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부터 영아 로타바이러스 백신 무료…"이미 걸렸어도 접종"

생후 2∼6개월 영아 대상…로타릭스·로타텍 2종 백신 중 택일

 생후 2∼6개월 영아에 대한 로타바이러스 백신 접종이 6일부터 무료로 전환된다.

 5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로타바이러스 백신이 국가필수예방접종이 되면서 6일부터 생후 2∼6개월 영아는 주소지와 상관없이 전국 위탁의료기관과 보건소에서 무료접종이 가능하다.

 지금까진 20만∼30만원의 접종 비용을 주로 보호자가 부담해왔다.

 로타바이러스 백신 국가예방접종사업 관련 궁금증을 질병청 설명을 토대로 문답으로 정리했다.

 --로타바이러스 감염증이란

 ▲ 로타바이러스 감염에 의한 급성 위장관염이다. 감염되면 24∼72시간의 잠복기를 거쳐 구토와 고열, 고열, 심한 설사 등의 증상이 4∼6일 이어진다. 탈수증도 유발할 수 있다. 기저귀나 장난감 등에 묻은 오염물로부터 영유아의 손과 입을 통해 쉽게 전파된다.

 --로타바이러스 백신 종류는

 ▲ 국내에선 '로타릭스'와 '로타텍' 2종이 유통되고 있어 이중 선택하면 된다.

 둘 다 경구용 백신으로 로타릭스는 2회(생후 2·4개월), 로타텍은 3회(생후 2·4·6개월) 접종하며, 백신에 포함된 혈청형 수에 따라 각각 1가와 5가로 구분된다. 두 백신 모두 국내 유행하는 로타바이러스 감염과 중증화 예방에서 유사한 효과와 안전성을 보였다고 질병청은 설명한다.

 --접종 가능 연령은

 ▲ 로타바이러스 백신은 생후 6주 이후부터 늦어도 15주가 되기 전까지 첫 번째 접종을 완료하고, 최대 생후 8개월이 되기 전까지 모든 접종을 완료해야 한다. 생후 2∼6개월 범위에서 다소 벗어나도 일정에 맞게 접종하면 비용이 지원된다.

 --이미 로타릭스 1회 또는 로타텍 1∼2회를 접종했는데

 ▲ 무료 전환 이전에 유료로 접종한 경우에도 남은 2∼3차 접종은 무료로 할 수 있다. 교차접종은 허용되지 않기 때문에 1차 접종 이후에 같은 백신으로 접종을 완료해야 한다. 예방접종도우미 누리집(https://nip.kdca.go.kr) '국가예방접종 지정의료기관 찾기'에서 접종가능 백신명을 선택한 후 해당 백신을 보유한 의료기관을 찾아 방문하면 된다.

 --생후 2개월에 1차 접종을 한 후 추가 접종 시기를 놓쳤다면

 ▲ 접종 간격은 8주를 지키는 것이 좋으나 지연된 경우 최대 생후 8개월이 되는 첫째 날까지 접종을 완료하는 게 좋다. 로타릭스로 접종했다면 8개월이 되기 전에 2차를, 로타텍으로 접종했다면 최소 접종 간격 4주를 고려해 8개월 첫째 날까지 2·3차를 마쳐야 한다. 생후 8개월 0일을 넘겼을 경우엔 접종하지 않는다. 초과 연령에서 접종하면 장중첩증(장겹침증) 발생 위험도가 증가한다는 연구 결과가 있다.

 --이미 아기가 로타바이러스에 감염됐어도 접종해야 할까

 ▲ 로타바이러스 장염을 앓았더라도 부분적인 면역만 형성될 수 있기 때문에 일정대로 예방접종을 완료해야 한다. 중증도 혹은 중증 위장관염이나 기타 급성질환을 앓고 있는 영아에겐 투여하지 않고 상태가 호전된 뒤 투여한다. 다만 가벼운 질환일 땐 접종할 수 있고, 특히 접종을 미룰 경우 첫 접종이 출생 15주 이후로 늦어질 수 있는 상황에선 증상이 있어도 접종을 고려할 수 있다.

 -- 종 전후 주의사항은

 ▲ 예방접종을 받은 영아는 바이러스 배출이 가능하므로 전파를 최소화하기 위해 모든 가족이 영아의 대변에 노출될 때 손을 잘 씻어야 한다. 참고로 백신 투여 전후 영아의 음식 섭취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아기가 경구 투여한 백신을 뱉어내거나 토해도 다시 접종하진 않는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목숨 위협하는 독감 합병증…"독감·폐렴구균 백신 접종해야"
대만의 유명 배우이자 가수 구준엽의 부인인 쉬시위안(徐熙媛·48)이 인플루엔자(독감)에 걸린 후 폐렴 합병증으로 사망한 것이 알려지면서 독감과 폐렴 위험성에 대한 경각심이 커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고위험군이나 면역 기능이 떨어진 사람에겐 독감이 치명적인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다며 독감과 폐렴구균 백신 접종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5일 질병관리청에 따르면 폐렴은 관련 바이러스·세균·곰팡이·기생충 등에 감염돼 호흡기(폐)에 염증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증상은 기침과 노란 가래, 발열, 늑막염으로 인한 가슴 통증, 호흡 곤란 등이며 가벼운 폐렴은 감기와 유사하다. 심하지 않으면 항생제 치료 없이 회복되기도 하지만, 드물게 폐렴이 심한 경우 호흡부전이나 사망에 이를 수 있다. 폐렴으로 인한 사망 위험군은 소아나 노인, 면역 기능이 떨어진 환자 등이다. 폐렴의 주 원인은 바이러스와 세균이다. 대부분 기도를 통해 병원체가 침입하여 염증이 시작된다. 특히 쉬시위안과 같이 독감에 걸리면 이 같은 병원체 침입에 취약해져 폐렴에 걸리기 쉽다. 정재호 국제성모병원 호흡기내과 교수는 "독감 바이러스로 인해 몸이 공격을 받은 상태에서 면역력이 떨어지면 바이러스나 세균으로 인한 2차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뇌에 플라스틱 숟가락 한개씩…" 미세플라스틱 탓 치매 가능성 걱정까지
미세플라스틱이 질병을 부를 가능성까지 의심할 정도로 인체를 급속히 오염시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뉴멕시코대 연구진은 시신을 수십구 해부해 미세플라스틱의 인체 오염도 추이를 조사한 논문을 학술지 네이처메디신에 3일(현지시간) 게재했다. 논문에 따르면 2024년 초 시신들의 신장과 간에서는 2016년 시신들보다 7∼30배 많은 미세플라스틱이 측정됐다. 이는 에베레스트에서부터 마리아나 해구까지 광범위하게 퍼진 미세플라스틱이 사람들 장기에도 점점 많이 쌓이고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특히 연구진은 예민한 기관인 두뇌에서도 2016년보다 2024년에 50% 많은 미세플라스틱을 관찰됐다. 논문의 공동 저자인 매슈 캠펜 교수는 CNN에 "평균 45∼50세 정도인 보통 사람들의 뇌 조직에서 우리가 관측한 농도는 1g당 4천800μg(마이크로그램·100만분의 1g)이며 무게로 따질 때 0.48%"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우리 뇌가 99.5%는 뇌이고 나머지는 플라스틱인 셈"이라며 머리에 플라스틱 숟가락이 한 개씩 온전히 들어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연구진은 사망 전에 치매 진단을 받은 이들의 두뇌에서는 파편 같은 플라스틱 조각이 건강한 이들보다 3∼5배 많다는 점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