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흡연, DNA 돌연변이 일으켜 체내 항암 단백질 생성 막는다"

캐나다 연구팀 "흡연 유발 돌연변이가 암 억제 단백질 생성 막아"

 흡연이 체내에서 DNA 돌연변이를 일으켜 암과 싸우는 단백질이 생성되는 것을 막아 암을 유발하고 암 치료를 더 어렵게 만든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캐나다 온타리오 암연구소(OICR) 쥐리 레이먼드 교수팀은 과학 저널 '사이언스 어드밴시스'(Science Advances)에서 18가지 암 유형의 종양 샘플 1만2천여 개에서 추출한 DNA를 분석, 항 암 단백질 생성을 막는 돌연변이와 흡연 간 연관성을 확인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흡연이 특정 단백질이 완전히 생성되기 전에 생성이 중단되도록 지시하는 '스톱-게인 돌연변이'(SGM:stop-gain mutations)를 일으키며, 이런 돌연변이가 비정상적인 세포의 성장을 막는 단백질 유전자에 특히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이 연구에서 강력한 컴퓨터 분석 도구를 사용해 18가지 암 유형의 종양 샘플 1만2천341개에서 추출한 DNA를 분석해 단백질 유전정보에서 염기 하나가 바뀌는 단일염기치환(SBS)을 확인하고, 이에 흡연량이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난센스 돌연변이'(nonsense mutations)로도 불리는 스톱-게인 돌연변이는 정상적인 아미노산 생성 정보가 담긴 염기서열에서 염기 하나가 변해 단백질 정보 번역을 종료시키는 명령(TAG, TAA, TGA)으로 바뀌는 돌연변이다.

 또 이런 유해한 돌연변이는 흡연량이 많을수록 더 많이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궁극적으로 암을 더 복잡하고 치료하기 어렵게 만들 수 있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논문 제1 저자인 니나 애들러 연구원(박사과정)은 "흡연은 종양 억제 단백질 생성을 막는 변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종양 억제 단백질이 없으면 비정상적인 세포의 증식이 억제되지 않아 암이 더 쉽게 발생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흡연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은 누구나 알고 있지만, 이것이 분자 수준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밝혀내는 것은 우리 생활 방식이 암 위험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이해하는 데 중요하다"고 덧붙였다.

 레이먼드 교수는 "담배는 DNA에 많은 손상을 입히고 이는 세포 기능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며 "이 연구는 흡연이 실제로 세포 구성 요소인 중요한 단백질을 어떻게 무력화시키고 장기적 건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잘 보여준다"고 말했다.

 ◆ 출처 : Science Advances, Nina Adler et al., 'Mutational processes of tobacco smoking and APOBEC activity generate protein-truncating mutations in cancer genomes', http://dx.doi.org/10.1126/sciadv.adh3083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
SML메디트리, 제이에스링크와 전략적 업무협약 체결
임상시험검체분석 전문기업 SML메디트리(대표 이동수)가 유전체기반 생명공학 전문기업 제이에스링크(대표 심철구, 이준영)와 전략적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번 협약은 양사의 고유한 기술력과 분석 인프라를 결합해 기초 연구부터 신약개발 전 과정에서의 분석적 기반을 강화하기 위한 전략적 파트너십이다. 특히 협력의 시작은 SIMOA 플랫폼을 활용한 알츠하이머 특이적 바이오마커 분석과 LC-MS/MS 기반 질량분석 기술을 연계한 공동 분석 플랫폼 구축으로 출발할 예정이다. SML메디트리는 GCLP 기준에 기반한 체계적인 분석서비스 인프라를 바탕으로 임상시험 전 주기에 걸친 검체분석을 포괄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다수의 국내외 제약사 및 연구기관의 연구개발 파트너로서 높은 신뢰를 쌓아왔다. 제이에스링크는 멀티오믹스 분석 전문기업으로 유전체, 전사체, 단백체 등의 분석 데이터 생산 및 분석을 위한 모든 플랫폼을 보유하고 있으며, 다수의 국책사업을 수행 중이다. SML메디트리 이동수 대표는 “이번 업무협약은 임상시험검체분석 전문성과 첨단 유전체 분석의 접목으로 신약개발의 성공률을 높이는 기반이 될 것”이라며 “정밀한 바이오마커 분석을 통해 환자군 선정, 약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