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득 최하위층, 코로나19 우울증상 최상위층보다 2.4배 높아

 코로나19로 인한 소득 최하위 계층의 우울 증상 유병률이 최상위 계층보다 2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나는 등 정신건강 위험도가 경제적 수준에 따라 격차를 보였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경기연구원은 2021년 3월 전국 17개 시도에 사는 2천명을 대상으로 정신건강실태 설문조사를 벌여 그 결과를 분석한 '코로나19 팬데믹은 우리에게 평등하지 않았다'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23일 발간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한 우울 증상 유병률은 월평균 가구소득 100만원 미만인 소득 최하위 계층(32.8%)과 500만원 이상인 최상위 계층(13.4%)의 격차가 2.4배로 나타났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극단적 선택을 생각한 비율도 최하위 계층(24.1%)이 최상위 계층(6.74%)보다 약 3.6배 많았다.

 가구 구성원별로는 1인 가구의 위험이 더욱 컸다.

 1인 가구의 우울 증상 유병률(21.6%)은 2인 이상 가구(17.2%)와 4.4%포인트 격차를 보였다. 특히 남성의 경우 그 격차(1인 가구 22.9%·2인 이상 가구 14.5%)가 1.6배에 달했다.

[경기연구원 제공 자료]

 코로나19로 극단적 선택을 생각한 비율도 1인 가구(13.5%)와 2인 이상 가구(7.7%)가 1.8배 격차를 나타냈다.

 코로나19 확진자에 대한 낙인 인식도 심리적 고통을 가중한 것으로 분석됐다.

 낙인 인식이 '없다'고 응답한 집단의 우울 증상은 8.9%인데 반면 '다소 있다' 또는 '매우 심하다'고 응답한 집단은 56.6%로 6.4배 차이를 보였다.

 이에 연구원은 신종 감염병 재난으로 인한 정신건강 불평등을 해소하기 위해 ▲ 사회적 약자와 취약계층에 대한 '우선적 중재 프로그램' 마련 ▲ 정신건강 인프라에 대한 취약계층의 접근성을 높이는 '찾아가는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 팬데믹에 대한 편견과 낙인 인식을 해소하는 정책 수립 등을 제시했다.

 연구를 수행한 이은환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향후 신종 감염병 팬데믹이 발생했을 때 국민 정신건강 위험이 전염병처럼 확산하는 멘탈데믹(mentaldemic: mental+epidemic)에 대비해야 한다"며 "특히 사회적 약자와 취약계층의 형편에 더욱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떡국·약과 먹은 후엔 칫솔질 더 꼼꼼히…명절 구강 관리법은
맛있는 명절 음식을 실컷 먹고 난 후 구강질환으로 고생하지 않으려면 더욱 꼼꼼히 양치해야 한다. 이쑤시개는 잇몸에 상처를 낼 수 있으므로 일반 칫솔로 닦이지 않는 치아 단면까지 세심하게 닦으려면 치실이나 치간칫솔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10일 의료계에 따르면 명절에 즐겨 먹는 떡이나 한과, 고기, 술 등은 식후 구강질환을 유발할 수 있어 칫솔질에 신경써야 한다. 최근 젊은 층을 중심으로 유행하는 전통 간식 약과는 꿀이나 조청, 물엿 등이 발라져 있어 충치를 유발하는 당분 함량이 높을뿐더러 끈끈한 점착 성분 때문에 잔여 음식물이 치아에 달라붙어 입 안에 오래 남아 있을 수 있다. 떡국에 들어가는 떡 또한 마찬가지로, 이렇게 달고 끈끈한 음식을 먹고 난 후에는 더욱 꼼꼼히 칫솔질을 해야 한다. 오랜만에 내려간 고향에서 가족·친지들과 술을 한 잔 하고, 이에 끼기 쉬운 고기 안주까지 곁들인다면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 대한치의학회 김영석 이사는 "떡이나 한과는 오래 입 안에 남아 있으면서 세균이 증식하기 좋은 환경을 만든다"며 "알코올 성분은 입 안의 세균 군집 구성을 바꾸는데 이 때문에 치주질환 등의 가능성이 높아질 수 있다"고 말했다. 또 고기를 먹고 이쑤시개를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