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골프장 '호황'..."지난해 수입률 30% 넘어"

 코로나19 장기화 속에서 '호황'을 누리는 곳이 있다면 바로 골프장인데요.

 상대적으로 안전한 운동이자 레저인 골프에 MZ세대와 여성의 신규 유입이 크게 늘고, 해외로 나가지 못한 골프 수요가 국내로 몰렸기 때문입니다.

 최근 보도를 보면 지난해 국내 골프장 영업이익률이 30%를 넘어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여기에 그린피(골프장 이용료)·카트 사용료·식음료 값 인상도 골프장에 큰 이익을 안겨줍니다.

 실제 경기도 양주시의 모 골프장은 주말·공휴일 비회원 그린피를 기존 1인당 27만원에서 오는 6월 1일부터 29만원으로 올릴 예정입니다. 주말 그린피가 30만원을 넘는 곳도 있습니다.

 충남 천안시의 모 골프장의 비회원 그린피는 18만원인데 주말·공휴일은 23만원입니다. 코로나19가 발병하기 이전에는 그린피가 10만 원대가 대다수였으나 이젠 찾아볼 수 없습니다.

 2∼3년 전 8만 원 정도였던 카트 사용료는 이제 대부분 10만 원 이상입니다. 국내 대부분 골프장은 빠른 경기 진행과 수익 증대를 위해 카트 사용을 의무화하고 있습니다.

 경기보조원(캐디)에게 줘야 하는 캐디피도 대부분 14만원 수준으로, 코로나 시국 이전보다 1만∼4만원 올랐습니다. 골프장으로선 숙련된 경기보조원을 활용함으로써 경기 운용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캐디피 인상을 꺼릴 이유가 없습니다.

 골프장 내 음식점, 그리고 코스 중간에 있는 휴게시설(그늘집)의 식음료 가격은 깜짝 놀랄 수준인데요. 경기도 이천의 모 골프장 그늘집에선 해물떡볶이를 4만7천원, 해물파전을 3만9천원, 두부김치를 3만7천원 받습니다. 막걸리는 한 병에 1만3천원 받기도 합니다. 물론 외부 음식의 경우 반입을 철저히 금지합니다.

 최근 한국골프장경영협회의 발표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회원제 골프장 이용객은 1천699만명, 대중제 골프장 이용객은 3천357만명으로 집계됐습니다. 골프장 이용객 수가 5천56만명에 달한 겁니다. 반면 해외 골프 여행객 수는 2020년과 2021년에 각각 전년 대비 85%, 71% 줄었습니다.

 주목할 대목은 최근 골프 신규 유입자 65%가 20∼40대로 나타났다는 점입니다. 비즈니스 또는 친목을 위해 골프를 즐겼던 기존 40대 이상과 달리 MZ세대에게 골프는 자신에게 아끼지 않는 소비 행태이자 SNS에 개성을 드러내는 '인싸'문화로 자리 잡고 있어 보입니다. 2019년 대비 2021년에는 20대를 제외한 연령층에서 여성의 유입률이 남성보다 높았습니다.

 스크린 골프장이 코로나19를 계기로 폭발적인 성장세를 보이는 것도 눈여겨봐야 합니다. 비싼 필드 골프장의 대체재이기도 하지만 센서 및 가상현실 기술 향상이 스크린 골프에 재미를 더하면서 별도 레저로 자리를 잡고 있습니다.

 골프웨어·골프채 등 관련 용품 시장도 골프 인구 증가에 따라 지속해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골프용품은 수출보다는 수입이 압도적으로 많은데 2021년 골프용품 수입액은 7억2천만 달러(한화 9천91억원 상당)로 전년 대비 33.2% 증가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2018년 스크린골프 업체 골프존과 함께 골프존카운티를 설립하고 전국에 저평가된 골프장을 '쓸어 담겠다'고 공언했던 사모펀드 MBK파트너스가 주목받고 있는데요.

 당시 웬만한 골프장은 운영난에 허덕이고 있었고 골프 인구가 늘어날 것이란 분석은 어디에도 없었던 탓에 이 같은 발표가 외면받았습니다.

 그러나 전국에 18개 골프장(총 387홀)을 운영하는 골프존카운티는 최근 3년간 연평균 61.7%씩 매출이 늘면서 매년 사상 최대 실적을 기록 중입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지역·필수의료 시니어의사 본격 모집…사회적 협의는 '난항'
정부가 두 달째 이어지는 의료 공백 상황에서 지역·필수의료 분야에서 일할 시니어 의사 모집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정부가 의료 공백을 메우고자 비상진료체계를 운영 중인 가운데 의료개혁을 위한 사회적 협의는 '험로'가 예상된다. 17일 정부와 의료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전날 오후 서울 중구 소재 국립중앙의료원에서 '시니어의사 지원센터'의 문을 열었다. 센터는 대학병원 등에서 근무한 경험이 많은 퇴직 의사 혹은 퇴직을 앞둔 의사들이 지역·필수의료 분야나 공공의료기관에서 계속 근무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을 맡는다. 앞으로 센터는 필수의료 분야 진료·연구에 경험이 있는 시니어 의사를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의사 모집, 인력 풀(pool) 구축·관리, 의료기관 연계, 지역 필수의료 교육 등을 수행한다. 복지부 관계자는 "대한의사협회(의협), 국립중앙의료원과 함께 사업을 하고 있었지만, 실효성을 높이기 위해 센터를 열었다"며 "비활동 50∼60대 의사가 4천여명이고, 상반기 기준 대학병원의 퇴직 의사는 130여명으로 파악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조규홍 복지부 장관은 "시니어 의사 활용은 정부와 의료계가 지역·필수의료 분야 의사 부족 문제 해소를 위해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인공눈물 투여 후 15분 지나서 렌즈 착용해야"
봄철 건조한 날씨로 인공눈물 사용이 늘어나는 가운데 인공눈물 투여 후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최소 15분은 기다려야 한다. 일부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달라붙을 수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인공눈물의 올바른 사용 정보를 안내했다. 인공눈물은 눈의 건조 증상을 완화하고 자극을 일시적으로 줄이는 데 도움을 주는 의약품으로,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스 나트륨, 카보머, 포비돈, 폴리 소르베이트, 히프로 멜로스 등을 주성분으로 하는 제품은 처방전 없이 약국에서 구매 가능하다. 인공눈물은 직접 눈에 1~2 방울 떨어뜨리며 성분에 따라 1일 2~5회 사용할 수 있는데, 인공눈물을 사용하기 전 눈에 통증이 심하거나 안약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경험한 경우, 의사 치료를 받는 경우, 임부나 소아에 사용할 경우에는 의사 또는 약사와 상의해야 한다. 또 인공눈물 성분이 렌즈에 흡착될 수 있어서 렌즈 착용은 피하는 것이 좋은데, 특히 벤잘코늄 염화물을 보존제로 포함하는 인공눈물이 그렇다. 만약 렌즈를 착용해야 한다면 투여 후 15분 이상 기다렸다 끼는 것이 좋다. 인공눈물을 사용하면서 안약이나 안연고를 추가로 사용해야 하는 경우에는 5분 이상 간격을 두는 것이 권장된다. 특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