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상 간의 10배 부풀어 오른 희귀병 환자 세브란스병원서 간이식 성공

 일반인의 10배 이상인 12.1kg까지 간이 부풀어올랐던 다낭성 간질환 환자가 생체 간이식에 성공해 건강을 되찾았다고 연세의료원이 12일 밝혔다.

 연세의료원에 따르면 세브란스병원 장기이식센터 간이식팀 이재근 교수가 수술한 환자 김모 씨의 이식 간이 최근 검진을 통해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것을 확인했다.

 다낭성 간질환은 체내 노폐물이 배출되지 않고 뭉쳐져 덩어리를 이루는 물혹이 간 전체에 퍼지는 희귀병으로, 증상이 있는 다낭성 간질환은 인구 100만 명당 한 명꼴로 매우 희귀하다고 병원 측은 설명했다.

 연세의료원은 "이 교수가 수술시간과 수혈량을 획기적으로 줄였다"며 지난해 일본 게이오 의과대학의 사례보다 수술시간은 40% 줄어든 1시간, 사용한 혈액량은 99.6% 적은 200㏄였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문헌상으로 이렇게 거대한 간의 생체 간이식은 드물다"며 김씨의 경우 물혹이 지나치게 커져 혈관 상태가 매우 약했고, 혈관이 터져 사망에 이를 가능성이 있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이를 고려해 하대정맥(다리에서 올라오는 혈관)을 막고 간을 떼어내는 일반적 방법 대신 에크모(인공심폐기·ECMO)를 사용해 하대정맥에서 올라오는 혈액을 직접 심장으로 돌렸다.

 그는 "이번 수술은 공여자와 혈액형이 다르고 에크모까지 사용하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의료진이 협진하고 환자와 보호자가 믿고 따라줘 좋은 결과가 나왔다"고 말했다.

 세브란스병원 간이식팀은 올해 초 7.7kg에 달하는 다낭성 간질환 환자 간이식에도 성공한 바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미세먼지, 자궁까지 파고드나…"난임질환 자궁내막증 악화"
여성의 자궁은 임신했을 때 태아가 자라는 중요한 공간으로, 자궁외막(가장 바깥층)과 자궁근층(가장 두꺼운 층), 자궁내막(가장 안쪽 점막층)으로 이뤄져 있다. 이중 자궁내막은 월경 주기에 따라 두께와 구조가 변화하며, 수정란이 착상하는 중요한 곳이다. 그런데 자궁 안에 있어야 할 내막 조직이 나팔관, 복막 등의 부위에 증식하면서 출혈, 염증, 유착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바로 '자궁내막증'이다. 이 질환은 보통 가임기 여성의 10∼15%에서 발생하는데, 생리통과 골반통 같은 증상이 생길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임신을 어렵게 한다. 국내 자궁내막증 환자는 최근 5년간 50%가량 늘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인다. 하지만 불특정한 증상 탓에 적절한 시기에 진단받지 못하고 질환에 대한 인식이 낮아 발병부터 확진까지 평균 5∼10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내막증의 가장 흔한 증상인 골반 통증이 보통 생리통과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생리하는 여성들 상당수가 자신이 자궁내막증을 앓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른 채 지내다가 뒤늦게 병원을 찾는 것이다. 자궁내막증 발생에는 월경혈의 역류, 면역학적·유전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병이 생기는 근본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