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워지는 지구…늘어나는 식중독균 위협

기온 오를수록 미생물 성장 '최적'…1도 오를 때마다 식중독 5% 증가

 여름철을 맞아 집단 식중독 사례가 증가하는 가운데, 기후 변화로 인해 식중독균이 더 빠르게, 더 자주 우리의 일상을 위협할 전망이다.

 지난 달 경남 창원의 한 병원에서 직원 수십 명이 복통·설사 등 식중독 의심 증상을 보인 데 이어, 최근 전북 남원의 초·중·고등학교에서 집단으로 식중독 의심 환자가 발생했다.

 보건 당국의 조사 결과, 해당 학교에서는 급식 김치에서 식중독 원인균인 노로바이러스가 검출된 것으로 드러났다.

 노로바이러스 등 바이러스형 식중독 외에도 살모넬라, 장염비브리오,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 등 세균을 통해 발생하는 식중독도 있다.

 살모넬라는 닭과 계란에서, 장염비브리오는 생선회·어패류를 통해, 클로스트리디움 퍼프린젠스는 제육볶음·불고기 등 육류를 원료로 한 조리 식품에서 주로 발생한다.

 바이러스는 적은 입자로도 우리 몸에서 증식할 수 있지만, 세균은 장내 위산으로 쉽게 사멸되는 특성에 따라 수십만에서 수백만 마리로 증식하지 않는 이상 우리 몸에서 식중독을 일으키지는 않는다.

 여름철 대부분의 생선에 일정량의 장염 비브리오가 존재하지만, 소량 섭취로는 식중독에 걸리지 않는 이유도 그 때문이다.

 다만, 세균은 따뜻한 온도에서 빨리 증식해 냉장·냉동 온도를 지키고, 충분히 가열해 섭취해야 식중독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다.

 실제 세균성 식중독은 날씨가 더워지는 시기에 주로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약처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살모넬라로 인한 식중독 환자 수는 9월(623명), 7월(477명), 5월(448명) 순으로 잠정 집계됐다. 장염비브리오 환자도 지난해 7월 76명이 발생했다.

 특히, 기후 변화에 따라 기온이 상승할수록 식중독균 전파 속도가 증가하고, 식중독 발생이 빈번해질 것이란 우려가 나온다.

 정명섭 식품위생정책연구원장은 "기후 변화로 습도·온도가 올라가면 미생물이 성장하기에 가장 좋은 조건이 된다"며 "비가 많이 와서 홍수가 나면 이동성이 떨어지는 해충마저 빠르게 전국으로 퍼질 수 있다"고 말했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2009년 발간한 '기후변화와 식중독 발생 예측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기온이 평균 1도 오를 때마다 식중독 발생 건수는 5.3%, 환자 수는 6.2% 증가한다. 해당 데이터가 약 15년 전에 나온 것을 감안할 때, 확산 속도는 더 빨라졌을 수 있다.

 기온이 오를수록 식중독균 종류가 증가할 수 있다는 의견도 제기된다.

 하상도 중앙대 식품공학부 교수는 "새로운 종이 나올 수도 있고, 콜레라처럼 사라졌다 다시 등장하는 식중독균도 있다"며 "기후 변화에 따른 기온 상승이 그 이유 중에 하나"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식약처는 식중독 예방을 위해 흐르는 물에 비누로 30초 이상 손을 씻고, 육류 조리 시 중심 온도(식품의 맨 가운데 온도) 75도에서 1분 이상, 어패류는 85도에서 1분 이상 익혀 먹어야 한다고 당부했다.

 날음식용, 조리 음식용 칼·도마는 구분해 사용하고, 물은 끓여 마셔야 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이쑤시개 잦은 사용보단 치실·치간칫솔 쓰세요"
우리나라 대부분의 식당 계산대에는 이쑤시개가 놓여 있다. 식사를 마친 사람들이 잇새에 낀 음식 찌꺼기를 제거하는 데 사용하라는 취지다. 사실 이쑤시개의 역사는 깊다. 학계에서는 그동안 발굴된 화석으로 볼 때 현생 인류인 호모사피엔스가 등장하기 이전의 조상 인류인 사람족(호미닌)이 이미 동물의 뼈를 작고 가늘게 갈아 이쑤시개로 썼다는 학설부터 기원전 1천600년께 중국에서 우리가 현재 쓰고 있는 형태의 이쑤시개가 처음 사용돼 동아시아로 확산했다는 분석이 공존한다. 서양에서는 고대 로마에서 이쑤시개를 만들어 썼고, 19세기 미국에서 대량생산품이 처음 등장한 것으로 알려진다. 고증 여부를 떠나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오랜 기간 이쑤시개가 치아 관리에 필수 요소였던 셈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제 치실과 치간칫솔 등으로 더 꼼꼼한 치아 관리가 가능해진 만큼 이쑤시개를 더는 쓰지 않는 게 좋다고 권고한다. 더욱이 이쑤시개를 치아 사이에 깊숙이 넣는 방식으로 계속 사용하면 오히려 치아 건강에 해가 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서울대치과병원 치주과 조영단 교수는 "이쑤시개처럼 단단한 도구는 치실이나 치간칫솔처럼 유연성이 없다"면서 "이 때문에 치아 사이에 끼인 음식물을

메디칼산업

더보기
포항공대-신풍제약 공동 개발 골관절염 치료제 내년 출시
포항공대(포스텍) 연구팀이 제약사와 공동으로 개발한 골관절염 치료제가 출시된다. 포항공대는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 연구팀이 신풍제약과 공동 연구를 통해 개발한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 기반 무릎골관절염 치료제 '하이알플렉스주'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품목허가 승인을 받았다고 최근 밝혔다. 무릎골관절염은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무릎 관절에 통증과 기능 이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히알루론산은 관절 내 활액 성분으로 무릎 관절에 주사하면 통증을 줄이고 기능을 개선하는 초기요법제다. 활액은 관절 사이에 있는 점성 유체로 마찰을 줄여주는 윤활유 역할을 한다. 기존 히알루론산 관절강 주사제는 체내에서 빠르게 분해돼 자주 투여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에 한세광 교수 연구팀은 분해 효소 작용을 억제해 체내 지속성을 향상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런 히알루론산 하이드로젤 효능과 안전성은 미국 화학회지인 '바이오컨주게이트 케미스트리', '바이오머티리얼스' 등에 실렸다. 신풍제약은 포항공대와 공동으로 출원한 특허를 바탕으로 히알루론산 무릎골관절염 1회 요법 제 신약 '하이알플렉스주'를 내년에 출시할 예정이다. 연구를 주도한 한세광 교수는 "이번에 제품화에 성공한 무릎 골관절염 치료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