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15일 조간)

▲ 경향신문 = 정의당의 '50억 클럽' 특검법안 발의, 진상규명 이어져야

대통령실의 '김건희 해명', 수사 가이드라인 아닌가

은행들의 성과급·퇴직금 잔치, 사회적 책임은 잊었나

▲ 국민일보 = 집회서 '윤석열에 활쏘기'…혐오 퍼뜨리는 저급한 선동

돈잔치 비난 자초한 은행들, 자발적 서민 지원 강화해야

3년째 계속되는 주가조작 논란, 검찰 이제 끝낼 때 아닌가

▲ 서울신문 = 알고리즘 조작한 카카오택시의 불공정

巨野 '쌍특검' 강행으론 역풍만 부를 뿐이다

"이재명 대통령" 회유, 사실이라면 책임 물어야

▲ 세계일보 = 알고리즘 조작으로 플랫폼 기업 공적 책임 저버린 카카오

친명 좌장의 정진상·김용 회유 의혹, 진상 밝혀져야

'50억 클럽' 무죄 파문 확산, 檢 또 부실 수사하면 특검 부를 것

▲ 아시아투데이 = 연금개혁, 국회보다 정부가 강력히 추진하길

노후 건축물, 하루 속히 내진설계로 교체해야

▲ 조선일보 = 김명수 사법부, 재판 지연은 방치하고 법원 권한 강화 논의만

구속 이재명 최측근에 "흔들리지 마라", 뭘 지키란 건가

반도체 특위에 전문가 빼고 '위장 탈당' 의원 넣은 국회

▲ 중앙일보 = 원내대표들의 '네 탓' 릴레이…국회가 이 지경인 이유

서울 초등학교도 학생 없어 문 닫는데 교부금 다툼 할 땐가

▲ 한겨레 = '시장 장악' 카카오티 늦은 제재, 플랫폼 규제 속도 내야

압수수색영장 심사 실질화, 옳은 방향이다

대통령실 과도한 '김건희' 대응, 검찰 수사지휘하는 건가

▲ 한국일보 = 미중, 서해마저 대결의 장 삼아선 안 된다

구멍 난 전세사기 대책에 빌라 세입자 불안 여전

남 탓만 한 與野 원내대표, 실망스러운 국회연설

▲ 디지털타임스 = 전기료 폭탄에 부각된 원전 가치…혁신 가속해 비중 높여야

경쟁국들 반도체에 사활 거는데 野, 찔끔 지원도 발목잡나

▲ 매일경제 = 첨단산업특위 무소속 몫에 전문가 빼고 위장 탈당 의원이라니

혈세 축내는 좀비위원회 정리, 민주당 반대하는 이유 뭔가

의류 스타트업 혁신 꺾는 거대 플랫폼의 짝퉁 방관

▲ 브릿지경제 = 한시가 급한 조특법 개정안, 2월 안에 입법 끝내길

▲ 서울경제 = 野 내부서 "불체포특권 포기하라" 주장 왜 나오겠는가

기득권 노조 "근로자 돈 회계 공개는 당연" 지적 되새겨야

뒤늦은 반도체 지원 논의…모래주머니 제거 한시가 급하다

▲ 이데일리 = 뛰는 세금, 줄어드는 실질임금…직장인들만 봉인가

헛바퀴 돈 좀비위원회 정비…巨野, 혈세 낭비 안 보이나

▲ 이투데이 = 우에다의 日銀 진로에 韓銀도 주목해야

▲ 전자신문 = 망 이용대가 리더십 기대한다

끝나지 않은 '소부장 자립화'

▲ 한국경제 = 與 대표 후보들, 3대 개혁 어떻게 관철할지부터 밝혀라

치명적 혹 더 붙인 노란봉투법, 끝내 불법파업 조장할 텐가

국민 답답하게 만드는 의료계 혼란, 정부 서둘러 조정해야

▲ 대한경제 = 불법쟁의 조장하는 '노란봉투법' 강행처리 안된다

심상찮은 건설취업자 감소…해법은 멀리 있지 않다

▲ 파이낸셜뉴스 = '돈 잔치' 은행들, 취약층 돕는 사회적 책무 다해야

탈정치 MZ노조의 신선한 바람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알츠하이머, 혈액 속 지질과 관련 입증…치료법 개발 도움"
경북대는 수의학과 진희경·의학과 배재성 교수팀이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인 후각 장애와 뇌실확장이 혈액 인자 'S1P(스핑고신-1-포스페이트)'와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고 15일 밝혔다. S1P는 혈액 속 지질로, 고밀도지단백(HDL)과 결합한 형태로 뇌로 이동해 신경세포 생성과 뇌 구조 유지를 돕는 역할을 한다. 경북대 연구팀은 혈중 S1P 수치를 인위적으로 낮춘 생쥐 모델에서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처럼 후각 반응이 둔해지고, 뇌실이 비정상적으로 확장되는 것을 관찰했다. 같은 결과가 알츠하이머 초기 환자 혈액 분석에서 확인됐다. 환자들의 S1P 수치는 정상군에 비해 낮았고, 수치가 낮을수록 후각 인식 능력이 떨어지고 뇌실 크기는 증가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또 S1P를 포함한 혈장을 생쥐 모델에 정맥 주사하면 신경줄기세포 수가 회복하고 후각 행동이 개선됐고, 뇌실 확장도 억제되는 효과를 확인했다. 알츠하이머 초기 증상이 S1P 감소 때문이라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진 교수팀 관계자는 "이번 연구가 향후 알츠하이머 조기 진단과 치료법 개발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