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난화로 연간 44시간 덜잔다"…지구촌 수면시간 '뚝'

여성·노인·저소득층 특히 큰 영향…높은기온→수면부족→건강이상

 지구 온난화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수면 시간이 줄어들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일간 가디언에 따르면, 덴마크 코펜하겐 대학 연구팀은 지구촌 구성원의 평균 수면시간이 연간 44시간 감소했다는 연구 결과를 학술지 원어스(One Earth)에 최근 게재했다.

 연구결과 온난화로 올라간 밤 기온은 거의 모든 나라에서 수면 방해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고, 세계 평균적으로 '충분한 수면'으로 여겨지는 7시간을 채우지 못하는 밤이 11일이나 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2015년부터 2017년까지 수면시간 측정 손목밴드를 통해 확보한 68개국 4만7천명의 수면 데이터를 분석해 이런 결론을 얻었다.

 기온이 잠에 미치는 영향은 여성, 노인, 저소득국가에서 특히 컸다.

 상승한 온도당 수면 손실은 여성이 남성보다 4분의 1 더 많았고, 65세 이상은 2배, 부유하지 않은 나라에서는 3배 더 많았다.

 사람은 시원한 환경에서 잠에 잘 드는데 피하지방이 남성보다 많은 여성과 체온 조절 기능이 떨 어진 고령자, 선풍기·에어컨과 같은 냉방기기를 덜 사용하는 저소득 국가에서는 온난화로 인해 밤에 체온을 조절하기가 더 어려워졌다는 이야기다.

 연구팀은 거주 지역의 원래 기후가 서늘한지, 따뜻한지에 상관없이 밤 기온이 10도 이상이 되면 수면에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연구 책임자 켈튼 마이너 교수는 1백만명이 사는 도시에서 밤 기온이 25도 이상일 경우 4만6천명이 수면 단축을 경험할 것이라면서 "현재 폭염이 기승을 부리는 인도와 파키스탄에서는 수십억명이 수면 부족 문제에 노출되리라 짐작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걱정스럽게도 우리는 따뜻한 기후에 사는 사람들이 더 심각한 수면 문제를 경험했다는 증거도 발견했다"면서 "그들은 나중에 수면시간을 보충하지도 못했다"고 설명했다.

 앞선 연구들은 기온 상승이 심장마비의 증가, 자살과 정신건강의 위기, 사고와 부상의 증가, 근로 능력 감소 등의 문제와 연관이 있다고 봤다.

 수면 부족 역시 이런 문제들과 관련이 있다. 이번 연구는 온난화야말로 현대 건강 문제의 기저 요인일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고 연구자들은 설명했다.

 연구팀은 높은 기온이 인간의 수면을 방해한다는 사실을 지구촌 차원에서 규명했지만, 수면 시간은 실제로는 훨씬 더 짧아졌을 수 있다고 판단했다.

 마이너 교수는 손목 밴드는 부유한 남성 등 따뜻한 온도로 인한 수면 장애가 덜 한 사람이 많이 착용해 저소득층은 과소 대표될 수 있다면서 세계에서 가장 더운 지역인 아프리카나 중앙아메리카, 중동 등에서 연구가 더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KAIST, 사용할수록 더 강해지는 인체 뼈 닮은 신소재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은 신소재공학과 강성훈 교수 연구팀이 미국 존스홉킨스대학, 조지아 공과대학 연구팀과 공동으로 인체 뼈의 원리를 모사해 사용할수록 오히려 더 강해지는 신소재를 개발했다고 최근 밝혔다. 아파트 건물, 차량 등을 구성하는 재료는 반복적으로 하중을 받으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성능이 저하된다. 한미 공동 연구팀은 우리 몸속 뼈가 하중을 받으면 세포 작용으로 미네랄을 합성해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원리에서 영감을 얻어 사용할수록 단단해지는 신소재를 개발했다. 힘을 많이 가할수록 전하를 더 많이 생성하는 다공성 압전 소재(힘을 전기로 변환하는 소재)로 바탕재를 만든 뒤 미네랄 성분을 갖는 전해질을 넣어 복합재료를 합성했다. 재료에 주기적인 힘을 가한 후 물성 변화를 측정한 결과, 응력(외력에 의해 변형된 물체 안에서 발생하는 힘)의 빈도와 크기에 비례해 재료의 강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마이크로 CT 촬영을 통해 반복적인 응력에 의해 다공성 재료 안에 미네랄이 형성되고, 힘이 가해지면 미네랄이 파괴되면서 에너지를 흩어지게 하는 모습을 확인했다. 다시 응력을 가하면 미네랄이 형성되는 과정이 반복된다. 기존 재료들이 반복적으로 사용할수록

메디칼산업

더보기
셀트리온, 충남 예산에 바이오의약품 생산공장 2028년까지 신설
셀트리온이 2028년까지 3천억원을 투자해 충남 예산에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을 신설한다. 김태흠 충남지사와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 최재구 예산군수, 김병곤 충남개발공사 사장은 27일 예산군청 추사홀에서 이런 내용이 담긴 투자합의각서(MOA)를 체결했다. 2023년 11월 도와 예산군, 셀트리온이 투자협약(MOU)을 체결한 지 1년 2개월여 만이다. MOA는 비구속적인 MOU와 달리 특정한 조건과 세부적인 사항을 담은 법적 구속력이 담긴 합의서다. 이날 MOA를 체결한 것은 셀트리온의 도내 투자가 구체적으로 확정돼 본격적으로 추진된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도는 설명했다. 이에 따라 셀트리온과 예산군은 셀트리온 신규 공장이 들어설 내포신도시 농생명 융복합산업 클러스터 산업단지 가운데 일부 사업의 공동 시행자로 함께 산업단지 계획을 수립해 올해 안에 승인받기로 했다. 산단 계획 승인이 완료되면, 셀트리온은 2028년까지 3천억원을 투자해 바이오의약품 생산 공장을 새로 짓는다. 도와 예산군은 신속하게 산단 개발과 공장 신설이 이뤄지도록 인허가 등 행정·재정적 지원에 나선다. 충남개발공사는 산단 조성을 위한 토지 매입과 기반 시설 공사를 2027년 상반기까지 마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