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로 맞벌이 가구 5.4%P 줄어...자녀 '돌봄부담' 원인

보사연 보고서…자녀 학교 다니는 부부 월소득 2년새 24만원 감소
등교일 감소로 돌봄부담 'UP'…중장년 여성 노동시장 이탈도 원인
일자리 23.7%는 '재택근무 가능'…IT·판매 서비스직, 재택 어려워

 코로나19 유행 시기에 취학 연령대 자녀를 두고 맞벌이를 하는 가구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돌봄 부담에 맞벌이를 포기한 사례가 많았던 것으로 보인다. 취학 자녀가 있는 가구가 취업해 얻는 소득도 크게 감소했다.

 21일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코로나19 위기로 인한 근로연령층 사회적 위험의 경험과 대응의 격차'(김현경 외) 보고서에 따르면 통계청의 가계동향조사 원자료를 분석한 결과 8~17세 아동(취학아동)이 있는 부부가구 중 맞벌이인 비율은 2019년 상반기 65.9%였던 것이 코로나19가 발발한 2020년 상반기 60.5%로 5.4%포인트(p) 감소했다.

 이후 2021년 상반기 59.3%로 더 떨어졌고 일상회복기로 접어든 2022년 상반기에도 59.7%로 반등하지 못했다. 2019년 상반기와 2022년 상반기를 비교하면 6.2%p나 차이가 났다.

이는 아동이 없는 부부가구 중 맞벌이의 비율이 2019년 상반기 51.6%, 2020년 상반기 51.7%, 2021년 상반기 52.8%, 20222년 상반기 51.7% 등으로 변동이 거의 없었던 것과 비교된다.

코로나19 '돌봄부담'에 취학 자녀 부부 맞벌이 가구 줄었다 - 2

 8세 미만 아동(미취학이동)이 있는 부부가구 중 맞벌이 비율은 2019년 상반기 46.1%였던 것이 2020년 상반기 41.8%로 떨어졌지만 2022년 상반기에는 다시 45.3%로 회복했다.

 보고서는 "아동이 없는 부부가구의 경우와 맞벌이 비율의 변화가 크지 않았다는 점을 고려하면 아동이 있는 가구의 여성 고용률 변화가 크게 나타났음을 시사한다"고 분석했다.

 맞벌이를 포기하는 경우가 많아지며 취학아동이 있는 부모의 가구당 취업소득(근로·사업소득)도 감소했다.

 8~17세 아동이 있는 부부가구의 평균 취업소득(월)은 2019년 상반기 314만원이었던 것이 2021년 상반기 290만원으로 24만원이나 떨어졌다.

 보고서는 이런 상황의 배경에 코로나19 유행 후 커진 돌봄 부담과 중장년층 여성의 노동시장 이탈 가속화가 있다고 분석했다.

 보고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 미취학연령 아동에 대해 긴급보육 형태의 공적 보육시스템이 작동했다"며 "취학연령 아동의 경우 비대면 수업으로 인해 학습과 돌봄에서 부모의 필요도가 더 컸을 가능성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등교일 감소가 높은 돌봄 부담으로 이어졌고 이에 따라 (맞벌이부부의) 취업자 수 감소가 컸을 것"이라며 "감염병 위기 상황에서 사회적 돌봄 체계를 작동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교육부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 초기인 2020년 서울 초등학생의 등교일수는 42.4일에 불과했다.

보고서는 이와 함께 "연령이 높은 여성은 상대적으로 일자리 질이 좋지 않다"며 "코로나19 위기가 이들의 노동시장의 이탈을 가속화시켰을 가능성이 있다"고도 분석했다.

 한편 보고서는 한국직업정보시스템(한국고용정보원)을 활용해 분석한 결과 국내 일자리 중 23.7%('완전 재택 가능' 10.7%, '재택 가능' 12.9%)가 재택근무가 가능한 일자리인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17.4%는 '낮은 수준 재택'이 가능한 일자리로, 나머지 58.9%는 재택이 불가한 일자리로 판단됐다.

금융 사무직, 법률 및 감사 사무직, 행정·경영 지원 및 마케팅 관리직은 재택 가능한 비중이 100%였고, 경영 및 회계 관련 사무직(79.7%), 과학 전문가 및 관련직(87.5%), 상담·안내·통계 및 기타 사무직(72.9%)도 비중이 높은 편이었다.

 반면 정보통신 전문가 및 기술직(8.9%), 판매 및 고객 서비스 관리직(17.8%), 보건·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33.5%), 교육전문가 및 관련직(37.2%)은 재택가능한 일자리의 비중이 낮았다.

코로나19 '돌봄부담'에 취학 자녀 부부 맞벌이 가구 줄었다 - 4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공공병원·국공립대, 청렴도 미흡…내부갑질·연구비 횡령 여전"
공공 의료기관과 국·공립대학들이 국민권익위원회의 청렴도 조사에서 내부 갑질과 연구비 횡령 등의 문제 때문에 낮은 점수를 받았다. 공공 의료기관 22곳 중에서는 성남시의료원과 충북 청주의료원의 종합 총렴도가 가장 낮았고, 국공립대학 16곳 중에선 강원대학교와 서울대학교 등이 청렴도 하위 4등급으로 평가됐다. 권익위는 18일 이런 내용을 담은 '2023년 공공 의료기관 및 국공립대학 종합 청렴도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지난해 공공 의료기관의 종합 청렴도 점수는 평균 74.8점, 국공립대학은 77.6점으로 행정기관·공직 유관단체의 점수(80.5점)와 비교해 낮은 수준이었다. 공공 의료기관은 종합 청렴도 최상위인 1등급을 받은 곳이 아예 없었다. 2등급은 경북대병원, 경상국립대병원, 국립중앙의료원, 서울의료원, 전남대병원, 군산의료원, 전북대병원, 제주대병원, 충북대병원 등 9곳이다. 성남시의료원과 청주의료원은 최하위인 5등급을 받았고, 경기도의료원과 인천시의료원은 4등급이었다. 평가 지표 중 공공 의료기관 내부에서 일하는 근무자 1천800여명이 평가한 '내부 체감도'는 60.7점으로 현저히 낮았다. 부패 경험률도 환자·계약업체 등 외부의 경험률은 0.44%인 반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항암제 부작용·내성 줄이는 표적 항암제 나온다
국내 연구진이 기존 항암제 부작용과 내성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차세대 표적 항암제를 개발했다.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KBSI)은 연구소기업인 단디큐어 연구팀과 표적 단백질을 분해·제거하는 프로탁 약물 기술을 적용한 비소세포폐암 항암제 개발에 성공했다고 18일 밝혔다. 표적 단백질 분해 기술의 일종인 프로탁은 항암제 반복 투여로 인한 내성 문제를 해결할 새로운 약물 개발 플랫폼으로 주목받고 있다. 연구팀은 프로탁의 암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비소세포폐암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했다. 비소세포폐암은 암 생존에 필수적인 폴로유사인산화 단백질1(PLK1)이 정상세포보다 20배 이상 과발현된다. 지금까지 PLK1을 대상으로 한 신약 개발 연구가 많이 이뤄졌지만, 부작용(독성)이 발생해 성공하지 못했다. 연구팀이 실험용 쥐를 이용해 실험한 결과, 프로탁 약물 투여군의 비소세포폐암 크기 성장이 최대 70% 억제됐고, 현재 사용 중인 표적 약물 치료제와 함께 투여하면 약물 효과가 더 증가하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보통 10∼13개월 정도로 알려진 항암제 내성이 일어나는 기간을 2년 이상 늘릴 수 있고, 생존 기간도 지금보다 3배 이상 연장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