고 있는 것이다.

 연령별로 보면 육아를 전담한 남성은 30∼40대가 대부분이었다.

  통계청 마이크로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육아 상태인 남성 가운데 30대가 41.1%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40대가 33.4%로 뒤를 이었다 그 외 60세 이상(17.9%), 50대(7.5%) 등 순이었다.

 육아 상태인 남성 가운데 10명 중 7명 이상(74.5%)은 3040 세대였던 셈으로, 은퇴한 뒤 손주를 돌보는 노인층보다 한창 일할 나이에 육아를 선택한 젊은 아빠들이 더 많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육아가 여성의 몫이라는 고정관념이 점차 흐려지면서 남성 육아휴직자도 함께 늘어나고 있다.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지난해 민간 부문에서 육아휴직을 낸 남성은 2만7천423명으로 전년(2만2천297명)보다 23.0% 증가했다.

 전체 육아휴직자 가운데 남성의 비율도 24.5%로 상승했다.

 그러나 전체 육아 상태 비경제활동인구(112만6천명) 중 남성의 비율이 1%대에 불과한 점을 고려하면 여전히 육아 부담은 여성에게 쏠려 있는 상황이다.

 국회예산정책처는 이달 발표한 '2020년 합계출산율 현황과 정책적 시사점' 보고서에서 "여성의 경력 단절 우려와 돌봄 인프라 부족으로 출산을 기피하는 현상이 나타나면서 지난해 합계출산율과 출생아 수가 모두 통계 작성 이래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지적했다.

 예정처는 "합계출산율 회복을 위해서는 남성과 여성 모두에 대한 실질적인 양성평등을 바탕으로 적극적인 가족정책과 이민정책을 펴야 한다"고 제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