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료원 35곳, 코로나19에 2020년부터 누적 적자 2조원"

"정부 손실보상금은 1조6천억원으로 진료비 적자의 76% 수준"

 코로나19 대응에 투입됐던 서울의료원 등 지방의료원이 정부의 손실보상금 지원에도 적자를 면치 못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내에서 코로나19 유행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지방의료원 35곳의 누적 진료비 적자는 2조원을 넘겼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김남희 의원이 최근 보건복지부에서 제출받은 '지방의료원별 회계 결산자료'와 '코로나19 손실보상금 지원 현황'에 따르면 지방의료원 35곳은 2020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2조969억원의 의료이익 적자를 냈다.

 이 기간 정부가 지방의료원에 지원한 코로나19 손실보상금은 1조6천억원으로 전체 적자 규모의 76% 수준에 불과했다.

 이들 세 곳의 코로나19 손실 지원금은 서울의료원 1천529억원, 부산의료원 1천148억원, 성남의료원 809억원으로 적자를 보전하기엔 역부족이었다.

 같은 기간 500억원 이상 1천억원 이하의 의료이익 적자를 본 지방의료원도 15곳에 달했다.

 2020년 이후 의료이익이 흑자를 기록한 지방의료원은 단 한 곳도 없었다.

 김 의원은 "코로나19 대응에 집중적으로 투입됐던 지방의료원이 코로나19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기까지 예상보다 훨씬 더 긴 시간이 걸리고 있다"며 "지역 필수의료기관 역할을 하는 지방의료원을 살리기 위한 과감한 국가의 재정 지원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표] 2020∼2023년 35개 지방의료원 의료이익(수익-비용) (단위: 백만원)

 

  2020년 2121년 2022년 2023년 합계
의료 수익 817,404 1,092,982 1,054,207 1,077,890 4,042,484
의료 비용 1,343,364 1,541,563,954 1,601,401 1,653,046 6,139,375
의료 이익
(수익-비용)
-525,959 -448,582 -547,194 -575,155 -2,096,891
코로나19
손실보상금 지원
316,405 738,030 466,017 73,069 1,593,521

 

※ 김남희 의원실이 복지부가 제출한 '2020~2023 지방의료원별 회계 결산자료'와 '코로나19 손실 보상금 지원 현황' 자료를 분석해 재구성.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효소는 유전자가 설계한 기계처럼 작동한다"
우리 몸의 생화학 반응을 조율하는 효소가 실제로는 유전자가 설계한 나노 기계처럼 작동한다는 사실을 국내외 공동 연구진이 입증했다. 4일 울산과학기술원(UNIST)에 따르면 이 대학 물리학과 츠비 틀루스티 특훈교수팀은 이스라엘 와이즈만 연구소의 일라이셔 모지스 박사팀과 함께 효소 내부의 점탄성이 효소의 생물학적 기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밝혀냈다. 효소는 음식물 소화, 에너지 생성, DNA 복사, 노폐물 처리 등 화학 과정을 활성화하는 생체 단백질이다. 효소는 작동할 때 구조가 열리고 닫히는 움직임을 반복하는데, 이때 단백질 전체가 단단하지도 흐물흐물하지도 않고 마치 스프링처럼 탄력 있게 움직이며 충격을 흡수하는 성질인 점탄성을 보인다. 효소는 점탄성을 통해 구조적 유연성과 안정성을 유지한다. 연구팀은 효소의 기계적 특성이라고 할 수 있는 점탄성이 망가지면 화학적 기능인 활성도 크게 떨어지는 것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첨단 측정 기술을 통해 효소에서 기계의 완충 장치인 '쇼크 옵서버'와 같은 역할을 하는 '고변형 영역'을 찾아내 이 영역의 아미노산 1개를 바꿔 돌연변이를 만드는 실험으로 이 같은 사실을 밝혀냈다. 고변형 영역은 효소 안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