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주요 신문 톱뉴스](8일 조간)

▲ 경향신문 = 재택치료 모니터링, 고위험군만 한다

▲ 국민일보 = 국민의힘 의원 55명 "단일화 반드시 필요"

▲ 매일일보 = 공급망 불안·고유가 기업 '재고' 비상

▲ 서울신문 = 선 넘은 편파 판정…쇼트트랙 '쇼크'

▲ 세계일보 = 무증상·경증환자 '셀프 치료' 전환

▲ 아시아투데이 = '단일화' 주도권 싸움 시작됐다

▲ 일간투데이 = '카드'가 왜?

▲ 조선일보 = 국민이 알아서…'각자도생 방역' 전환

▲ 중앙일보 = 한국 부동산 관련세 OECD 1위에 올랐다

▲ 한겨레 = 무증상·경증 확진자는 '셀프 관리'

▲ 한국일보 = 황당한 실격·실격…격 잃은 올림픽

▲ e대한경제 = 진단키트 유통시장 대혼란…무너진 방역대책

▲ 디지털타임스 = "文정부 무모한 실험 대통령 리스크 끝판"

▲ 매일경제 = 외환보유액 뚝 뚝…국가신인도 경고등

▲ 브릿지경제 = 재택치료, 60세 이상·고위험군만 집중관리

▲ 서울경제 = 사립대 年2000억 적자…"투자커녕 생존도 힘들다"

▲ 아시아타임즈 = 월급 빼고 다 올랐다…서민 살림 '팍팍'

▲ 아주경제 = 퇴직연금제 개편에 10배 커진 OCIO 시장…금투업계 군침

▲ 에너지경제 = 삼성·현대차 "실패를 기회로"…中·日시장 재공략

▲ 이데일리 = 집값 안전 아닌 양극화…강남불패 이어지나

▲ 이투데이 = 예견된 먹통…자영업자 두 번 울린 손실보상시스템

▲ 전자신문 = 이재명 59.01% vs 윤석열 64.24% '부정 키워드'

▲ 한국경제 = 전국 건설현장 덮친 인플레

▲ 전국매일 = 고위험군만 재택치료…그외는 셀프관리

▲ 경기신문 = "리본택시·수원e택시가 뭐예요" 홍보부족·이용 불편 호출 외면

▲ 경기일보 = 차기 도지사 한치 앞 모른다

▲ 경인일보 = 대법판례 무시하는 질병판정위…노동자 가슴은 무너진다

▲ 기호일보 = 인천 사회복지 종사자 급식비·관리자 수당 받는다

▲ 신아일보 = 주말에도 3만명 돌파…일상회복 재추진 '빨간불'

▲ 인천일보 = 인천시장 박남춘 19.8%-유정복 15.6% 양강

▲ 일간경기 = 고양시 JDS지구개발…자족도시 도약

▲ 중부일보 = 수원·화성 80만명 전투기 추락위험 노출

▲ 중앙신문 = '광교 신청사' 시대 막 올라…첫 임시회

▲ 현대일보 = '영신군 이이묘' 문화재현상변경 허가심의 회의록 조작 정황

▲ 강원도민일보 = '지방소멸대응기금' 서울·수도권까지 '쪼개기' 논란

▲ 강원일보 = 고속도로 30분 내 진입 도내 60% 지역 불가능

▲ 경남도민신문 = 고위험군만 모니터링…일반 확진자 스스로 관리

▲ 경남도민일보 = 도의원 정수 증원하면 5개 도시는 선거구 증가

▲ 경남매일 = 비음산 터널 개설 청신호 켜졌다

▲ 경남신문 = 기약 없는 '경남 일본군 위안부 역사관' 건립

▲ 경남일보 = 사라진 꿀벌, 왜?

▲ 경북매일 = '코로나 빈곤층' 폭증…14만 넘어서

▲ 경북일보 = 셀프 치료·자가격리 앱 폐지…'K방역' 백기 들었나

▲ 경상일보 = 확진자 급증 지자체 생활지원비 부담 가중

▲ 국제신문 = 분권개헌 李 "가능한 것부터" 尹 "국민합의 우선"

▲ 대경일보 = 내년 SOC사업 2조168억 건의

▲ 대구신문 = 빨라지는 野 단일화 시계 톱다운 방식 담판론 부상

▲ 대구일보 = 국회 문턱 못 넘은 군위군 '대구 편입' 경북의원 9일 회동

▲ 매일신문 = "무증상·경증은 셀프 관리" 정부, 치료인가 방치인가

▲ 부산일보 = '현산 악재'에 수영만 요트장 재개발 '흔들'

▲ 영남일보 = "포스코 배은망덕 지주사 서울 설립 지방소멸 앞장서"

▲ 울산매일 = 소비량 갈수록 늘고 공급능력 떨어져 식수부족량 '눈덩이'

▲ 울산신문 = 급변하는 기상상황 풍력발전 변수되나

▲ 울산제일일보 = 아프간 특별기여자 '울산 살이' 시작

▲ 창원일보 = 방역당국 "감염 취약층 진단과 치료 역량 집중"

▲ 광남일보 = 셀프 코로나시대…"개인방역이 살 길"

▲ 광주매일 = 아이파크 붕괴 매몰자 5번째 수습…1명 남아

▲ 광주일보 = 광주 그랜드 비전 없고 대부분 현안 사업 나열

▲ 남도일보 = 별빛 쫓아낸 광주도심 네온사인…빛공해 '심각'

▲ 전남매일 = '호남 2030 표심' 국힘 두자릿 수 지지율 승패 좌우

▲ 전라일보 = 아동-청소년 감염고리, 가족-직장 확진 급증

▲ 전북도민일보 = 민주 전북민심 이상기류 '도당 책임론' 부상

▲ 전북일보 = 새만금 'RE100' 전북정치권 나서야

▲ 호남매일 = 광주 붕괴 현장서 5명 수습…1명 남아

▲ 금강일보 = '대전 우주청' 충청 힘모은다

▲ 대전일보 = '중대재해' 예방 사각지대 놓인 출연연

▲ 동양일보 = 벼랑 끝 한강라이프…피해 속출 '어쩌나'

▲ 중도일보 = '서울행 타진' 신협중앙회, 탈대전 부추기나

▲ 중부매일 = 이대론 확진자 100만명 대선 투표 못할 수도

▲ 충청일보 = 2년째 공공기관 이전 '제로' 소외된 대전·충남 혁신도시

▲ 충청투데이 = 학생·학부모 "두렵다"

▲ 뉴제주일보 = 오영훈 15.0%-문대림 14.3%…부동층 32.0% 최대 변수

▲ 제민일보 = "코로나 확인하고도…집에서 해열제만"

▲ 제주매일 = 제주 코로나 369명 '폭증'…역학조사 결국 마비

▲ 제주신문 = 전교생 3% 확진 전까진 정상등교 3월부터 학교 자체검사 체계 전환

▲ 제주일보 = 첨단과학 2단지 사업 향배 주목

▲ 한라일보 = 제주정치권 대선체제 전환 가속도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석수선의 K-디자인 이야기…'K-의료' 관광이 연 감정산업
의료관광은 더 이상 진료나 시술 중심의 산업만이 아니다. 디지털 전환과 감성 콘텐츠 소비가 일상이 된 오늘날 병원을 찾는 많은 사람은 치료만을 원하지 않는다. 그들은 위로받고 싶어 하고, 감정적으로 연결되고 싶어 한다. 특히 우리나라의 의료관광은 K-팝, K-드라마, K-뷰티 같은 한류 콘텐츠를 매개로 문화적 친숙함과 감정적 몰입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독보적인 강점을 지닌다. 빠르고 효율적인 병원 진료만이 아닌 감정 회복의 여정을 제공하는 산업으로 진화할 수 있는 결정적 가능성이다. 오늘날의 환자는 진료의 전문성보다도 그 과정을 어떻게 '느끼는가'를 중심에 둔다. 진료 전 대기 시간의 불안, 치료 중의 고통, 회복기의 고립 등이 극복 요소다. 이 모든 순간에 정보보다 감정의 흐름이 더 크게 작용한다. 병원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환자는 스스로 치유하고 있다는 감각을 원한다. 특히 방한한 외국인 환자에게 한국은 시술받는 장소만이 아니라, 자신이 동경해온 문화가 살아 있는 '감정 공간'이다. K-콘텐츠를 통해 한국에 친숙해진 이들은 병원 침대가 아닌, 드라마 속 장면과 닮은 회복 공간에서 자신만의 치유 서사를 경험하길 원한다. 여기에 디자인 요소도 필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빵 먹고 혈당 160↑"…'혈당 스파이크' 오해와 진실
"식사 후 혈당이 160㎎/dL까지 올랐는데 괜찮은 걸까요?", "빵만 먹으면 혈당이 급등해요. 당뇨병일까요?". 식사 후 혈당이 급격히 오르는 '혈당 스파이크'(혈당 변동성)가 요즘 건강에 관심 있는 사람들 사이에서 '뜨거운 감자'로 떠오르고 있다. 특히 몸에 부착한 연속혈당측정기(CGMs)를 활용해 스마트폰 앱으로 식후 혈당 변화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면서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 사이에서조차 혈당 스파이크에 대한 관심과 걱정이 커지고 있다. 실제로 소셜미디어(SNS), 블로그, 유튜브 등에는 당뇨병 환자가 아닌 일반인들이 연속혈당측정기를 부착하고, 혈당 스파이크를 조절해 체중 감량을 시도했다는 사례들이 공유돼 있다. 하지만 대한당뇨병학회에 따르면 당뇨병이 없는 사람이 혈당 스파이크에 지나치게 민감해할 필요는 없다. 오히려 혈당 스파이크에 과도하게 반응할 경우 지나친 식이 제한이나 불안에 빠지는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성균관대 의대 삼성서울병원 내분비대사내과 진상만 교수는 "혈당 스파이크는 의학 용어도 아니고, 아직 정확한 기준도 없다"며 "당화혈색소가 6.5% 미만으로 건강한 사람이라면 식후 일시적인 혈당 스파이크만으로 심각한 문제를 걱정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