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6일 조간)

▲ 경향신문 = '간첩조작' 징계받은 검사에게 '공직기강' 맡기다니

22년 만의 미 금리 최대폭 인상, 취약계층 보호책 서둘러야

육아휴직 공무원 중 남성 40% 돌파, 민간도 효과적 장려책을

▲ 국민일보 = 美기준금리 빅스텝, '3고 현상' 선제적 대응책 마련해야

아쉬웠던 인수위 밑그림…새 정부 실행에 달렸다

어린이를 인격체로 존중하는 '아동기본법'을 기대하며

▲ 서울신문 = '총리 볼모' 민주당, 새 정부 출범 방해 지나치다

美 연준 '빅스텝' 충격 최소화할 대책 서둘러야

최강욱 성희롱성 발언, 어물쩍 사과로 넘길 일인가

▲ 세계일보 = 미 연준 빅스텝 단행…정부·한은 물가대책 서둘러야

끝까지 새 정부에 몽니 부리는 文, 부끄럽지 않나

급증하는 아동학대, 땜질처방으론 근절 안 된다

▲ 아시아투데이 = 헌재, '검수완박' 헌법소원 서둘러 결론 내야

금리·재정·물가 맞물린 관계, 잘 살피길

▲ 조선일보 = 거대 민주당의 새 정부 출범 방해, 앞으로 2년 계속되나

'文정권 방탄법' 시행돼도 권력 불법 반드시 단죄해야

尹 정부가 무는 文 정부 불법 소송비

▲ 중앙일보 = 미국 금리 인상 '빅스텝', 긴축의 시대 대비해야

중대재해법 100일, 법 취지 살려 사망사고 줄이자

▲ 한겨레 = '간첩조작' 검사까지, 대통령실 '측근 인사' 도 넘었다

미 '빅스텝' 금리인상, 새 정부 서민대책부터 챙겨야

'허위 이력' 김건희 임용 취소마저 거부한 국민대

▲ 한국일보 = 대통령실에 검찰 출신 전면 배치, 뒷말 안 나오겠나

미국 금리 대폭 인상…복합 경제위기 대비를

수사권 커진 경찰, 역량 키우고 檢협력 강화해야

▲ 디지털타임스 = 긴축시대 본격화, 포퓰리즘 끊고 경제체질 확 바꿔야 산다

총리 없이 尹정부 출범되면 민주, 국정 혼란 책임 각오해야

▲ 매일경제 = 한덕수 총리 인준과 장관 후보자 거취 연계는 민주당의 몽니다

주5일 재택 네이버의 파격실험, 직원 복지 차원이어선 안된다

입법폭주 막으려면 법사위원장은 합의대로 국민의힘이 맡아야

▲ 서울경제 = '빅스텝' 긴축 시동…실물·금융 다중 방파제 쌓아라

떠나는 대통령의 '비루한 뒤끝'

정호영은 사퇴시키고 새 정부 정상 출범 협력해야

▲ 이데일리 = 입법 폭주도 모자라 청문회 몽니, 국정 훼방 도 넘었다

긴축 가속화하는 미국 연준, 급격한 경기위축 막아야

▲ 전자신문 = SW 원격개발, 발주처 인식 바꿔야

중대재해처벌법 모른다는 中企

▲ 한국경제 = 해외투자 배당세 소동…'글로벌 시대' 맞춰 세제 혁신해야

美 빅스텝·양적긴축 돌입…후폭풍 대비가 새 정부 첫 과제

법사위·중수청장까지 차지하려는 민주당, 국민 두렵지 않나

▲ e대한경제 = 미 연준의 '빅 스텝' 금리인상 파장에 선제적 대처해야

새 정부가 현 정부 성과 전면 부정한다는 文대통령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알츠하이머, 혈액 속 지질과 관련 입증…치료법 개발 도움"
경북대는 수의학과 진희경·의학과 배재성 교수팀이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인 후각 장애와 뇌실확장이 혈액 인자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5일 밝혔다. S1P는 혈액 속 지질로, 고밀도지단백(HDL)과 결합한 형태로 뇌로 이동해 신경세포 생성과 뇌 구조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 경북대 연구팀은 혈중 S1P 수치를 인위적으로 낮춘 생쥐 모델에서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처럼 후각 반응이 둔해지고,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관찰했다. 같은 결과가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 혈액 분석에서 확인됐다. 환자들의 S1P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낮았고, 수치가 낮을수록 후각 인식 능력이 떨어지고 뇌실 크기는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S1P를 포함한 혈장을 생쥐 모델에 정맥 주사하면 신경줄기세포 수가 회복하고 후각 행동이 개선됐고, 뇌실 확장도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이 S1P 감소 때문이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진 교수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가 향후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