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4일 조간)

▲ 경향신문 = 청소노동자에 '학습권' 소송 낸 대학생들, 이게 '공정'인가

여야는 당리당략 접고 당장 국회 정상화하라

불붙는 민주당 대표 경선, 역동적 정당 거듭나는 계기 돼야

▲ 국민일보 = 코로나 엔데믹 전환 고비…조기 대면진료 시스템 구축을

자금 지원식 수출 개선보다 기업이 뛸 수 있게 해야

윤 대통령 지지율 하락, 심각하게 받아들여야 한다

▲ 서울신문 = 법원 '코인 빚투' 손실금 면책, 악용 대책 세워야

'알박기' 공공기관장, '버티기'로 파행 부를 텐가

잇단 서울대 논문 표절, 엄벌 않으면 또 반복될 것

▲ 세계일보 = 경제 악재 쏟아지는데 최후 보루인 재정건전성 지켜야

가뜩이나 힘든데 노동계 하투까지, 정부는 방관할 건가

여야 한발씩 물러나 반드시 국회 원구성 매듭지어라

▲ 아시아투데이 = 위기대응팀과 구조개혁팀 동시가동 하기를

민주당, 자신은 적폐청산 남은 정치보복인가

▲ 조선일보 = 8년간 시험 없애던 진보 교육감들, 이제서야 "학력평가 필요"

"윤 대통령 인사가 문제"라는 국민 여론

NLL 침범 北선박 나포했다고 합참의장 불러 망신 준 文 청와대

▲ 중앙일보 = 세계 106개국 도입했는데, 우리만 없는 재정준칙

지지율 경고등…여권 위기감 가져야

▲ 한겨레 = 권익위, 총리의 로펌활동 '2줄 신고'에 적극 대응해야

'윤 라인' 코드 인사 뒤 줄사표가 보여주는 검찰 난맥상

윤석열 정부·여당의 '내로남불' 공공기관장 사퇴 압박

▲ 한국일보 = 심상찮은 노동계 '하투', 대화와 타협으로 위기 넘어야

한 총리 이해충돌 외면한 '2줄 신고', 제동 건 권익위

'건전 재정' 전면 전환…방향 맞지만 부작용도 경계를

▲ 디지털타임스 = 국가재정전략회의, 이번엔 '재정준칙 입법화' 못 박아야

이 시국에 하투 예고…尹정부, 법·원칙 따라 엄정 대응하라

▲ 매일경제 = 가랑비에 옷 젖듯이 건보재정 위협하는 근로자 상병수당

민주노총의 무차별적 시위, 尹정부 법치는 양보해선 안된다

골목상권 보호효과 없는 대형마트 영업규제 10년 이젠 풀 때다

▲ 브릿지경제 = 건전재정' 지킬 재정 구조조정 필요하다

▲ 서울경제 = 의회 독주' 재발 막으려면 여야 합의로 국회 정상화해야

국민 숨넘어가는데 노조 이익만 외치는 하투 벌일 땐가

보루' 반도체마저 흔들, 대통령이 위기 사령관 직접 맡아야

▲ 이데일리 = 경제 살얼음판인데…우려스러운 노동계 하투 행보

사상 최악 무역적자, 악순환 고리 끊을 대책 시급하다

▲ 전자신문 = e커머스, 中 판매자 '철저 검증' 필요

무역적자 심각, 대책 급하다

▲ 한국경제 = 도심 대규모 시위에 파업 경고까지, 민노총 제정신인가

기왕 소득세 손댄다면, 점심값 몇푼 아니라 큰 틀의 세제 개혁하라

경제계가 건넨 규제개혁 100選…대통령이 직접 챙겨야

▲ e대한경제 = 우려 커지는 재정건전성, '지속 가능 재정' 위한 혁신 이뤄져야

본격화한 노동계 夏鬪, 성장잠재력마저 갉아먹으면 공멸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허리시술후 사망' 원인은 황색포도알균?…"흔하지만 위험한 균"
강원도 강릉의 한 의료기관에서 허리통증 완화 시술을 받은 환자 여러 명이 이상 증상을 보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료기관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원도에 따르면 해당 의료기관에서 통증 완화 신경차단술 등 허리시술을 받은 후 8명이 최근 극심한 통증과 두통, 의식 저하, 발열 등의 증상을 보였고, 이 중 1명은 사망했다. 아직 역학조사가 끝나지 않아 시술과의 역학적 인과관계가 확인되진 않았지만, 이상증상 환자 대부분의 혈액이나 뇌척수액에서, 그리고 해당 의료기관 종사자 등에서도 발견된 '황색포도알균'이 이상 증상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포도송이 모양의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사실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는 세균 중 하나다. 건강한 사람의 코안이나 겨드랑이 등에도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감염되면 이상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황색포도알균이 만들어내는 독소가 식중독을 유발하기도 하며, 침습적인 시술 과정 등에서 의료 감염도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병독성이 강한 편이라 중증 감염으로 이어질 위험성도 있다. 황색포도알균은 메티실린 항생제에 효과를 보이는지에 따라 MSSA(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와 MRSA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