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열질환 밤낮 없다…오전 0∼10시 발생 환자 923%↑

오후 12∼19시 발생환자 증가율 442%의 두 배…열대야 많아진 영향
질병청 "새벽에 응급실 오는 환자도 있어…밤 환자 늘었다"

 온열질환에 밤낮이 없어졌다.

 지구 온난화로 날이 갈수록 더워지는 가운데, 최근 10여년 간 오전 0∼10시 온열질환 환자 증가율이 900%를 넘어 낮 동안 발생한 환자 증가율의 두 배를 웃돌았다.

 6일 질병관리청의 온열질환 응급실 감시체계 연보를 보면 오전 6∼10시에 발생한 환자는 감시체계를 가동한 첫해인 2011년 20명에서 지난해 265명으로 무려 1천225% 폭증했다.

 2011∼2023년 사이 낮 동안의 온열질환 환자도 물론 늘었다. 그러나 증가율만 놓고 보면 오전의 증가율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오후 12∼7시에 발생한 온열질환 환자는 2011년 330명에서 지난해 1천788명으로 442% 늘었다.

 세부 집계 시간대별로 보면 2011∼2023년 오전 6∼10시(1천225%) 환자 증가율이 제일 높았고, 오전 10∼11시(1천172%)에도 증가율은 1천%를 넘었다.

 오후 1∼2시, 2∼3시 등 낮 동안의 환자 증가율은 400% 안팎이었다.

 한창 날이 뜨거울 때인 낮과 비교하면 밤사이 증가율은 놀라운 수치다.

 이 때문에 요즘같이 밤낮으로 더위가 이어지는 날에는 해가 진 뒤에도 물을 자주 마시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등 온열질환 예방에 주의해야 한다.

 질병청 관계자는 "예전에는 오후 12∼3시에 온열질환에 주의하셔야 한다고 안내했지만, 점차 오전 환자 발생이 늘고 있다"며 "어떤 때는 새벽에 응급실에 실려 오시는 분들도 계셔서 발생 시간대별 환자 집계가 무의미해질 정도로 밤에도 환자가 늘었다"라고 말했다.

 밤에 발생하는 환자가 많아진 이유를 두고는 "정확한 원인을 당장 알 수는 없지만, 열대야가 늘어난 영향으로 추정해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온열질환은 열에 장시간 노출될 경우 발생하는 질환으로, 열사병과 열탈진 등이 대표적이다.

 이 가운데 열사병은 체온이 40도 이상으로 오르고 피부가 건조한 상태에서 의식이 희미해지는 질환이고, 열탈진은 땀을 과도하게 흘려 무기력해진 경우를 뜻한다.

 열탈진은 시원한 곳에서 쉬면서 수분을 섭취함으로써 조치할 수 있지만, 열사병에 걸리면 119에 즉시 신고하고 환자의 체온을 낮춰줘야 한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삼성서울병원 선정
최중증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를 진료할 '중증 모자의료센터'로 서울대병원과 삼성서울병원이 선정됐다고 보건복지부가 1일 밝혔다. 이번에 새롭게 도입되는 중증 모자의료센터는 최종 전원기관으로서 모자의료 전달체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그간 정부는 고위험 산모와 신생아 진료를 위해 신생아 집중치료 지역센터와 고위험 산모·신생아 통합치료센터를 지정해 운영해왔는데, 센터간 역량 차이와 지역별 인프라 연계 부족 등으로 중증 환자 진료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었다. 이에 정부는 중증도에 따라 진료가 이뤄지도록 중증 모자의료센터와 권역 모자의료센터, 지역 모자의료센터 등으로 모자의료 전달체계를 개편했다. 이번에 선정된 2곳은 산과, 신생아과뿐 아니라 소아청소년과 세부 분과 및 소아 협진진료과 진료역량도 갖춰 고위험 산모·신생아와 다학제적 치료가 필요한 중환자에게 전국 최고 수준의 치료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복지부는 설명했다. 이들 의료기관은 24시간 진료체계 유지와 예비병상 운영 등을 통해 다른 병원들에서 응급환자 치료가 어려운 경우 최대한 환자를 수용·치료하게 된다. 정부는 이를 위해 두 병원에 시설·장비비 10억원과 운영비 12억원을 지원한다. 정통령 복지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