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6일 조간)

▲ 경향신문 = '기름·발암물질 오염' 용산기지 시민 개방, 서두를 일 아니다

"건국 이래 대동란" 북 코로나, 남북은 실질적 협력 모색해야

자구 노력·전기료 인상 등 해법 촉구한 한전의 최대 적자

▲ 국민일보 = 윤 대통령과 여야 3당 지도부 조속히 만나길 바란다

원자재價 반영 못하는 납품가…하도급 원가연동제 시급

눈덩이처럼 불어난 한전 적자, 전기료 이대로 둘 것인가

▲ 서울신문 = '대동란' 北, 남측 코로나 지원 주저 말고 수용해야

금리로는 모자란 물가 잡기, 각 경제주체도 노력을

윤 대통령 회동 거부한 민주당 옹졸하지 않은가

▲ 세계일보 = 민주당, 총리 후보자 인준 표결 더 늦추면 여론 악화될 것

윤 대통령 '지인 위주 인사'가 부실 검증 낳은 것 아닌가

한전 1분기 7조8000억 적자, 전기료 현실화 미뤄선 안 된다

▲ 아시아투데이 = 北, 미사일 그만 쏘고 인도적 지원 수용하길

경제 비상인데, 추경 경쟁하는 한가한 정치권

▲ 조선일보 = 대통령과 여야 회동 불발, 무조건 만나 협치 실타래 풀어야

3개월 적자만 8조원, 한전 거덜 낸 관련자들에 책임 물어야

코로나에 "버드나무 잎 우려먹으라"는 북한

▲ 중앙일보 = 북한 코로나 방역 지원하고, 대화 물꼬도 터야

탈원전 폭주가 빚은 한전 위기, 에너지 위기

▲ 한겨레 = 성비위·간첩조작 비서진 비호, 윤 대통령의 '상식'인가

'루나 사태' 직시해 '가상자산 산업 육성' 신중해야

약자 희생 위에 세운 K-방역, '성찰' 없인 '미래'도 없다

▲ 한국일보 = 대통령·여야 지도부 회동으로 국정 공백 풀어야

가상화폐 시장 뒤흔든 '루나' 쇼크, 안전장치 급하다

지역·교육 없고 대선 연장전만 부각된 6·1 선거

▲ 디지털타임스 = 與野, 제 주장만 말고 정치력 발휘해 총리인준 합의해보라

기재부 공공기관 개혁 착수…5년간 낀 때 완전 일소하라

▲ 매일경제 = 인도는 밀·인니는 팜유 수출 금지…발등의 불된 식량보호주의

총리·장관 후보자 임명, 국민 뜻 존중해 여야 대치 끝내라

북한과 중국의 봉쇄일변도 방역, 코로나사태 해법될 수 없다

▲ 서울경제 = 경제·안보 복합위기 극복 위해 총리 인준 협조할 때다

곡물 전쟁 격화, 안보 차원서 식량 확보 종합대책 세워라

10% 지출 구조조정 요구한 尹, 현금 복지 공약도 거둬야

▲ 이데일리 = 표심 노린 추경 증액 경쟁…정치 셈법이 경제 망친다

코로나 백신 북한 지원, 인도주의 차원 적극 추진해야

▲ 전자신문 = 한미정상회담, 경제 실리 챙겨야

머지포인트, 이대로 끝나선 안 된다

▲ 한국경제 = 민간활력 앞세운 尹정부, 감세로 위기 돌파구 찾아라

식량 보호주의 확산…지금이라도 농업 산업화 청사진 내놔야

"누가 누굴 죽이려 한다"는 식의 저급한 선동 정치

▲ e대한경제 = 표류하는 총리 인준, 청문정국 매듭짓고 민생정국 전환해야

민자사업 활성화, 정책의 일관성 유지가 성공 열쇠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알츠하이머, 혈액 속 지질과 관련 입증…치료법 개발 도움"
경북대는 수의학과 진희경·의학과 배재성 교수팀이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인 후각 장애와 뇌실확장이 혈액 인자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5일 밝혔다. S1P는 혈액 속 지질로, 고밀도지단백(HDL)과 결합한 형태로 뇌로 이동해 신경세포 생성과 뇌 구조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 경북대 연구팀은 혈중 S1P 수치를 인위적으로 낮춘 생쥐 모델에서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처럼 후각 반응이 둔해지고,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관찰했다. 같은 결과가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 혈액 분석에서 확인됐다. 환자들의 S1P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낮았고, 수치가 낮을수록 후각 인식 능력이 떨어지고 뇌실 크기는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S1P를 포함한 혈장을 생쥐 모델에 정맥 주사하면 신경줄기세포 수가 회복하고 후각 행동이 개선됐고, 뇌실 확장도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이 S1P 감소 때문이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진 교수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가 향후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