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러스 분포 분석 스마트 방역로봇 개발

한국기계연구원, 최적의 살균 동선을 산출하고 방역

 한국기계연구원은 인공지능(AI)을 활용해 최적의 살균 동선을 산출할 수 있는 스마트 방역 로봇을 개발했다고 19일 밝혔다.

 기존 자율방역 로봇은 사람이 없는 공간에서만 작업하거나, 공간 내 바이러스 분포 상태를 고려하지 않은 채 무작위로 방역을 해 효율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제기돼왔다.

 이번에 개발한 로봇은 AI를 기반으로 실내 공간에 머무는 사람을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이러스 분포를 분석하는 '확률 바이러스 지도작성 알고리즘'을 탑재했다.

 실내에 사람이 머무는 위치와 시간 등 데이터를 폐쇄회로(CC)TV로 확보한 뒤 이를 바탕으로 바이러스가 밀집된 지역을 추정해 최적의 살균 동선을 산출하고 방역을 수행한다.

 인공지능기계연구실 김창현 실장은 "무인 카페나 식당 같은 다중 이용시설에 스마트 방역 로봇을 바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정갈등에 비상진료체계 2년째…올해 지속시 건보적자 1.7조↑
의정 갈등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자 정부가 2년째 가동하고 있는 비상진료체계가 올해도 계속될 경우 건강보험 누적 적자액이 대폭 증가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16일 국회예산정책처가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진선미 의원실에 제출한 '건강보험 재정 전망'에 따르면, 정부가 작년 2월부터 가동 중인 비상진료체계를 올해 말까지 유지할 경우 건강보험 누적 적자액이 1조7천억원 늘어난다. 이는 비상진료체계를 작년 말에 종료했다고 가정한 추계값과 비교한 결과다. 비상진료체계는 보건의료 위기 시 중증·응급환자 진료 등을 독려하기 위해 정부가 건강보험 재정을 이용해 의료기관을 지원하는 제도다. 보건복지부는 작년 2월 의료개혁 4대 과제와 의대 정원 2천명 증원 계획 발표 후 전공의가 집단 사직하는 등 의정 갈등이 본격화하자, 보건의료재난 위기경보 최상위 단계인 '심각'을 발령했다. 이와 함께 비상진료체계를 가동해 일부 진료에 대한 건강보험 수가를 한시적으로 인상하고, 수련병원에 건보 급여를 선지급하는 등 매달 2천억원 안팎의 건보 재정을 투입했다. 정부는 비상진료체계를 위기경보 심각 단계 해지 시까지 가동할 계획이다. 정부가 작년 2월부터 올해 1월까지 비상진료 건강보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