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도 가볍게"…'홈술' 유행 속 무알코올 맥주 '인기'

마켓컬리 1~5월 무알코올 주류 판매 376% 증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집에서 가볍게 술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무알코올 주류가 인기를 끌고 있다.

 7일 온라인 장보기몰 마켓컬리에 따르면 지난 1~5월 무알코올 주류 판매량은 작년 동기 대비 376% 증가했다.

 가장 인기 있는 주종은 맥주로, 전체 무알코올 주류 판매량의 61%를 차지했다.

 칭따오, 호가든, 칼스버그, 하이네켄 등 해외 유명 브랜드의 무알코올 상품이 많이 팔리는 편이다. 같은 브랜드라도 병보다는 캔 상품 판매량이 2배가량 높았다.

 국내 주류법상 알코올 도수가 1% 미만인 비알코올 음료와 0%인 무알코올 음료는 모두 '무알코올 주류'로 분류된다.

 알코올 도수가 낮은 제품을 많이 찾으면서 안주도 '가벼운' 제품이 인기를 누렸다.

 조사 기간 막창, 대창, 오도독뼈, 닭근위 등 대표 술안주 제품 판매량은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었지만 먹태 등 건어물 판매량은 31% 증가했다.

 김스낵, 황태 스낵 등의 판매량도 61% 뛰었다.

 마켓컬리 관계자는 "체중 관리에도 신경을 쓰기 위해 알코올 도수와 칼로리가 낮은 제품을 많이 찾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