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이바이러스 연달아 출현' 백신 효과있나…"중증 예방능력 충분"

KAIST 신의철 교수 "델타, 람다 지나가도 백신접종 정책 유지해야"
한국과총·과기한림원·의학한림원, '변이코로나19 감염과 대책' 공동포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팬더믹 이후 변이 바이러스가 연달아 출현하면서 변이 바이러스가 코로나 백신 접종 효과를 떨어뜨리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이에 대해 국내 전문가들은 현재 국내 접종에 사용중인 코로나 백신은 변이 바이러스에 감염됐다고 하더라도 중증도를 예방하는 능력이 충분하고, 향후 추가 변이가 나오더라도 백신 접종 정책을 유지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또 이른 시일 내 코로나19 감염에 취약한 면역저하자 등을 대상으로 한 2차 접종 이후 추가 접종(부스터샷) 계획을 세워야 한다는 조언도 내놨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의과대학 신의철 교수는 2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대한민국의학한림원이 공동 주최한 '변이형 코로나19 감염과 대책' 포럼에서 "변이 출현으로 감염을 막는 백신의 효능은 다소 떨어지고 있지만 중증을 예방하는 백신 능력은 거의 손상되지 않았다는 게 중요한 교훈"이라고 강조했다.

 한국바이러스기초연구소 연구센터장이기도 한 신 교수는 그동안 코로나19 연구에서 지나치게 중화항체의 기능만을 따져봤다며 델타, 람다형 변이 바이러스가 지나간 뒤에 나타날 새로운 코로나19 변이에 대응하려면 백신 접종은 꼭 필요하다고 말했다.

 신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코로나19 감염 후 회복되거나 백신을 맞으면 방어 면역인 중화항체와 기억T세포가 형성되는데, 중화항체는 시간이 지나면서 감소하지만 기억T세포는 계속 살아남아 중증 진행을 막는 역할을 한다.

 신 교수는 "단기적으로는 현재 백신 프로그램을 유지해 중증도를 약화하는 현실적인 목표를 달성해야하고, 부스터샷을 통해 변이 바이러스를 커버할 능력을 키워야한다"고 제안했다.

 아울러 "당장의 문제는 아니지만 일부 미국 제약사들이 준비 중인 특정 변이에 대응하는 백신 개발, 모든 코로나 바이러스를 광범위하게 커버하는 백신의 개발도 진행될 수 있을 것"이라고 그는 말했다.

 이날 포럼의 또 다른 발표자인 고려대학교 의과대학 송준영 교수는 앞으로 부스터샷의 중요성이 강조될 것으로 예측했다.

 송 교수는 "지금까지 연구 결과를 봤을 때 백신을 맞은 일반인의 경우 최종 접종 후 6개월∼12개월 시기에 부스터샷을 맞는 게 효과적"이라며 "면역저하자, 얀센 백신과 같이 1회 백신 접종을 마 친 사람들은 6개월 이내 부스터샷 조기 접종을 고려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심뇌혈관질환 24시간 진료' 지역센터 10곳 신규지정…공모 시작
보건복지부는 심뇌혈관질환의 응급·전문 진료를 24시간 담당하는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10곳을 신규 지정키로 했다. 복지부는 지난 2일부터 오는 13일까지 '심뇌혈관질환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라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지정 기관을 공모한다. 지정 예정인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는 10개 곳으로, 지역 내 심뇌혈관질환자의 급성기 응급·전문진료를 24시간 제공한다. 심뇌혈관질환 예방 관리에 대한 홍보·교육,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와의 협력 체계도 구축한다. 이번 신규 지정은 지난 8월 발표된 의료개혁 1차 실행방안 중 지역완결 의료체계 구축의 일환으로 추진됐다. 중증·응급도가 높은 심뇌혈관 질환에 대해 지역에서 적기에 적절한 의료 대응이 이뤄질 수 있도록 지원한다는 취지다. 복지부는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 지정으로 심뇌혈관질환의 지역 간 격차를 해소하는 동시에 중앙-권역-지역 대응체계가 완비될 것으로 기대했다. 현재 국가 지정 심뇌혈관질환센터로는 올해 1월 지정된 중앙심뇌혈관질환센터(서울대병원)와 전국의 권역심뇌혈관질환센터 14곳이 운영 중이다. 공모에는 종합병원급 의료기관이 참여할 수 있다. 선정되면 내년 1월부터 3년간 지역심뇌혈관질환센터로 지정되고 이후 평가를 통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