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약처 "12월 감기약 생산량 정부 목표 상회"…수급 안정화

제약업계 "손익 따지기보다 공익 차원서 생산량 늘려"

 정부가 감기약 수급 문제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면서 생산·수입도 계획대로 진행되는 모양새다.

 식품의약품안전처는 15일 "지난해 12월 조제용 아세트아미노펜 제제 생산수입량이 정부가 목표로 한 예정량을 상회했다"고 밝혔다.

  아세트아미노펜 제제는 진통·해열 효과가 있는 의약품이다. 현재 여러 제품이 허가돼 있으며 모두 동일한 효능·효과를 갖는다.

 정부 계획대로 이 제제가 생산되면 감기 환자가 줄어드는 2월 중순쯤에는 수급이 안정화될 전망이다.

 지난해 11월 정부는 겨울철과 환절기 수요 증가에 대비해 해열제 중 가장 많이 사용되는 조제용 아세트아미노펜 제제를 올해 4월까지는 월평균 7천200만 정, 11월까지는 6천760만 정 확보하겠다고 발표했다.

 이에 따라 종근당은 최근 아세트아미노펜 제제인 '펜잘8시간이알서방정'을 12월 의무 수량에 맞춰 1천56만 정 공급했으며, 정부의 감기약 증산 요청에 따라 기존에 진행하던 위탁 생산과 함께 자체 생산도 하고 있다.

 종근당은 자체 생산 1억여 정과 위탁 생산 2천700만여 정을 올해 중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한미약품[128940]도 12월에만 '써스펜8시간이알서방정' 820만 정을 생산해 예상량보다 더 많은 양을 공급했다. 이번 달에도 약 1천만 정을 생산할 계획이다.

 종근당과 마찬가지로 한미약품도 정부의 생산 명령에 따라 자체 생산을 병행하고 있다.

 부광약품[003000]은 예상했던 수량만큼 생산을 진행한 것으로 알려졌다.

 업체들은 손익을 따지기보다는 공익을 위해 기꺼이 생산에 나서겠다는 입장이다.

 김영주 종근당 대표는 "기존 제품 라인을 감기약으로 대체하면 손실을 보고, 감기약 보험 약가를 인상해도 생산 측면에서 보면 거의 이익은 없다"면서도 "공급 안정이 우선이니 조치를 했다"고 말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도 "아세트아미노펜 제제를 만드는 라인에서 부가가치가 높은 다른 의약품을 만들 수도 있겠지만, 사회적으로 기여해야 해서 아세트아미노펜 제제 생산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18개 제약사의 18개 아세트아미노펜 품목에 대해 보험 약가를 올려주는 대신, 식약처에 생산·수입 계획을 제출하고 이에 맞춰 생산·수입 결과를 보고하도록 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혈당측정기 온라인 가격 강제…아이센스 과징금 2억5천600만원
온라인 재판매 업체들이 자사의 혈당측정기를 특정 가격 이하로 싸게 팔지 못하도록 '갑질'한 의료기기업체가 억대 과징금을 물게 됐다. 공정거래위원회는 공정거래법 위반 혐의로 아이센스에 과징금 2억5천600만원을 부과하기로 했다고 최근 밝혔다. 내부 직원을 대상으로 한 위법 행위 방지 교육 실시 명령도 했다. 아이센스는 2019∼2024년 자가혈당측정기 세트의 온라인 권장 판매가격을 준수하지 않은 온라인 재판매 업체에 불이익을 준 혐의를 받는다. 국내 상장사 기준으로 2020년 이후 60%가 넘는 시장 점유율을 유지하고 있는 아이센스는 오프라인 유통점의 가격경쟁력 확보를 위해 가격을 강제한 것으로 조사됐다. 아이센스는 2019년 혈액을 묻힐 수 있게 제조된 용기인 '스트립'을 저가로 판매하는 업체를 자체 적발해 공급가 10% 인상·공급 수량 제한·신규 영업활동 제한 등 불이익 조치를 부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이후에는 온라인총판 계약을 체결한 대한의료기와 함께 온라인 판매 가격을 점검한 뒤, 20개 업체를 '블랙리스트'로 관리하면서 공급 중단을 실행하기도 했다. 이는 거래 가격을 정해 그 가격대로 판매할 것을 강제하는 '재판매 가격 유지 행위'에 해당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