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색육 많이 먹으면 당뇨병 위험 증가…채식 전환 시 감소"

美 연구팀 "식물성 단백질 대체 시 건강 이점·온실가스 감축 기여"

 소고기와 돼지고기 같은 붉은 고기를 많이 먹을수록 제2형 당뇨병 위험이 증가하며, 붉은 고기 대신 식물성 단백질을 먹으면 당뇨병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대 T.H.찬 공중보건대학원 샤오 구 박사팀은  '미국임상영양학회지'(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에서 미국인 21만6천여명의 건강 데이터를 최대 36년간 추적 조사한 연구에서 붉은 고기와 제2형 당뇨병 위험 간 강한 연관성을 확인했다며 최근 이같이 밝혔다.

 연구팀은 이전 연구에서도 붉은 육류 섭취와 제2형 당뇨병 위험의 연관성은 발견됐지만 장기간 추적 관찰을 통해 제2형 당뇨병 발병 사례를 분석한 이 결과는 연관성에 대한 확실한 증거를 제시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간호사 건강 연구(NHS), NHSⅡ, 건강 전문가 추적 연구(HPFS) 등에 참여한 21만6천695명의 건강 데이터를 분석했다. 최대 36년 동안 2~4년마다 설문조사를 통해 음식 섭취 빈도 등을 조사했다.

 이들을 붉은 고기 섭취 빈도에 따라 그룹을 나눠 분석한 결과 가공 및 비가공 적색육 섭취가 가장 많은 그룹은 가장 적은 그룹에 비해 제2형 당뇨병 위험이 62%나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 가공 적색육을 매일 추가 섭취할 경우 제2형 당뇨병 위험이 46% 증가하고, 비가공 적색육을 매일 추가 섭취하면 발병 위험이 24% 높아지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연구팀이 하루에 섭취하는 양의 붉은 고기를 다른 식물성 단백질이나 유제품으로 대체할 경우 효과를 분석한 결과 견과류와 콩류로 대체하면 제2형 당뇨병 위험이 30% 낮아지고, 유제품으로 대체하면 22%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 제1 저자인 샤오 구 박사는 "이 연구 결과는 적색육 섭취 제한을 권장하는 학회의 식단 가이드라인을 강력하게 뒷받침한다"며 "이는 가공 적색육과 비가공 적색육 모두에 적용된다"고 밝혔다.

 연구책임자인 월터 윌렛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와 이전 연구를 고려할 때 최적의 건강과 웰빙을 원하는 사람은 일주일에 한 번 정도만 붉은 고기를 섭취하는 것이 합리적일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또 붉은 고기를 건강에 좋은 식물성 단백질 공급원으로 대체하면 건강상 이점 외에도 온실가스 배출과 기후변화를 줄이고 다른 환경적 이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 출처 : American Journal of Clinical Nutrition, Xiao Gu et al., 'Red meat intake and risk of type 2 diabetes in a prospective cohort study of US females and males', http://dx.doi.org/10.1016/j.ajcnut.2023.08.021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미세먼지, 자궁까지 파고드나…"난임질환 자궁내막증 악화"
여성의 자궁은 임신했을 때 태아가 자라는 중요한 공간으로, 자궁외막(가장 바깥층)과 자궁근층(가장 두꺼운 층), 자궁내막(가장 안쪽 점막층)으로 이뤄져 있다. 이중 자궁내막은 월경 주기에 따라 두께와 구조가 변화하며, 수정란이 착상하는 중요한 곳이다. 그런데 자궁 안에 있어야 할 내막 조직이 나팔관, 복막 등의 부위에 증식하면서 출혈, 염증, 유착을 일으키는 경우가 있다. 바로 '자궁내막증'이다. 이 질환은 보통 가임기 여성의 10∼15%에서 발생하는데, 생리통과 골반통 같은 증상이 생길 뿐만 아니라 결과적으로 임신을 어렵게 한다. 국내 자궁내막증 환자는 최근 5년간 50%가량 늘며 지속적인 증가세를 보인다. 하지만 불특정한 증상 탓에 적절한 시기에 진단받지 못하고 질환에 대한 인식이 낮아 발병부터 확진까지 평균 5∼10년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궁내막증의 가장 흔한 증상인 골반 통증이 보통 생리통과 함께 나타나기 때문에 생리하는 여성들 상당수가 자신이 자궁내막증을 앓고 있다는 사실조차 모른 채 지내다가 뒤늦게 병원을 찾는 것이다. 자궁내막증 발생에는 월경혈의 역류, 면역학적·유전적 요인 등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병이 생기는 근본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