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벌이 오히려 아이 망친다"…9개국 연구 분석 결과

"공격성, 반사회성 등 장기적으로 문제 행동 증가시켜"
학계, 대안으로 '좋아하는 것 막기' 등 맞춤형 제재 제안

 체벌이 아이의 행동과 사회성 등을 개선한다기보다 오히려 악화시킨다는 사실이 세계 각국의 연구 결과로 다시 확인됐다고 CNN방송이 2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 텍사스대학 연구팀이 미국, 캐나다, 중국, 일본, 영국 등 9개국의 관련 연구 69건을 분석해 이날 의학 전문지 랜싯에 발표한 연구 논문 결과다.

 연구팀은 엉덩이 때리기(spanking)를 비롯해 부모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체벌 방법을 분석 범주에 포함했다. 말로 하는 훈육이나 물건 집어 던지기, 뺨 때리기, 발로 차기 등 '학대' 범주에 들어가는 가혹한 구타 행위 등은 포함하지 않았다.

 체벌을 통한 긍정, 부정적 효과가 함께 나타난 연구도 일부 있었지만 대다수 연구에서는 매우 부정적인 영향이 다수 확인됐다고 연구팀은 지적했다.

 이번 연구 논문 선임 저자인 엘리자베스 거쇼프 텍사스대 교수는 체벌이 오히려 "아이들의 발달과 행복에 해를 끼친다"라고 결론 내렸다.

 거쇼프 교수는 "부모들은 아이들의 행동을 개선할 수 있다는 생각에 매를 들지만 그런 부모들에게는 불행하게도 체벌이 아이들의 행동을 개선하기보다 오히려 악화시킨다는 분명하고도 설득력 있는 증거가 연구에서 발견됐다"라고 말했다.

 거쇼프 교수는 특히 체벌이 공격성, 반사회성, 학교에서의 분열성 행동을 증가시키는 등 장기적으로 아이의 외적 행동에 문제를 유발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19개 관련 연구 가운데 13개 연구에서 이런 부분이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일부 연구에서는 체벌이 '분노 발작'으로 규정되는 반항장애, 규칙을 따르기를 강하게 거부하는 성향, 악의성과 보복 성향을 키우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또 콜롬비아에서 진행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체벌을 받은 아이들의 경우 그렇지 않은 아이들보다 인지 능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확인됐다.

 체벌의 부정적 효과는 부모의 성향과 관계없다는 연구 결과도 있었다. 부모가 온화한 스타일이라고 해서 체벌에 따른 아이의 문제적 행동 증가라는 부정적 효과를 '완충'할 수 없다는 것이다.

 소아과 전문의들은 체벌을 대신하는 훈육의 기술로 아이가 좋아하는 것을 못하도록 한다든가, 벌을 세우는 등 아이의 발달 단계에 맞춰 다른 방법을 찾을 것을 조언한다고 CNN은 소개했다.

 아이가 떼를 쓰는 것은 부모의 관심을 갈구하는 행동이므로, 이때 체벌로 제압하기보다 아이의 관심을 다른 곳으로 돌려 욕구를 해소하는 방법을 찾아야 한다는 것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