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간의 10배 부풀어 오른 희귀병 환자 세브란스병원서 간이식 성공

 일반인의 10배 이상인 12.1kg까지 간이 부풀어올랐던 다낭성 간질환 환자가 생체 간이식에 성공해 건강을 되찾았다고 연세의료원이 12일 밝혔다.

 연세의료원에 따르면 세브란스병원 장기이식센터 간이식팀 이재근 교수가 수술한 환자 김모 씨의 이식 간이 최근 검진을 통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것을 확인했다.

 다낭성 간질환은 체내 노폐물이 배출되지 않고 뭉쳐져 덩어리를 이루는 물혹이 간 전체에 퍼지는 희귀병으로, 증상이 있는 다낭성 간질환은 인구 100만 명당 한 명꼴로 매우 희귀하다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연세의료원은 "이 교수가 수술시간과 수혈량을 획기적으로 줄였다"며 지난해 일본 게이오 의과대학의 사례보다 수술시간은 40% 줄어든 1시간, 사용한 혈액량은 99.6% 적은 200㏄였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문헌상으로 이렇게 거대한 간의 생체 간이식은 드물다"며 김씨의 경우 물혹이 지나치게 커져 혈관 상태가 매우 약했고, 혈관이 터져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를 고려해 하대정맥(다리에서 올라오는 혈관)을 막고 간을 떼어내는 일반적 방법 대신 에크모(인공심폐기·ECMO)를 사용해 하대정맥에서 올라오는 혈액을 직접 심장으로 돌렸다.

 그는 "이번 수술은 공여자와 혈액형이 다르고 에크모까지 사용하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의료진이 협진하고 환자와 보호자가 믿고 따라줘 좋은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세브란스병원 간이식팀은 올해 초 7.7kg에 달하는 다낭성 간질환 환자 간이식에도 성공한 바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머리가 있냐 없냐" 간협, '태움' 등 피해 간호사 심리상담
"보호자에게 폭행당했다는 데도 병원은 '그냥 참으라'고만 하더라. 그 일을 겪은 뒤에는 환자 얼굴만 봐도 숨이 막혔다. 병원은 끝까지 '너만 참으면 된다'고 했다."(간호사 A씨) "출근해서 가장 먼저 하는 일이 상급자 눈치를 보는 거다. 상급자가 기분이 나쁜 날에는 하루 종일 업무를 지적하고 후배들 앞에서 모욕을 주는 게 다반사다. 얼굴에 대고 악을 지르거나 '너 때문에 일을 못 하겠다', '머리가 있냐 없냐', '우리 집 개도 너보다 말을 잘 듣는다'는 등 폭언이 이어진다."(간호사 B씨) 간호사 2명 중 1명이 이처럼 현장에서 폭언이나 폭행 등 인권침해를 경험한 적이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오면서 대한간호협회(간협)가 지난 21일 간호사의 정신건강 증진과 인권 보호를 위한 '간호사 심리상담 전문가단'을 공식 출범했다. 간협은 이날 출범한 전문가단과 간호인력지원센터를 중심으로 현장에서 '태움' 등 인권침해 등을 겪은 간호사 대상 심리상담 지원과 간호사 내부 조직문화 개선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예정이다. '태움'은 선배 간호사가 신임 간호사를 괴롭히며 가르치는 방식과 그런 문화를 지칭하는 용어다. '재가 될 때까지 태운다'는 표현에서 유래했다. 교육이라는 명목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