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가 영상통화로 구급대원에 응급처치 지도…전국 확대 운영

 소방청은 현장 구급대원과 당직 의사가 영상통화로 환자에 필요한 조처를 상담·지시하는 '현장 영상 의료지도 시스템'을 다음 달부터 전국으로 확대 운영한다고 30일 밝혔다.

 구급대원이 심정지 환자에게 기도 삽관 등 전문적 응급처치를 하는 경우 의사에게 의료지도를 먼저 받아야 하는데, 음성통화로 의료지도를 받는 경우 현장 상황과 환자 정보를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소방청은 구급대원과 의사가 모바일 앱으로 영상통화를 할 수 있는 현장 영상 의료지도 시스템을 구축했다.

 이 시스템을 활용하면 의사에게 현장 영상을 제공하고, 구급대원은 실시간으로 의사의 지도를 받아 신속·정확한 응급처치를 할 수 있다.

 또 최대 16명까지 동시에 영상통화를 할 수 있어 119상황실·구급대원·의사 등 모든 인력이 상황을 관찰하며 신고접수부터 병원이송까지 체계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앞서 소방청은 올해 2월부터 4개월간 대전·세종·충북·충남 등 충청권역 4개 소방본부에서 시스템을 시범 운영해 총 62명의 급성 심정지 환자의 생명을 살렸다.

 한편 현재 전국에는 총 414명의 응급의학 전공의 지도의사가 구성돼 있고, 24시간 교대근무로 권역별 구급대원에게 의료지도를 시행하고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