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대학생 81% "상반기 대학병원 신규 간호사 채용 지연 매우 심각"

대한간호대학학생협회 설문조사 결과…학생 40% "졸업유예 고려"
"간호계 취업난 일시적 현상 아냐…쏠림·적체 등 여러 문제"

 간호대학 학생 10명 중 8명은 '전공의 사태'로 경영난을 겪은 대형병원들이 올해 상반기 신규 간호사 채용을 중단한 것을 매우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대 학생의 약 40%는 신규 채용 지연에 졸업을 유예하거나 졸업유예를 고민하는 것으로도 파악됐다.

 대한간호대학학생협회는 6월 26∼30일 전국 197개 간호대학 학생을 대상으로 실시한 '간호계의 위축된 취업시장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를 1일 발표했다.

 설문조사 결과를 보면 '2024년 상반기 대학병원의 신규 간호사 채용 지연 문제'에 대해 '인지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전체(1천801명)의 95.4%였다. 이 중 81.1%는 문제가 '매우 심각하다', 18.6%는 '심각하다'고 밝혔다.

 '지속적인 신규 간호사 채용 인원 감소'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98.4%가 '인지하고 있다'고 답했고, '매우 심각하다' 77.0%, '심각하다' 21.6%였다.

 신규 간호사 채용 지연으로 인해 겪는 문제로는 '어학점수·면접준비 등 취업 준비 난항'이 82.5%(복수응답)로 가장 많았다.

 '학사 학위취득 유예(졸업 유예)' 39.4%, '간호 국가고시 준비에 영향' 37.7%, '전공수업 이수 계획 변동' 18.9%가 뒤를 이었다.

 신규 간호사 채용 지연의 원인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2.0%가 '대한민국 간호계의 법제 및 제도적 결합'을 꼽았다. 이들은 '간호법 부재'(84.6%·복수응답), '간호대학의 지속적인 인원 증원'(68.2%), '예비 간호사 적체'(60.4%), '지역의료환경의 개선 부족'(49.9%) 등을 지적했다.

 '대학병원의 경영난'을 신규 채용 지연의 원인으로 본 응답자는 전체의 18.5%였다.

 간호대 학생의 74.6%(복수응답)는 신규 간호사 채용 지연 문제를 해결하려면 '의료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 간호대학 추가 증원 중단'(63.1%), '의료 필수인력 적재적소 배치를 위한 방안 모색'(51%), '지역기피 현상 개선을 위한 방안 모색'(29.2%) 등의 답변도 나왔다.

 대한간호대학학생협회는 "신규 간호사 채용이 지연 혹은 취소되면서 4학년은 졸업 유예까지 고민하는 등 간호대 학생들이 극심한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올해 2월 시작된 전공의들의 병원 이탈로 대형병원들이 경영난을 겪으면서 상반기에 상급종합병원 중 신규 간호사 채용을 진행한 곳은 중앙대병원뿐이다.

 다만, 협회는 "서울대병원은 신규 간호사 채용 규모를 2018년 450명에서 2022년 250명, 2023년 50명으로 대폭 줄였고, 세브란스병원도 2018년 600여 명의 신규 간호사를 채용했지만 2023년 320명으로 규모를 절반가량으로 줄였다"며 "간호계 취업난을 일시적인 현상으로 치부해 외면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열악한 간호사 근무 환경으로 인한 쏠림 현상과 지역 병원의 간호사 처우 문제, 예비 간호사 적체로 인한 채용 문제의 지속, 무리한 간호대 증원 등 여러 제도적 문제를 들여다봐야 한다"고 조언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필수의료 분야 의료사고 배상보험료, 정부가 50∼75% 지원
산부인과와 소아과 등 필수의료 분야에 종사하는 의료진의 의료사고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정부가 배상보험료의 50∼75%를 지원한다. 보건복지부는 필수의료 의료진 배상보험료 지원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하기로 하고, 27일부터 내달 11일까지 15일간 사업에 참여할 보험사를 공모한다고 밝혔다. 이번 사업은 필수의료 분야 의료사고에 대한 국가 책임을 강화한다는 국정과제의 일환이다. 생명과 직결되는 필수의료 분야는 의료사고 발생 위험도 상대적으로 큰 데다 고액 배상으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아 이 같은 의료사고 리스크가 그간 의사들이 필수의료를 기피하는 원인 중 하나로 지목돼 왔다. 의료사고에 대비해 민간 보험사와 대한의료협회 의료배상공제조합이 배상보험을 운영하고 있지만, 의료기관의 보험 가입률도 높지 않고 보장한도도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정부는 필수의료 의료진의 배상 부담을 완화하고, 환자의 피해 회복도 돕기 위한 안전망으로 필수의료 특성에 맞는 배상보험을 설계하고 배상보험료를 지원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올해 50억2천500만원의 예산이 편성됐다. 보험료 지원 대상은 필수의료 분야 전문의와 전공의다. 전문의의 경우 분만 실적이 있는 산부인과(의원급·병원급)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