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주 소나기와 폭염 함께 찾아…그늘 들어가도 '땀 줄줄' 무더위 지속

낮 더위 주춤하지만 열대야 기승…남부로 폭염 확대

 다음주 소나기와 폭염이 함께 찾아오면서 햇빛을 피해도 무더운 날씨가 이어질 전망이다.

 또 비와 구름으로 인해 낮 더위는 다소 주춤하겠으나 열대야가 기승을 부리고, 폭염이 중부지방에서 남부지방으로 확대되는 양상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기상청은 29일 온라인 정례 브리핑을 통해 그동안 우리나라를 덮었던 북태평양고기압이 다소 물러나고 우리나라 주변으로 저기압성 소용돌이가 일면서 다음날부터 고온의 수증기가 유입될 가능성이 크다고 예보했다.

 덥고 습한 수증기로 인해 그늘로 들어가도 시원하지 않은 무더위가 이어질 것이라는 게 기상청의 설명이다.

 또 대기가 불안정해짐에 따라 다음달 1∼2일은 충남권과 전라권, 경북권에 소나기가, 2∼3일은 동풍의 영향으로 강원 영동에 비가 올 것으로 보인다.

 이 기간 예상되는 낮 최고기온은 35도 내외로 지금과 비슷하거나 조금 낮은 수준이다.

 기상청 관계자는 "소나기와 구름의 영향으로 기온 상승이 제한돼 낮 기온이 40도 가까이 오르는 폭염이 발생할 가능성은 작다"고 말했다.

 다만 여전히 더운 날씨는 이어지고, 특히 아침 예상 최저기온은 23∼27도로 열대야가 계속 이어지겠다.

 지금까지의 폭염이 수도권을 포함한 중부지방을 중심으로 나타났다면 다음주에는 점차 남부지방으로 확대되는 것도 주의해야 할 점이다.

 기상청은 다음주께 남부 내륙의 노점온도가 크게 올라가는 것으로 예측됐다면서 호우성 소나기와 무더위에 대한 철저한 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8월 초 이후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이 다시 확장할 수 있다.

 기상청 관계자는 "8월 2∼3일 이후 어떤 기압계든 재배치될 수 있는 상황"이라며 "현재 동쪽으로 수축된 북태평양고기압이 다시 확장하면서 빈자리를 채울 가능성이 큰 편"이라고 설명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긴 연휴에 아이 열나면?…부모가 꼭 알아야 할 대처요령
올해 추석 연휴는 개천절과 임시공휴일, 한글날이 이어지면서 무려 1주일의 황금연휴가 됐다. 가족과 함께 오랜만에 여유를 만끽할 기회지만, 어린 자녀를 둔 부모라면 긴 연휴가 마냥 반갑지만은 않다. 낯선 지역을 방문하거나 문을 여는 병원을 찾기 어려운 상황에서 아이가 갑자기 열이라도 나면 당황하기 쉽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이런 때일수록 불안해하기보다 차분하게 아이의 상태를 살피고, 연휴 전 미리 방문할 지역의 응급 의료기관을 확인해두는 게 중요하다고 조언한다. ◇ 아이 발열은 정상 면역반응…"잘 먹고 잘 자면 해열제 불필요" 발열은 바이러스나 세균이 몸에 침투하는 과정에서 생기는 정상적인 면역반응으로, 체온이 38도 이상일 때를 말한다. 39∼40도 이상이면 고열로 분류된다. 발열 자체가 곧 위험 신호는 아니다. 아이가 열이 있으면서도 평소처럼 잘 먹고, 잘 놀고, 잘 자는 상태라면 지켜보는 것으로 충분하다. 다만, 만성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열로 인해 질환이 더 악화할 수 있는 만큼 해열제를 먹여야 한다. 발열 후에는 아이의 전신 상태를 꼼꼼히 살피는 것이 중요하다. 기침, 가래, 천명, 쌕쌕거림 등의 증상이 동반되면 폐렴이나 모세기관지염을, 다른 증상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