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 60시간 근무하면 40시간 근무자보다 자살 생각 가능성 2배 높아"

성인남녀 1만4천600여명 근무시간·정신건강 상관관계 분석 결과

 장시간 근무가 신체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악영향을 끼친다는 점을 시사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주당 60시간 이상 근무하는 사람은 주당 40시간 근무하는 사람에 비해 자살을 생각할 가능성이 2배 이상이었다.

 순천향대 부천병원 응급의학과 조영순·한상수 교수 연구팀은 국민건강영양조사(2013∼2018)에 참여한 성인남녀 1만4천625명의 근로 시간과 우울, 자살 충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연구 결과를 최근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이들을 주당 근무 시간에 따라 ▲ 31∼40시간(5천383명·36.8%) ▲ 41∼50시간(4천656명·31.8%) ▲ 51∼60시간(2천553명·17.5%) ▲ 60시간 초과(2천33명·13.8%)로 나눠 분석했다.

 그 결과 주당 31∼40시간 근무자를 기준으로 했을 때 주당 41∼50시간 근무자의 우울 위험은 1.3배였다. 주당 41∼50시간 근무자는 1.5배, 주당 60시간 초과 근무자는 1.61배에 달했다.

 자살 생각을 한 적이 있는지 등을 설문해 분석했을 때도 유사한 경향이 나타났다. 주당 60시간 초과 근무자가 자살을 생각할 위험은 주당 31∼40시간 근무자의 2.3배였다.

 우울감과 자살 생각에 영향을 미칠 만한 외부 요인을 모두 보정한 결과다.

 한 교수는 "주당 법정 노동시간인 40시간 이하를 기준으로 했을 때 근무시간이 길어질수록 우울감이 커졌다"며 "자살 생각의 경우 60시간을 초과했을 때 두드러지게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그는 "장시간 노동이 고혈압이나 당뇨병과 같은 신체적 질환뿐만 아니라 정신 건강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을 확인한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비만약 '마운자로' 국내 상륙…릴리, 직접 판매 돌입
글로벌 제약기업 일라이 릴리의 비만 치료제 '마운자로'(성분명 터제파타이드)가 15일 국내에 출시됐다. 릴리가 국내 제약사들과 공동 판매를 논의 중이라는 관측이 있었지만 출시 초기에는 직접 판매 방식을 택하기로 했다. 제약바이오업계에 따르면 한국릴리는 이날 마운자로를 국내 출시하고 공급 계약을 체결한 도매업체들을 통해 오는 20일부터 마운자로 유통을 시작할 예정이다. 이에 따라 이르면 21일부터 각 의료기관에서 환자들에게 처방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상급종합병원의 경우 약사위원회(DC)를 통과해야 하므로 시간이 더 걸릴 수도 있다. 릴리는 출시 시점에서는 마운자로를 직접 판매하기로 해 직접 계약된 도매상들을 위주로 유통이 진행된다. 그동안 업계에서는 2~3개 국내 제약업체가 마운자로를 공동 판매할 가능성이 있다고 제기했다. 한국릴리는 환자 중심 가치를 바탕으로 국내 환자 및 의료진분들에게 원활하게 치료제를 공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며 마운자로를 필요로 하는 국내 2형 당뇨병 및 비만 환자분들에게 치료제를 가장 빠르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계속해서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마운자로 공급가격은 저용량인 2.5㎎과 5㎎ 4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