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특화 보험 시장 커진다…저출생 문제도 대응

"주담보 중심·여성 연령대별 상품 개발 필요" 지적도

 여성 관련 질환에 난임 치료 보장까지 담은 여성 특화 보험의 성장세가 두드러지면서 보험사들이 앞다퉈 관련 상품을 출시하고 있다.

 23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한화손해보험이 작년 출시한 '한화 시그니처 여성 건강보험', 올해 1월 출시한 2.0 시리즈는 출시 이후 올해 5월까지 17만건 이상이 판매됐다.

 같은 기간 원수보험료 누계는 782억원을 기록했다. 작년 11월 말 기준으로 2030 연령대 여성 고객의 가입 성장률은 약 73.6%에 달했다.

 이 상품은 여성에게 발생할 수 있는 질환을 패키지 담보 상품으로 보장한다. 업계 최초로 고객의 난소기능 검사를 지원하고, 난자동결 보존 시술 시 고객을 우대하는 헬스케어 특화 서비스를 탑재한 것이 특징이다.

 NH농협생명이 지난 5월 출시한 여성 전용 '핑크케어 NH건강보험'은 판매 한 달 만에 계약 건수 2만건을 돌파했다.

 이 상품은 여성 주요암(유방, 생식기, 갑상선)에 대해 진단과정부터 수술까지 단계별로 보장하고, 여성 다빈도 질병(갑상선, 자궁근종 등)과 함께 임신 준비부터 출산까지 대비할 수 있는 여성 생애주기 맞춤형 보험이다.

 신한라이프는 이달 10일 여성에게 자주 발생하는 질환과 임신·출산, 갱년기 질병 등을 보장하는 '신한건강보장보험 원(ONE)더우먼'을 출시했고, 흥국화재는 '모녀 가입 할인'을 제공하는 여성 특화보험인 '무배당 흥Good 모두 담은 여성 MZ보험'을 지난달 내놨다.

 롯데손해보험은 지난 3월 산후우울증 등으로 건강관리에 어려움을 겪는 육아맘을 위한 'MY FAM 알파맘보험'을 출시했다.

 올해 들어 단기납 종신보험 등 상품 판매 열풍이 잦아든 이후 보험사들이 새로운 상품 차별화 전략으로 여성 특화 상품을 잇달아 내놓으면서 여성 특화 보험 시장은 더욱 커질 것으로 보인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여성과 남성의 신체 구조가 상당히 다른데도 그동안 남성 위주의 공통 담보에서 디테일하게 구분하지 못한 부분이 있었는데 신상품들이 이러한 니즈를 포착했다"며 "사회적 화두인 저출생에 대한 보장이 포함된 것도 인기 요인 중 하나"라고 말했다.

 보험연구원은 최근 보고서에서 "현재는 여성 특화 보험시장 성장 초기 단계"라며 "주담보 중심의 여성 특화 보험상품 개발이 이뤄지면 보장 담보 및 가격 측면에서 상품의 효율성이 개선될 수 있을 것이고, 여성의 연령대별로 보장 수요를 세분화한 상품을 개발하면 여성 특화 보험시장은 한층 더 성장할 수 있을 것"이라고 기대했다.

 업계 차원에서 저출생 문제에 대응하려는 노력도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앞서 이병래 손해보험협회장은 임신, 출산 관련 질병도 실손보험 보장 대상으로 포함하는 방안을 추진할 것이라고 밝힌 바 있다.

 금융당국과 협회 등은 보험개혁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을 포함한 실손보험 표준약관 개정 문제를 논의 중이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