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면제 장기 복용, 수면 개선 효과 없어"

 불면증에 처방되는 수면제는 오래 복용해도 수면이 전혀 개선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대학 의대 브리검 여성병원의 대니얼 솔로몬 역학 교수 연구팀은 수면제를 1~2년 복용해도 수면의 질이나 수면 시간은 개선되지 않는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사이언스 데일리가 12일 보도했다.

 연구팀은 전국 여성 건강 조사(SWAN: Study of Women's Health Across the Nation) 참가자 중 수면장애로 수면제를 복용하고 있는 238명과 수면장애는 있지만 수면제를 사용하지 않는 447명(평균연령 49.5세)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수면제 복용자들에게 처방된 약물은 불면증, 불안장애 등에 널리 처방되는 ▲신경안정제 벤조디아제핀(benzodiazepine) ▲벤조디아제핀과 약효는 비슷하지만 같은 계열의 수면제는 아니고 약명이 Z로 시작되는 Z-약물(Z drug: 졸피뎀, 조피클론 등) ▲항불안제, 항우울제이지만 적응증외(off-label)로 사용되는 다른 수면제들이었다.

 연구팀은 우선 ▲잠들기 어려움 ▲자다가 자주 깸 ▲너무 일찍 잠이 깸 등 3가지를 수면장애로 규정하고 연구 대상자들에게 각 항목마다 1~5점까지 점수를 매기도록 했다.

 항목 마다 매일 어려움이 없는 경우는 1점, 일주일에 5일 이상 어려움이 있는 경우는 5점을 매기게 했다.

 연구 시작 때 이 3가지 항목의 점수는 수면제 그룹이 각각 평균 2.7점, 3.8점, 2.8점이었고 수면제를 먹지 않는 대조군은 2.6점. 3.7점, 2.8점이었다.

 그로부터 1년 후 각 항목의 점수는 수면제 그룹이 2.6점, 3.6점, 2.8점으로 거의 변화가 없었다.

이는 1년 후 대조군의 점수 2.3점, 3.5점, 2.5점과도 별 차이가 없었다.

 2년 후에도 수면제 그룹의 각 항목 점수는 대조군보다 나아지지 않았다.

 이는 수면제는 오래 복용해도 수면을 개선하는 데는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따라서 수면제는 어쩌다 한 번씩 단기간(일주일 또는 며칠 밤) 사용해야 한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수면제라고 부작용이 없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인 부작용은 낮에 졸리는 것과 몸의 균형을 잡지 못해 쓰러지는 것이다. 특히 수면제를 먹고 자다 한밤중에 깨 화장실에 갈 때 이런 일이 잦다.

 또 습관성이 생겨 수면제에 의존하게 될 수 있고 나이가 들면서 기억력에 문제가 나타날 수도 있다.

 미국 수면 의학학회(American Academy of Sleep Medicine)의 수면 의학 전문의 파리하 아바시-페인버그 박사는 불면증에는 인지행동 요법(cognitive behavioral therapy)이 효과적인 치료법이라고 말한다.

 인지행동 요법은 수면을 방해하는 머리 속의 생각들과 행동에 대처하고 스트레스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된다고 그는 밝혔다.

 이 연구 결과는 '브리티시 메디컬 저널'(BMJ Open) 온라인판에 실렸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與 "생명관련 필수의료수가 대폭인상·민간도 공공수가 적용"
집권 여당인 국민의힘이 응급의학과, 산부인과, 소아청소년과 등 필수의료 분야 기피 현상을 해결하고자 생명과 관련된 필수의료 행위에 대한 수가를 대폭 인상하고, 민간 의료기관이라도 필수 의료를 수행하면 공공정책 수가를 적용하는 내용을 담은 필수의료육성법 제정을 추진하기로 했다. 또 필수의료 분야에서 의료사고 발생 시 의료인에 대한 민·형사상 부담을 완화하는 내용을 담은 의료법·형사처벌특례법 재·개정도 함께 추진하기로 했다. 국민의힘 '지역필수의료 혁신 태스크포스' 위원장인 유의동 정책위의장은 12일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TF의 지난 2개월여간 논의 결과를 설명하며 이같이 발표했다. 의대 정원 확대를 둘러싸고 정부와 대한의사협회가 합의점을 찾지 못하자 의사단체가 요구하는 주요 보완책 등을 의대정원 확대와 함께 추진하겠다는 의지를 밝힘으로써 의료계 달래기에 나선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유 정책위의장은 이날 지역필수 의료제도 개선을 위해 TF가 ▲ 지역 간 의료불균형 문제 해소 방안 ▲ 필수의료인력 육성 방안 ▲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근무하는 의료 인력 지원 방안 등 세 가지 방안을 마련했다며 "논의 결과를 정부에 전달해 정부가 추진하는 지역 필수 의료정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