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해성 커 회수한 어린이용품 3년간 17개…"집에 있나 확인해야"

대부분 물감…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 등에서 확인

 지난 2020년부터 작년까지 위해성이 크다고 평가돼 판매가 중지되고 회수조처가 내려진 어린이용품이 17개로 나타났다.

 집에 남은 것이 없는지 확인할 필요가 있겠다.

 5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소속 이주환 국민의힘 의원이 환경부에서 받은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 결과를 보면 2020년부터 2022년까지 해당 조사에서 위해성이 크다고 판단돼 업체에 어린이용으로 판매중지와 제품 회수가 권고된 어린이용품은 17개였다.

 연도별로 회수가 권고된 어린이용품은 2020년과 2021년 7개, 작년 3개 등 꾸준히 나오고 있다. 올해 어린이용품 환경유해인자 실태조사는 아직 진행 중이다.

 회수가 권고된 용품 대부분은 물감이었다.

 위해성이 크다는 판단은 '특정 환경유해인자 노출 수준을 최대허용 노출량으로 나눈 값'인 '위험지수'나 '독성 역치가 없는 환경유해인자에 평생 노출됐을 때 이 때문에 추가로 암이 발생할 수 있는 확률'인 '초과발암위해도'가 일정 수준일 때를 말한다.

 회수 조처 실시 시 도·소매업체가 보유한 제품은 비교적 쉽게 수거되지만, 각 가정에 있는 제품은 수거되지 않는 경우가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환경부가 회수량을 파악하고는 있지만 이는 업체가 보고한 양이어서 전체 회수율도 제대로 파악되지 않는 실정이다.

 환경유해인자 기준 초과 어린이용품은 위해상품판매차단시스템과 환경보건종합정보시스템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주환 의원은 "어린이가 보다 안전하게 어린이용품을 이용하고 환경유해인자에 노출되지 않도록 세심한 관심과 점검이 필요하다"라면서 "유해인자 기준 초과 용품 회수·판매중지에 강제성이 없어 실효성이 떨어지는 만큼 개선이 시급하다"라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이젠 의료개혁"…핵심은 '필수의료 강화·의사 기득권 깨기'
의대 증원을 위한 법적 걸림돌이 해소되면서 정부가 의료개혁에 박차를 가할 준비를 마쳤다. 정부는 의대 증원을 힘있게 추진할 수 있는 근본적인 동력이 '의료개혁'에 대한 국민의 절대적 성원에 있다고 보고, 의료개혁 완수를 위해 전력을 투구한다는 방침이다. 국민의 공분을 부른 '응급실 뺑뺑이', '소아과 오픈런' 등을 막기 위해 필수·지역의료 강화에 대대적인 재정 투자와 함께 다각적인 제도 정비 작업을 벌이고 있다. 의료공백 사태의 재발을 막기 위해 '의사 기득권' 타파 작업도 차근차근 진행하고 있으며, 전공의들의 처우 개선을 위한 '전문의 중심 병원' 구축에도 속도를 내고 있다. ◇ 의대증원 '최종 관문' 넘은 정부 "이제는 의료개혁" 정부와 법조계, 의료계에 따르면 서울고법 행정7부는 지난 16일 의료계가 보건복지부·교육부 장관을 상대로 낸 의대 증원·배분 집행정지 신청에 대해 각하와 기각 결정을 내렸다. 재판부가 정부의 의대 증원을 멈추게 해달라는 의대생 등의 요청을 거부한 결정적인 이유는 바로 '의료개혁의 중대성'에 있었다. 재판부는 "의대생 신청인들의 학습권 침해 등 회복하기 어려운 손해를 예방하기 위해 긴급한 필요성은 인정될 수 있지만, 이 사건 처분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비만 치료제 '위고비', 체중뿐 아니라 심혈질환 위험도 줄여"
글로벌 제약사 노보 노디스크의 비만 치료제 '위고비'가 몸무게와 관계없이 심장마비, 뇌졸중 위험을 줄인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고 블룸버그 통신이 최근 전했다. 이는 비만은 아니지만 과체중인 사람을 포함해 위고비 투여 환자 전반에서 관찰됐다고 이번 시험을 도운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 심장병학 교수 존 딘필드는 이날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열린 유럽비만회의에서 밝혔다. 이 같은 결과는 노보 노디스크가 앞서 1만7천600여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셀렉트' 시험 심층 분석을 통해 나왔다. 이 시험에서 위고비를 투여한 환자들은 위약 투여 집단보다 심혈관 질환 사례를 겪을 가능성이 20%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다수는 이미 대개 심장약과 혈압약을 복용하고 있었다고 딘필드는 말했다. 비영리연구소 카이저가족재단(KFF)에 따르면 미국 메디케어(고령자 등 취약층을 위한 공공 의료보험) 수혜자 가운데에서만 과체중, 비만인 사람의 4분의 1 가량, 약 360만명이 심장질환을 앓고 있다. 딘필드는 이번 연구 결과와 관련 의사들도 구체적인 이유는 모른다면서도 더 낮은 염증이 역할을 했을 수 있다고 시사했다. 그는 "사람들이 얼마나 먹는지뿐 아니라 무엇을 먹는지를 보면, 그들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