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치료제, 치매에 효과"

 각성제 메틸페니데이트(제품명: 리탈린) 같은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장애(ADHD: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에 쓰이는 노르아드레날린 제제(noradrenergic drugs)가 알츠하이머 치매 치료에도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ADHD는 유달리 주의력이 떨어지고 산만하며 행동이 지나치게 활발하고 충동 조절과 행동 통제가 안 되는 일종의 정신 장애로 소아 또는 청소년들에게 흔히 발생하지만, 요즘엔 성인 환자들도 적지 않다.

 중추신경 자극제인 메틸페니데이트는 주의력과 행동을 조절하는 뇌의 신경전달물질인 도파민과 노르아드레날린을 활성화한다.

 영국 임피어리얼 칼리지 런던(ICL), 케임브리지 대학,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UCL)의 공동 연구팀은 ADHD 치료에 쓰이는 노르아드레날린 제제가 치매 증세를 다소 개선하는 효과가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일간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최근 보도했다.

 연구팀은 1980~2021년 사이에 발표된 노르아드레날린 제제가 알츠하이머 치매와 치매의 전단계인 경도인지장애(MCI: mild cognitive impairment)에 미치는 영향을 다룬 19편의 연구 논문 자료를 종합 분석했다.

 이 연구 논문들에서 연구 대상이 된 노인은 약 2천 명(65~80세)이다.

 종합 분석 결과 노르아드레날린 제제가 기억력, 언어기능을 포함한 전반적인 인지기능을 다소 개선하고 특히 치매의 주요 증상인 무감동(apathy)을 상당히 개선하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주의력을 개선하는 효과는 없었다.

 노르아드레날린 제제가 치매에 미치는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임상시험이 더 필요하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유전자가위 동시에 켜고 끈다…이중모드 크리스퍼 가위 개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이주영 교수와 한국화학연구원 노명현 박사 공동 연구팀은 대장균(박테리아의 일종)에서 원하는 유전자를 동시에 켜고 끌 수 있는 '이중모드 크리스퍼(CRISPR) 유전자 가위' 시스템을 개발했다고 2일 밝혔다. 유전자 가위는 인간·동식물 세포의 특정 염기서열을 찾아내 해당 부위 데옥시리보핵산(DNA)을 절단함으로써 유전체를 교정하는 기술이다. 대표적으로 '크리스퍼 카스9 유전자가위'(CRISPR-Cas9)가 널리 활용되고 있는데, 절단 효소인 카스9(Cas9) 단백질과 교정할 유전자 부위를 찾아주는 '가이드 리보핵산(RNA)'이 결합해 유전체를 편집하는 방식으로 작동한다. 다만 '끄기'(억제) 기능에 특화돼 유전자 발현을 막는 데는 뛰어나지만, 유전자를 켜 활성화하는 기능은 제한적이다. 그나마 사람·식물·동물 등 다세포 생물의 기본 단위인 진핵세포에서는 켜는 것이 가능하지만, 박테리아에게서는 유전자 켜기가 되지 않는다는 한계가 있다. 박테리아는 구조가 단순하고 빠르게 증식하면서도 다양한 유용 물질을 생산할 수 있어, 합성생물학(미생물을 살아있는 공장처럼 만들어 의약품과 화학물질 등을 생산할 수 있는 핵심 기술)의 기반이 된다. 합성생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