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유아 부모 70% "일 방해 못하게 할 목적으로 스마트폰 보여줘"

육아정책연구소 6세이하 설문…영유아 셋 중 둘, 36개월전 스마트폰 이용
평일 하루 55.3분 이용…17.2%, 영유아 본인 스마트폰 보유
74.3% "공공장소에서 조용히 시키기 위해 스마트폰 허용"

 영유아를 둔 부모 3명 중 2명 이상이 일을 방해받지 않기 위해 자녀에게 스마트폰이나 태블릿PC를 보여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6세 이하 영유아 3명 중 2명은 생후 36개월이 되기 전에 스마트폰 등을 이용하기 시작했다. 영유아는 평일 하루 1시간 가까이 스마트폰·태블릿PC를 사용하고 있었고, 5~6명 중 1명은 자신의 스마트폰을 갖고 있었다.

 15일 육아정책연구소의 이슈페이퍼 '가정에서의 영유아 미디어 이용실태와 정책과제'(이정원)에 따르면 작년 8월 전국 0~6세 영유아의 부모 1천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온라인 조사에서 이같은 결과가 나왔다.

 조사 대상 가정에서는 대부분 스마트폰(99.6%)이나 TV(94.3%)를 보유하고 있었고, 부모가 이용하던 스마트폰 공기계 등 영유아 본인용 스마트폰이 있는 경우도 17.2%에 달했다.

 영유아가 스마트폰·태블릿PC를 이용을 시작하는 시기로는 12~18개월이 20.5%로 가장 많았다. 18~24개월이 13.4%, 6~12개월이 12.9%였고 생후 6개월 미만인 경우도 4.8%나 됐다. 24~36개월(17.6%)을 포함하면 36개월이 되기 전에 69.2%가 스마트폰·태블릿PC 이용을 하는 셈이다.

 영유아의 하루 스마트폰·태블릿PC 이용 시간은 평일 55.3분이었고, 주말은 97.6분으로 평일보다 길었다.

 스마트폰·태블릿PC를 이용하는 용도(복수 응답)로는 동영상 시청(85.9%)이 가장 많았고, 사진·동영상 촬영(50.6%), 게임·놀이(45.9%)도 주된 용도였다. 교육용 앱을 이용하기 위한 것이라는 대답은 42.4%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영유아 부모 70% "일 방해 못하게 할 목적으로 스마트폰 보여줘" - 2

 부모가 자녀에게 스마트폰·태블릿PC를 사용하게 허용하는 목적(복수 응답)은 아이를 위해서라기보다는 자신들을 위해서였다.

 74.3%가 '공공장소(식당, 카페, 병원, 관공서 등)에서 조용히 시키기 위해'라고 답했고, 70.2%는 '보호자의 일(식사 준비, 청소, 업무 등)을 자녀의 방해 없이 하기 위해'라고 설명했다. '교육용 앱, 동영상 이용, 온라인 수업을 위해'라는 응답은 52.0%로 절반가량에 그쳤다.

 이용하는 방식(복수 응답)은 '보호자의 허락을 받아 이용'하는 경우가 66.9%로 가장 많았지만, '자녀가 원할 때 자유롭게 이용'이라고 답한 응답자도 10.5%나 돼 보호자의 관리 없이 방치되듯 이용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응답자의 39.4%만 기기에 비밀번호를 설정하고, 36.1%만 콘텐츠 제한(필터)을 설정하며 미디어 이용 제한을 위한 기술적 방안을 적용하고 있었고, 영유아가 이용하는 콘텐츠의 연령 적합도를 항상 확인한다는 응답자는 36.6%뿐이었다.

 영유아의 66.8%는 코로나19 이후 스마트폰, 태블릿PC를 포함해 TV, 게임기 등의 미디어를 전보다 더 많이 이용했다. 이와 관련해서는 '집에 있는 시간이 늘며 심심해서'(78.8%)라는 이유가 가장 많이 꼽혔다.

 보고서는 "영유아의 미디어 이용은 성인의 시간 확보, 혹은 영유아에게 어떤 행동을 유도하기 위한 보상의 목적인 경우가 많아 우려된다"며 "최초 미디어 이용 습관을 올바르게 형성하기 위한 부모 교육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영유아 부모 70% "일 방해 못하게 할 목적으로 스마트폰 보여줘" - 3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료개혁]"대형병원, 전공의 의존 낮추고 중증환자 중심으로 바꿔야"①
정부의 의대 증원에 반발하는 전공의들이 대거 병원을 떠난 후 좀처럼 돌아오지 않으면서 국내 의료체계의 '민낯'이 드러나고 있다. 전문의가 되고자 수련하는 인턴, 레지던트 등 전공의들의 이탈만으로 심각한 '의료대란'이 벌어진 것은 그동안 전공의에 지나치게 의존해온 국내 의료체계의 문제가 수면 위로 떠오른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전공의의 집단사직으로 인한 의료대란이 역설적으로 상급종합병원의 제 기능을 일깨우고 있다. 상급종합병원들은 전공의 이탈로 어쩔 수 없이 경증환자를 돌려보내고 중증환자에 집중하고 있는데, 이야말로 상급종합병원의 '정상'적인 모습이라는 얘기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를 계기로 전공의에게 대한 과도한 의존도를 줄이고, 상급종합병원을 중증·응급환자 중심으로 개편하는 등 국내 의료체계의 '정상화'를 이뤄야 한다고 강조한다. ◇ 의료대란 부른 '전공의 과의존'…정부 "병원 구조 바로잡겠다" 10일 의료계에 따르면 그동안 대학병원 등 주요 상급종합병원은 교수나 전문의보다 '값싼' 노동력인 전공의를 대거 투입하며 비용 절감을 꾀해왔다. 2021년 보건의료인력 실태조사 결과에서 전공의는 상급종합병원 전체 의사 인력의 37.8%를 차지했다. 이른바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피부세포로 인공수정용 난자 제작 '눈앞'…불임 해결에 희소식
인간의 피부세포로 체외 인공수정(IVF) 난자를 만드는 데 청신호가 켜졌다고 영국 가디언이 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오리건보건과학대(OHSU) 연구진은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에 발표한 논문을 통해 실험용 생쥐의 피부 세포 핵을 난자에 이식시키는 방법으로 생존 가능한 배아를 만드는 기술 에 한걸음 더 다가갔다고 밝혔다. 연구진은 먼저 기증된 난자의 핵을 제거한 뒤 부모의 피부 조직에서 추출한 핵으로 대체했다. 난자는 염색체의 두 쌍 중 절반을 자연적으로 폐기하고 한 쌍만 남기는 방식으로 배양됐다. 이 작업이 있어야만 나중에 정자와 수정된 이후 수정란이 부모로부터 절반씩 염색체를 받아 정확한 수의 염색체를 가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이 같은 기술은 지난 1996년 영국 연구진이 복제 양 '돌리'를 만들었던 기술인 '체세포핵치환'(SCNT)을 응용한 것이다. 연구진은 생쥐를 대상으로 실험을 시행했으며, 지난 2022년 이 기술을 통해 생쥐 세 마리가 태어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당시 성공률은 1%도 되지 않았다. 연구진은 2022년에는 이번 연구의 개념을 증명했고, 이번에는 난자에서 염색체 절반이 어떻게 제거되는지에 초점을 맞췄다고 전했다. 향후 연

메디칼산업

더보기
"재생 치료에 쓰이는 고순도 줄기세포 대량 배양 기술 개발"
국내 연구진이 재생 치료 등에 쓰이는 임상 등급의 고순도 줄기세포를 대량으로 만들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줄기세포융합연구센터 손미영 박사팀이 세계 최초로 인간 장(腸) 오르가노이드에서 장 줄기세포를 농축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7일 밝혔다. 오르가노이드는 줄기세포나 조직공학 기술을 활용해 제작한 인체 장기유사체로, 동물 대체 실험이나 신약 개발, 재생 치료 등에서 활발하게 활용된다. 신체를 구성하는 세포로 분화하는 능력이 있는 줄기세포는 재생, 인공장기, 세포 치료 등에 이용된다. 하지만 생체 내에서 한정된 양으로만 존재할 뿐 아니라 배양이 어렵다. 연구팀은 인간 전분화능 줄기세포를 이용해 만든 3차원 장 오르가노이드에서 고순도의 인간 장 줄기세포 집합체를 대량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단일 세포 전사체 분석을 통해 장 줄기세포 집합체들이 고농축된 것을 확인, 이를 분리·배양하는데 성공했다. 생산된 장 줄기세포 집합체가 마우스 동물모델의 손상된 장 상피 세포 조직을 재생시키는 것을 확인, 치료제로서 이용 가능성을 높였다. 연구팀은 세포를 공기 중에 노출해 분화를 유도하는 '기체-액체 계면(Air-Liquid In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