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의료용 마약류 복용 환자, 2천만 명 육박"

식약처전년 대비 2.3% 증가…ADHD 치료제 처방 늘고 펜타닐·펜터민 줄어,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의료용 마약류를 복용한 환자가 2천만명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의 '2023년 의료용 마약류 취급현황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의료용 마약류를 처방받은 환자는 총 1천991만명으로 전년 대비 2.3%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의료용 마약류 처방량은 지난해 18억9천411만개로 역시 전년과 비교해 1.1% 늘었다.

 연령별 처방받은 환자로는 50대가 418만명으로 전체의 21.1%를 차지하며 가장 많았다. 이어 60대(389만명), 40대(388만명), 30대(246만명)가 뒤를 이었다.

 처방받은 약 종류로 살펴보면 항불안제가 9억1천824만개로 전체 48.5%를 차지했다.

 최면진정제, 항뇌전증제, 식욕억제제도 각각 2억9천879만개, 2억3천428만개, 2억2천700만개 처방됐다.

 지난해에는 특히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치료제인 메틸페니데이트를 처방받은 환자가 28만663명으로 2022년 22만1천483명에 비해 26.7% 늘었고, 이에 따라 처방량도 2022년 5천695만3천정에서 지난해 7천312만5천정으로 28.4%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다만 오남용 우려가 많은 펜타닐 패치(마약성 진통제), 펜터민(식욕억제제)의 경우 처방받은 환자 수와 처방량 등이 모두 감소했다고 식약처는 전했다.

 펜타닐을 처방받은 환자는 2022년 16만 2천명에서 지난해 15만1천명으로 6.8% 감소했다.

 약국, 의료기관, 동물병원 등 의료용 마약류 취급자 지난해 모두 4만7천645곳으로 2019년 이래 계속 증가세인 것으로 파악됐다.

 마약류를 처방한 실적이 있는 의사, 치과의사, 수의사 수도 지난해 11만4천13명으로 전년과 비교해 2천552명 늘었다.

 또 지난해 우리나라 의료용 마약류 생산량과 수입량은 각각 17억 8천235만개, 3억3천973만개로 전년 대비 2억373만개, 6천768만 개 늘었다.

 반면 수출량은 1천350만개로 같은 기간 167만개 줄었다.

 채규한 식약처 마약안전기획관은 "환자에게 필요한 의료용 마약류가 오·남용되지 않도록 사용기준을 제공하는 등 안전한 사용환경을 조성하고 사전 예방과 재활 등 체계적 지원책을 마련하겠다"고 말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정은경 "마음투자 지원사업, 자살 고위험군 중심으로 재편"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전 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 개편 방안을 두고 "자살 고위험군을 관리하는 사업으로 재편하겠다"고 말했다. 정 장관은 지난 14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전 국민 마음투자 지원사업의 개편이 필요하다는 질문에 이렇게 답했다. 그는 "제도의 질 관리, 성과 관리를 강화하고자 지표와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며 "사업 대상과 관련해서도 자살 고위험군 마음 상담 지원이 필요하다고 판단해 사업을 재편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코스피 지수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한 가운데 정 장관은 '큰손' 국민연금의 국내 증시 투자 확대도 검토하기로 했다. 그는 "노후 자금의 수익성, 안정성이라는 국민연금의 투자 원칙은 크게 변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다만 최근 국내 기업 거버넌스의 개선, 신성장 동력 등 경제 정책을 반영해 (국내 증시) 중장기 투자 비중을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국민연금 기금운용위원회 한석훈 상근 전문위원과 관련한 논란을 두고는 전문위원이 국민연금의 신뢰에 악영향을 끼쳐서는 안 된다고 했다. 검사 출신인 한 전문위원은 국가인권위원회 비상임위원으로 겸직하면서 100여번 인권위 출장을 가는 등 상근직으로서 역할에 소홀했다는 지적을 받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만성 스트레스가 우울증 일으킨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기억및교세포 연구단 이창준 단장, 이보영 연구위원 연구팀이 만성 스트레스가 뇌 전전두엽에서 단백질의 당사슬(당쇄) 형태를 바꿔 우울증을 일으키는 뇌 분자 기전을 규명했다고 최근 밝혔다. 우울증은 단순한 우울감을 넘어서 무기력, 수면 장애 등 증상을 동반한다. 심리적·환경적·유전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다양한 발병 기전이 보고되고 있으나, 실제 치료는 신경전달물질 조절에 집중돼 있다. 세로토닌 기반 항우울제가 널리 쓰이지만, 효과를 보는 환자가 절반에 못 미치며 위장 장애나 불안 악화 등 부작용을 일으킨다. 신경전달물질 중심의 접근을 넘어 뇌 속 새로운 분자 기전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다. 연구팀은 단백질의 당쇄화 과정에 주목됐다. 당쇄화는 단백질에 작은 당 사슬이 붙어 단백질의 구조와 기능을 바꾸는 과정으로, 암·바이러스 감염·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질환에서 중요한 분자 기전으로 주목받고 있다. 당쇄화 형태에 따라 N-결합형, O-결합형 등이 있는데 최근 우울증 환자의 생체시료 분석에서 다른 뇌 질환에 비해 O-당쇄화 합성 유전자가 뚜렷한 변화를 보인다는 결과가 보고됐다. 연구팀이 뇌 조직 샘플별로 분석한 결과 세부 영역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