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다중이용시설 냉온수 13.5%에서 레지오넬라균 검출

 

 (수원=휴먼메디저널) 박희수 기자 = 지난해 경기도내 종합병원, 대형 목욕탕, 호텔 등 다중이용시설에서 채취한 온수와 냉수 시료 706건 중 13.5% 95건에서 레지오넬라균이 검출됐다.

 10일 도 보건환경연구원에 따르면 시설별 검출 건수를 보면 종합병원 40건(42%), 대형 목욕탕 23건(24.2%), 요양병원 7건(7.4%), 호텔과 대형 쇼핑센터 각각 6건(6.3%) 순이다.

 온수 시료에서 60건(63.2%), 냉각탑수에서 13건(13.7%), 저수조에서 3건(3.2%) 이 검출됐다.

 이번 점검은 지난해 6∼12월 도내 종합병원, 목욕탕, 쇼핑센터, 호텔 등 195곳에서 진행됐으며, 53곳에서 기준치를 넘는 레지오넬라균이 검출됐다.

 한 냉각탑수에서는 기준치를 80배 이상 초과하는 레지오넬라균이 검출되기도 했다.

 연구원은 검사 결과와 다중이용시설 관리 시 청소, 소독 등 방법을 알리고 관리를 강화하도록 시·군에 통보했다.

 레지오넬라균은 3급 법정 감염병인 레지오넬라증 원인균이다. 레지오넬라증은 냉각탑수, 대형목욕탕 욕조수 등에 존재하던 레지오넬라균이 증식해 호흡기를 통해 감염되는 질환이다.

 감염되면 폐렴이나 독감 증세를 동반한다. 최근 4년간(2018∼2021년) 도내에서는 354명의 환자가 발생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 마련…폐암 등 진료지침도 개발
정부가 한의학을 기반으로 지역 내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하고, 한의원 등 일차의료를 지원할 근거를 마련한다. 또 폐암 등 5개 질환 한의 표준 임상 진료지침을 개발하고, 한의학 경쟁력 강화를 위해 해외 대학에 한의약 전공을 개설한다. 보건복지부는 22일 올해 1차 한의약육성발전심의위원회 회의를 열고 이런 내용을 심의했다. 복지부는 한의약 육성법에 따라 한의약 육성 발전 종합계획을 5년마다 수립하고, 이를 토대로 매년 시행계획을 수립한다. 제4차 종합계획(2021∼2025년)상 마지막인 올해 시행계획에는 건강·복지 증진, 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세부과제가 담겼다. 복지부는 올해 시행계획에 따라 지역의 장기요양센터, 주간보호센터 등과 함께 한의학 기반의 의료-요양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또 한의원 등 일차의료 지원 근거도 만든다. 복지부는 거동이 불편해 병원에 가기 어려운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의료 한의 방문진료 수가(의료서비스 대가) 시범사업을 벌이고 있는데, 이 사업을 점검해 지원 규모 등을 검토한다는 계획이다. 작년 12월 현재 시범사업 참여 의료기관은 총 2천639곳이다. 또 첩약 건강보험 적용 2단계 시범사업의 중간 평가, 의·한 협진 5단계 시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