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톨릭대 정하윤 박사, 모더나 글로벌 펠로우십 선정

mRNA 비강 내 전달체 개발 연구

 모더나가 mRNA(메신저 리보핵산) 치료제와 백신 연구·개발 지원을 위해 진행하는 글로벌 펠로우십 프로그램에 가톨릭대 바이오메디컬화학공학과 나건 교수 연구실의 정하윤 박사가 대상자 가운데 한 명으로 선정됐다고 모더나 코리아가 6일 밝혔다.

 정 박사는 더 효과적인 mRNA 백신 개발을 위해 mRNA를 비강 내로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전달체 개발 연구를 진행한다.

 모더나는 다양한 mRNA 기술 연구를 촉진하기 위해 2021년부터 전 세계에서 해마다 40명 안팎의 연구자를 글로벌 펠로우십에 선정해 1~3년간 연구비를 지원하고 있다. 선정된 연구자는 연간  최대 17만5천 달러(약 2억2천700만원)의 급여와 연구비를 지원받게 된다.

 한국인 연구자가 모더나 글로벌 펠로우십에 선정된 것은 지난해 용인세브란스병원 가정의학과  윤지현 교수에 이어 정 박사가 두 번째라고 모더나 코리아는 전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의협, 의료기사 업무 범위 확대한 법 개정안에 "국민 생명 위협"
대한의사협회(의협)는 20일 의료기사의 업무 범위에 관한 법률 개정안을 두고 "의사의 면허권을 침해하고 국민의 생명·안전에 위해를 초래할 수 있다"며 개정안을 철회할 것을 촉구했다. 의협이 반대하는 개정안은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과 국민의힘 최보윤 의원이 대표 발의한 '의료기사 등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이다. 국회 의안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이 개정안은 현장에서 의료기사가 의사나 치과의사의 '지도' 외 '의뢰'나 '처방'에 따라 업무를 수행하기도 하는 점을 고려해 기존의 '지도'가 아닌 '지도 또는 처방·의뢰'로 의료기사의 업무 가능 범위를 늘렸다. 현행법상 의료기사에는 임상병리사, 방사선사, 물리치료사, 작업치료사 등이 있다. 의협은 이 개정안을 두고 "추후 의료기사가 업무를 독자적으로 수행하도록 업무 범위를 확장할 수 있는 근거를 마련하는 것"이라며 "'지도' 외 '의뢰나 처방'만으로도 의료기사가 업무를 할 수 있게 함으로써 의사의 감독·책임 체계를 약화하고 무자격자의 의료행위 가능성을 열어두는 심각한 문제를 안고 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의사 면허 체계의 근간을 흔드는 시도이자 의료체계 안정성을 해치는 입법 남용"이라며 "의협은 국민의 생명과

학회.학술.건강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