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상 눈 결막 홍합접착단백질·양막으로 재생

포항공대·동아대병원 연구팀 개발…기존 봉합실 사용보다 수술시간 줄어

 손상된 눈 결막을 홍합과 양막으로 재생하는 방법이 개발됐다.

 포항공대(포스텍)는 화학공학과 차형준 교수 연구팀(맹성우 석박사통합과정, 박태윤 박사)이 동아대학교병원 안과 박우찬 교수 연구팀(민지상 박사)과 함께 홍합접착단백질을 이용해 수술용 봉합실 없이 양막을 이식하는 수술 기술을 개발했다고 9일 밝혔다.

 양막은 태반 안쪽 배아를 덮고 있는 막으로 배아를 둘러싸서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에는 상피 재생을 촉진하는 인자들이 많아 이식을 통해 안구 표면을 재건하는 데 많이 활용된다.

 다만 현재 양막 이식 수술에서는 봉합실을 사용해 꿰매고 안구 표면에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 때문에 안구 표면에 흉터가 남고 양막의 두께가 얇아 정교한 봉합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술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

 연구팀은 홍합접착단백질에 기반한 광가교 접착제 '픽스라이트'를 이용해 결막 결손이 있는 토끼 모델의 안구 표면에 이식해 관찰했다.

 그 결과 봉합실을 이용한 기존 이식 방법보다 5배 이상 빠르게 수술을 마칠 수 있었고, 결막 재생 치료 효과도 기존 봉합실 이용법을 효과적으로 대체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연구 결과는 생체소재 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트 헬스케어 머티리얼스' 온라인판에 실렸다.

 광가교 홍합접착제 픽스라이트는 현재 네이처글루텍에 기술이전을 완료해 임상시험을 앞두고 있다.

 차형준 포항공대 교수는 "홍합접착단백질이 다양한 의료 분야에서 봉합실을 대체하는 안전한 생체접착제로서 폭넓게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박우찬 동아의대 교수는 "양막 이식은 안구 표면 재건에서 중요한 수술인데 광가교 홍합접착제를 이용해 양막 이식을 빠르고 안전하게 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 결막 이식 등 안구 표면의 다른 이식 수술이나 백내장 수술 후 절개창의 봉합과 같은 다른 안과 수술에도 적용 가능할 것으로 본 다"고 밝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