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4일 조간)

▲ 경향신문 = 협치·책임내각 앞세운 한덕수 총리 지명자, 문제는 실천이다

윤 당선인 4·3추념식 참석, '갈라치기 정치' 중단 계기 되길

거칠어지는 4월 한반도 격랑, 당사국 모두 냉정 유지해야

▲ 국민일보 = 한 총리 후보자, 통합 내각 구성하고 협치로 민생 살려야

尹 당선인의 제주 4·3 참석, 치유와 화해의 계기 되길

북한 김여정의 대남 협박…더 이상 경거망동하지 말라

▲ 서울신문 = 경륜 택한 총리 인선, 尹 '책임내각' 구현 힘쓰길

"용퇴" 송영길 서울시장 출사표, 국민 우롱하나

南에 폭언 김여정, 단호한 대응 자초 말아야

▲ 세계일보 = 韓 총리 후보자, 국민통합·민생경제 이끌 조타수 돼야

윤 당선인 4·3 참석, 이념 대립의 상흔 치유 계기 되길

또 도진 北 말폭탄, 4월 한반도 위기관리 만전 기할 때

▲ 아시아투데이 = 평소 본연의 업무 충실해야 오해 안 받아

국정원의 첨단기술 보호 활동, 더 중요해졌다

▲ 조선일보 = 尹정부 첫 총리 한덕수 지명, '경륜과 협치' 기대 부응하길

'전화 뒷조사' 자백한 공수처, 처장이 진퇴 결심할 일 아닌가

제주 4·3 위로 속에 군경 피해자도 잊지 말아야

▲ 중앙일보 = 총리 후보자 한덕수…실질적 권한 갖는 내각 되길

부동산 규제 완화 필요하지만, 다시 불안해져선 안 된다

▲ 한겨레 = 총리 후보자 한덕수 지명, 후속 인사서 통합·협치 살리길

보수정당 대통령 당선자가 참석한 첫 4·3 추념식

설익은 규제완화 추진하는 인수위, 집값 불안 키운다

▲ 한국일보 = 경륜과 전문성에 무게 둔 한덕수 총리지명

김여정 협박 발언, 핵실험 도발 명분쌓기 경계해야

새 한은 총재 가계빚 우려 큰데, 인수위는 대출 완화

▲ 디지털타임스 = 尹정부 초대 총리 한덕수, 경제 활력회복이 최대 책무다

세계 최초 엔데믹 시동, 안착 관건은 의료체계 과부하 해소

▲ 매일경제 = 경제통 한덕수 총리 지명자에 거는 기대

내년도 최저임금 자영업자 현실 반영해 속도 조절해야

'선제 타격' 발언에 김여정 또 막말·협박, 단호한 대처가 답이다

▲ 서울경제 = 새 총리 내정, 노동·규제 대개혁으로 성장엔진 재점화하라

가계부채 연착륙 위해 예금보호 상향 미룰 일 아니다

文정부 5년 평화타령에 돌아온 것은 '서울 괴멸' 北 말폭탄

▲ 이데일리 = 한 총리 후보자, 총리·내각 확 달라진 모습 보여 달라

종료 수순 들어간 거리두기, 의료대응에 빈틈 없어야

▲ 전자신문 = 한덕수 총리 지명자에게 바란다

'마지막' 거리두기를 위해

▲ 한국경제 = 한덕수 후보자의 진단과 처방에 공감한다…관건은 실행력

인플레 먹구름…내년 최저임금 반드시 업종·지역별 차등화해야

풀무원·대상의 글로벌 진격…K식품도 성공스토리 쓴다

▲ e대한경제 = 국민통합 경제통 한덕수 초대 '총리' 어깨가 무겁다

대외 불확실성에 불안감 커진 한국 경제 선제적 대응해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알츠하이머, 혈액 속 지질과 관련 입증…치료법 개발 도움"
경북대는 수의학과 진희경·의학과 배재성 교수팀이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인 후각 장애와 뇌실확장이 혈액 인자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5일 밝혔다. S1P는 혈액 속 지질로, 고밀도지단백(HDL)과 결합한 형태로 뇌로 이동해 신경세포 생성과 뇌 구조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 경북대 연구팀은 혈중 S1P 수치를 인위적으로 낮춘 생쥐 모델에서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처럼 후각 반응이 둔해지고,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관찰했다. 같은 결과가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 혈액 분석에서 확인됐다. 환자들의 S1P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낮았고, 수치가 낮을수록 후각 인식 능력이 떨어지고 뇌실 크기는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S1P를 포함한 혈장을 생쥐 모델에 정맥 주사하면 신경줄기세포 수가 회복하고 후각 행동이 개선됐고, 뇌실 확장도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이 S1P 감소 때문이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진 교수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가 향후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