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상 눈 결막 홍합접착단백질·양막으로 재생

포항공대·동아대병원 연구팀 개발…기존 봉합실 사용보다 수술시간 줄어

 손상된 눈 결막을 홍합과 양막으로 재생하는 방법이 개발됐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 연구팀(맹성우 석박사통합과정, 박태윤 박사)이 동아대학교병원 안과 박우찬 교수 연구팀(민지상 박사)과 함께 홍합접착단백질을 이용해 수술용 봉합실 없이 양막을 이식하는 수술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양막은 태반 안쪽 배아를 덮고 있는 막으로 배아를 둘러싸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는 상피 재생을 촉진하는 인자들이 많아 이식을 통해 안구 표면을 재건하는 데 많이 활용된다.

 다만 현재 양막 이식 수술에서는 봉합실을 사용해 꿰매고 안구 표면에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 때문에 안구 표면에 흉터가 남고 양막의 두께가 얇아 정교한 봉합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연구팀은 홍합접착단백질에 기반한 광가교 접착제 '픽스라이트'를 이용해 결막 결손이 있는 토끼 모델의 안구 표면에 이식해 관찰했다.

 그 결과 봉합실을 이용한 기존 이식 방법보다 5배 이상 빠르게 수술을 마칠 수 있었고, 결막 재생 치료 효과도 기존 봉합실 이용법을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생체소재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트 헬스케어 머티리얼스' 온라인판에 실렸다.

 광가교 홍합접착제 픽스라이트는 현재 네이처글루텍에 기술이전을 완료해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다.

 차형준 포항공대 교수는 "홍합접착단백질이 다양한 의료 분야에서 봉합실을 대체하는 안전한 생체접착제로서 폭넓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우찬 동아의대 교수는 "양막 이식은 안구 표면 재건에서 중요한 수술인데 광가교 홍합접착제를 이용해 양막 이식을 빠르고 안전하게 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결막 이식 등 안구 표면의 다른 이식 수술이나 백내장 수술 후 절개창의 봉합과 같은 다른 안과 수술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본 다"고 밝혔다.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생존율, 마음에 달려…긍정적 태도 따라 4.63배 차이"
말기 암 환자의 생존율은 환자가 삶에 대해 어떤 마음을 먹느냐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긍정적인 마음으로 문제 상황을 적극적으로 해결하려는 태도가 있는지와 우울증 여부에 따라 생존율이 4.63배 차이가 났다. 서울대병원 가정의학과 윤영호 교수·교육인재개발실 윤제연 교수 연구팀은 생존 기간이 1년 이내로 예측된 암 환자 144명을 대상으로 삶에 대한 긍정적 대처(Proactive Positivity)가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 이런 결과를 확인했다고 20일 밝혔다. 긍정적 대처란 환자가 위기 상황에서 감정적으로 무너지지 않고 삶의 방향을 주체적으로 재정비하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를 칭한다. 부정적 감정을 긍정적 의미로 재해석해 수용하고, 문제에 직면했을 때 적극적으로 해결 방안을 모색·실천할 때 높다고 평가된다. 연구팀은 긍정적 대처 능력의 높고 낮음과 우울증 유무에 따라 환자들을 4개 그룹으로 나눈 뒤 이들의 1년 생존율을 비교했다. 그 결과 긍정적 대처 능력이 낮고 우울증이 동반된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사망 위험이 4.63배 높았다. 반면 긍정적 대처 능력이 높은 환자는 우울증 유무에 따른 사망 위험의 차이가 없었다. 즉,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