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이 병원서 약 배달"…XaaS 개발에 올해 76억 투입

과기정통부, 'XaaS 선도 프로젝트' 컨소시엄 25개 선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전 산업의 디지털 서비스화 촉진을 목표로 진행 중인 'XaaS 선도 프로젝트'에 로봇 기반(RaaS·Robot as a Servic) 병원 서비스 모델 등 25개 컨소시엄을 최종 선정해 올해 76억원을 지원한다고 19일 밝혔다.

 XaaS는 다양한 산업의 제품·기술·프로세스 등을 디지털 서비스 형태로(as a service) 제공하는 소프트웨어(SW) 융합형 서비스 비즈니스 모델을 말한다.

 로봇 제어 설루션 기업 빅웨이브로보틱스는 구축형 방식으로 해오던 로봇 관제를 클라우드 기반으로 전환하고 병원 업무 프로세스에 최적화한 운영 시나리오와 과금 체계를 병원 현장에 적용하기로 했다.

 기업의 글로벌 공급망과 관련한 기후 리스크를 분석해 생산·유통량 예측 등 사업 관리, 경영 전략 수립, 환경규제 대응 등에 활용하는 '글로벌 공급망 기후 리스크 분석 플랫폼 서비스'도 지원 대상으로 선정됐다.

 기후 빅데이터 기업 케이웨더가 서비스 개발을 주관하고 하나금융그룹, 두산, 코웨이, 코리안리재보험이 수요기업으로 참여한다.

 이밖에 지역 여객 터미널 중심 여객·물류 복합 환승 플랫폼, 육교·경사면 축대 등 노후한 시설 전문 모니터링 체계를 구축하는 시설물 관리 서비스 등도 지원 컨소시엄으로 선정됐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성인 8%만 "연명의료 지속"
자신이 치료가 불가능한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선택을 할 것이냐는 질문에 성인 8%만이 '연명의료 지속'을 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나머지는 연명의료 중단 결정이나 안락사, 의사조력자살을 원했다. 한국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에 따르면 성누가병원 김수정·신명섭 연구팀과 서울대 허대석 명예교수가 지난해 6월 전국 성인 1천 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를 토대로 이 같은 내용을 담은 논문을 대한의학회지(JKMS) 최신호에 실었다. '본인이 말기 암 환자라면 어떤 결정을 택하겠는가'라는 질문에 응답자 중 41.3%가 '연명의료 결정'을 택했다. 연명의료 결정은 무의미한 생명 연장만을 목적으로 하는 의료행위를 시작하지 않거나 중단하는 결정을 뜻한다. 인위적으로 생명을 단축하지도 연장하지도 않고, 자연스럽게 죽음에 이르겠다는 것이다. '안락사'를 택하겠다는 응답자가 35.5%, '의사조력자살'이 15.4%로 뒤를 이었다. 안락사와 의사조력자살은 모두 의사가 환자의 요청에 따라 죽음을 유도하는 약물을 처방하는 것인데, 안락사는 의사가 직접 약물을 투여하고, 의사조력자살은 환자 스스로 처방받은 약물을 복용한다는 차이가 있다. 연명의료를 지속하겠다는 응답은 7.8%에 그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