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0일 조간)

▲ 경향신문 = 한·일이 공감한 강제동원 조기 해결, 일본도 성의 보여야

수도권·지방 격차만 키우는 정부의 반도체 인재 양성 정책

대우조선 공권력 투입, 사태 해결 아닌 갈등 증폭 도화선이다

▲ 국민일보 = 5년간 방치해온 북한 인권, 국제사회서 제 목소리 내야

전염되는 자살, 더 중요해진 주변인 관리

한·미 통화스와프 체결이 진정한 가치동맹 증명한다

▲ 서울신문 = 중립과 국민 신뢰 회복할 검찰총장 찾아라

경제안보 동맹 강화 재확인한 한미 재무장관 회의

탄력요금제로 심야 택시대란 잡을 수 있겠나

▲ 세계일보 = 반도체 인재 15만명 양성, 수도권 쏠림 등 보완해야

코로나 '6차 대유행'인데, 위기감 안 보이는 정부

한·미 "필요시 외화유동성 공급", 통화스와프로 이어지길

▲ 아시아투데이 = 금융의 BTS' 나오게 금융업 환경 확 바꾸자

대우조선 하청노조, 공권력 투입 전 파업 풀어야

▲ 조선일보 = 세계 최다 한국 공영방송들, 세금 먹는 하마 아닌가

시험비행 성공 KF-21 전투기, 안보와 항공산업 기폭제 되길

수천 억 피해 주고 '책임 면제' 요구, 노조 악순환 이번엔 끊자

▲ 중앙일보 = 예상 뛰어넘는 변이 코로나 폭증, 정부 대책 안 보인다

'프렌드쇼어링' 동참하되 자원전쟁 대비해야

▲ 한겨레 = 10년간 반도체 인재 15만명 양성안, 날림 우려된다

'북송' 동영상 공개까지, 정치공세 '도구' 자처한 통일부

대우조선 파업에 '공권력 투입' 무력시위 할 땐가

▲ 한국일보 = 대우조선 파업 공권력 투입은 최후 수단 돼야

대통령 '호통'에 벼락치기 반도체 인력 양성안

강달러 속 외환시장 선제 대응 합의한 韓美

▲ e대한경제 = 산업부문 온실가스 감축목표 줄여야 제조업이 산다

코로나19 재유행, 검사 강화해 숨은 확진자 찾아내야

▲ 디지털타임스 = 고물가 찌든 국민에 희망불씨 던진 국민영웅 우상혁의 비상

대학정원 조정 정도로는 '초격차' 반도체 지키기 요원하다

▲ 매일경제 = 10·20대 마약사범 급증, 예방교육 강화하고 유통망 차단해야

5년만에 北인권대사 임명, 김정은 주민탄압 이젠 묵인말라

타다·우버 영업 막더니 택시대란 해결책이 결국 요금 인상인가

▲ 브릿지경제 = 대기업 투자 끊겨선 안된다

▲ 서울경제 = 초격차 인재 키우려면 교육 시스템 전면 대수술해야

도크 불법 점거에 총파업까지, 지금이 대정부 투쟁 벌일 땐가

더 진전된 경제안보동맹 위해 美도 '담대한 카드' 내놔야

▲ 이데일리 = 일몰 규제 폐지율 2.9%…철폐·완화 약속 다 어디 갔나

국회 민생특위 구성, 민생우선 정치 실천 출발점 돼야

▲ 전자신문 = 금산분리 족쇄, 이제는 풀자

SW기술자 임금 현실 반영해야

▲ 파이낸셜뉴스 = 기업 피멍 드는데 꿈쩍않는 대우조선 파업

빅블러 시대, 구시대 유물 금산분리 사라져야

▲ 한국경제 = 서해 피격·강제 북송 사건, 세계가 지켜보고 있다

관사 없애고 사무실 줄이고…공공 군살 빼기는 충북지사처럼

'밑 빠진 독' 대우조선, 혈세 연명은 국민에 대한 배임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허리시술후 사망' 원인은 황색포도알균?…"흔하지만 위험한 균"
강원도 강릉의 한 의료기관에서 허리통증 완화 시술을 받은 환자 여러 명이 이상 증상을 보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료기관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원도에 따르면 해당 의료기관에서 통증 완화 신경차단술 등 허리시술을 받은 후 8명이 최근 극심한 통증과 두통, 의식 저하, 발열 등의 증상을 보였고, 이 중 1명은 사망했다. 아직 역학조사가 끝나지 않아 시술과의 역학적 인과관계가 확인되진 않았지만, 이상증상 환자 대부분의 혈액이나 뇌척수액에서, 그리고 해당 의료기관 종사자 등에서도 발견된 '황색포도알균'이 이상 증상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포도송이 모양의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사실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는 세균 중 하나다. 건강한 사람의 코안이나 겨드랑이 등에도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감염되면 이상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황색포도알균이 만들어내는 독소가 식중독을 유발하기도 하며, 침습적인 시술 과정 등에서 의료 감염도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병독성이 강한 편이라 중증 감염으로 이어질 위험성도 있다. 황색포도알균은 메티실린 항생제에 효과를 보이는지에 따라 MSSA(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와 MRSA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