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3일 조간)

▲ 경향신문 = 한·중 수교 30년, 내부 합의된 외교 전략 절실하다

커지는 '코드·표적 감사' 논란, 감사원은 자중해야

1340원도 넘은 원·달러 환율, 다각도로 대비해야

▲ 국민일보 = 핑계대지 말고 특별감찰관 임명 절차에 신속히 착수하라

일은 적게 하고 돈은 많이 받겠다는 금융노조의 이기심

우크라戰 6개월, 급변하는 세계…우리는 준비돼 있나

▲ 서울신문 = 수교 30년 한중, 경제·안보 전환기 新상생 절실하다

日 해상 관함식 참가 전향적으로 검토하라

새 공정위원장, 규제 혁신으로 공정경쟁 보장해야

▲ 세계일보 = 환율 13년여 만에 장중 1340원 돌파, '위기' 경각심 가져야

특별감찰관·북한인권재단 이사 임명 더 미뤄선 안 된다

수교 30년 한·중 관계, 가치외교 패러다임 맞는 새 전략 짜길

▲ 아시아투데이 = 대통령실, 특별감찰관 둬 전 정부와 차별화하길

여야중진협의체, '정치 복원' 윤활유 되기를

▲ 조선일보 = 여야 합의 북한인권재단이 6년 표류, 이런 일도 있나

김원웅·윤미향 파렴치 비리, 文 정권 비호도 공범

미국 새 일자리 기여도 1위가 한국, 씁쓸한 뉴스

▲ 중앙일보 = 여·야·정 협의체 꾸리고 특별감찰관 임명 서둘러야

원화가치 13년래 최저…역대 최대 무역적자 걱정된다

▲ 한겨레 = 한중 관계 위기서 맞은 수교 30년, 새로운 길 내려면

특별감찰관 추천이 북한인권재단과 연계할 일인가

규제완화 깃발 든 상법 전문가가 공정위원장이라니

▲ 한국일보 = 금융위기 수준의 환율 폭등, '셀 코리아' 대책 있나

여야, 특별감찰관·북한인권이사 당장 추천하라

한중 수교 30년…변화된 환경에 새 관계 정립을

▲ 디지털타임스 = 천정 뚫린 환율…韓美 '외환시장 협력' 실행 서두르라

'비리종합선물세트' 김원웅 의혹, 철저 수사해 법정 세워야

▲ 매일경제 = 美리쇼어링 덕에 35만개 일자리, 한국도 공격적 기업유치 나서야

환경파괴·산사태 위험 태양광 점검 강화는 비정상의 정상화

野텃밭 호남 경선 투표율 바닥, 반성 없는 민주당 향한 실망이다

▲ 브릿지경제 = 정치적 고려 앞선 합목적적 재정준칙 시급

▲ 서울경제 = 매일 1억달러 쌓이는 무역적자…산업 구조 리셋할 때다

'反中 여론 급등' 돌아보고 주권 상호 존중하며 협력하라

특별감찰관 임명해 주변부터 엄격히 살피는 대통령 돼야

▲ 이데일리 = 공격적 기업 유치로 35만 고용 늘린 美…본보기 아닌가

한중수교 30돌, 다층 교류 확대로 새로운 미래 열어야

▲ 전자신문 = 디지털 인재 양성 '공수표' 안돼

경계 허문 협업, 이젠 생존전략

▲ 한국경제 = 시급한 디지털 인재 양성, 기업 역량 동원해 속도전 펼쳐야

하이트진로 불법 점거, 노조 입장만 전달한 KBS…공영방송 맞나

정쟁으로 종부세 완화 손 놓은 與野, 민생 외칠 자격 없다

▲ e대한경제 = 한·중 수교 30주년, 서로 존중하며 대등한 외교 펼쳐야

尹 정부 재정건전성 확보,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 파이낸셜뉴스 = 리셋 불가피한 한중관계 윈윈 청사진 새로 짜야

시한 넘긴 종부세 법안, 혼란은 누가 책임질 건가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허리시술후 사망' 원인은 황색포도알균?…"흔하지만 위험한 균"
강원도 강릉의 한 의료기관에서 허리통증 완화 시술을 받은 환자 여러 명이 이상 증상을 보인 사실이 알려지면서 의료기관 감염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강원도에 따르면 해당 의료기관에서 통증 완화 신경차단술 등 허리시술을 받은 후 8명이 최근 극심한 통증과 두통, 의식 저하, 발열 등의 증상을 보였고, 이 중 1명은 사망했다. 아직 역학조사가 끝나지 않아 시술과의 역학적 인과관계가 확인되진 않았지만, 이상증상 환자 대부분의 혈액이나 뇌척수액에서, 그리고 해당 의료기관 종사자 등에서도 발견된 '황색포도알균'이 이상 증상을 일으켰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포도송이 모양의 황색포도알균(Staphylococcus aureus)은 사실 자연계에 흔히 존재하는 세균 중 하나다. 건강한 사람의 코안이나 겨드랑이 등에도 정상적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감염되면 이상 증상으로 이어질 수 있다. 황색포도알균이 만들어내는 독소가 식중독을 유발하기도 하며, 침습적인 시술 과정 등에서 의료 감염도 드물지 않게 발생한다. 병독성이 강한 편이라 중증 감염으로 이어질 위험성도 있다. 황색포도알균은 메티실린 항생제에 효과를 보이는지에 따라 MSSA(메티실린 감수성 황색포도알균)와 MRSA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