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 발견 40주년 성소수자 인권의 달…"치료하면 전파 안돼"

40년간 치료제 급속 발달…'타이레놀'보다 작은 크기
"동성애가 에이즈 확산의 원인 아냐…'교육 부족'이 문제"

 

 2021년 6월은 인류가 에이즈(AIDS·후천면역결핍증후군)라는 질환을 최초로 발견한 지 40년이 되는 해에 맞은 성 소수자 인권의 달(프라이드 먼스·Pride Month)이다.

 그간 의료기술은 에이즈를 유발하는 바이러스에 걸려도 비감염인과 동일한 수명을 기대할 수 있을 정도로 발달했지만, 질병에 대한 잘못된 정보로 인한 사회적 낙인과 과도한 공포는 여전하다.

 ◇ "HIV 감염자, 치료받으면 전파 가능성 제로"…하루 한 알만으로도 효과 내는 치료약 상용화

김태형 순천향대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에이즈를 유발하는 HIV(인체면역결핍바이러스)에 걸린 사람 중에서도 약물치료를 잘 받고 콘돔을 잘 활용하는 환자들은 바이러스 전파 가능성이 '제로'"라고 말했다.

 에이즈는 HIV와 다르다. HIV는 에이즈를 일으키는 원인 바이러스이며 에이즈는 바이러스 감염 이후 질병이 진행돼 나타나는 면역 결핍증을 의미한다.

 HIV는 완치되지 않지만, 질환 초기에 치료하면 면역 기능이 향상돼 비(非)감염인과 동일한 수명을 기대할 수 있다.

 김교수는 'U=U'(Undetectable=Untransmittable) 원칙, 즉 꾸준한 치료제 복용으로 HIV 바이러스가 미검출되면 전파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거듭 강조했다.

 HIV 치료제는 다국적 제약사 GSK가 1987년 세계 최초로 개발한 '레트로비어'(성분명 지도부딘)를 시작으로 꾸준히 출시됐다.

 여러 알씩 복용해야 했던 치료제들이 최근에는 하루 한 알만으로도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며, 식사와 상관없이 복용이 가능해 타인에게 치료제 복용 사실을 노출하지 않아도 된다. 특히 개발 초기보다 알약의 크기가 줄어들어 이제 '타이레놀'보다도 작다.

 지난해에는 길리어드사이언스의 HIV 치료제 '빅타비'(성분명 빅테그라비르·엠트리시타빈·테노포비르 알라페나미드)가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은 매출을 올린 의약품 9위에 오르기도 했다.

 ◇ "동성애가 에이즈 유발?…교육·검사 부족이 원인"

 HIV 검사를 활성화해 감염자를 조기에 찾아내고 병원 방문과 약 복용을 독려하면 지역사회 에이즈 확산을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에이즈에 대한 과도한 공포와 환자에 대한 사회적 낙인은 여전하다.

 일각에서는 2019년 HIV·AIDS 신규 감염 신고자 1천222명 중 91%에 해당하는 1천111명이 남성이라는 통계를 들며 '동성애가 에이즈를 유발한다', '동성애를 없애야 에이즈가 없어진다'는 주장이 제기되기도 했다.

 김 교수는 "HIV가 항문성교 위주의 동성간 성교로 잘 전파되는 건 맞다"라면서도 동성애 자체를 HIV 확산의 원인으로 볼 수는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여성에게 방광염 발병률이 높다고 해서 여성 인구를 줄여야 한다는 주장은 안 하지 않느냐"면서 "성관계 시 콘돔 사용 교육, HIV 검사 및 치료 필요성을 교육하지 않는 사회에 책임이 있다고 봐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에이즈에 대한 일반인들의 이해도 부족한 것으로 확인됐다.

 질병관리청이 2019년 전국 만 15세 이상 59세 이하 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면담 조사를 한 결과를 보면, 포옹이나 악수 등 가벼운 접촉으로 에이즈에 걸리지 않는다는 지식은 상대적으로 높았으나 키스, 식사, 변기 사용 등 좀 더 긴밀한 접촉으로는 에이즈에 걸릴 수 있다고 답한 사람들이 상당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로 HIV가 전파되려면 노출된 바이러스양이 감염을 일으키기에 충분해야 한다. HIV 바이러스는 감염된 환자의 혈액, 정액, 질 분비물, 모유 등에 있으며 흉수나 뇌척수액에는 적은 양으로 존재한다.

 또 HIV 바이러스가 혈류로 들어가야 한다. 질이나 직장 점막을 통해 체내로 들어가거나, 주삿바늘을 통해 혈관 내에 직접 들어가거나, 상처 등 벗겨진 피부 속이나 눈, 코, 음경의 끝부분 점막을 통해 혈관에 바이러스가 침입할 경우 감염이 이뤄진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