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신문 사설](2일 조간)

▲ 경향신문 = 아리셀 참사 국감 증인 채택은 전무, 외국인 재해라 외면했나

대통령실 '고발사주, 전당대회 개입' 의혹 윗선 규명해야

2년 연속 열병식 연 국군의날, 장병 안전과 복리를 더 챙기길

▲ 서울신문 = '안보는 정보전' 확인시키는 이스라엘… 지금 우리는

정원 논의기구에 의료계 참여해 접점 찾기를

불어나는 '장기 백수' 청년들… 경제 역동성 되살려야

▲ 세계일보 = 장기 백수 외환위기 후 최대, 규제 혁파·노동개혁 시급하다

"핵 쓰면 북한 정권 종말" 尹 대통령 경고, 힘으로 뒷받침돼야

이스라엘, 레바논 지상전 개시… 안보·경제 악영향 차단하길

▲ 아시아투데이 = '北정권 종말' 경고…아시아판 NATO 적극 검토하길

이재명 다중 사법리스크 재판, 법원 손에 국운 달렸다

▲ 조선일보 = '생지옥' 천리마 운동에서 장점만 발굴해 낸 한국사 교과서

봉안 시설까지 포화, 장례 문화 완전히 바뀌어야

영장 기각 판사도 "소명" 인정한 위증교사, 뭘 조작했다는 건지

▲ 중앙일보 = 법원도 "이태원 참사는 인재"라는데 서장만 책임지나

전면전 위기의 중동, 모든 비상 시나리오 철저히 대비해야

▲ 한겨레 = 서울 도심서 2년째 열린 시대착오적 '군사 퍼레이드'

"대통령 사과했으니 국민이 이해하라"는 한 총리

'5·18 성폭력 고발' 피해자의 용기에 국가가 응답해야

▲ 한국일보 = 이태원 참사 인재(人災)인정… 정권 차원 반성 필요하다

이시바 내각, 한일협력 기대 불구 군사대국 기도 우려 크다

이번엔 '한동훈 공격 사주', 선 넘은 여권 내분

▲ 글로벌이코노믹 = 중국 저가폰 동남아 시장 휩쓴 이유

디지털시대 근로시간 유연화 시급

▲ 대한경제 = 거부권 행사보다 '金 여사' 사과가 먼저다

수출 호황에도 부진한 내수 진작 위해 서비스산업 족쇄 풀어야

▲ 디지털타임스 = 한은서 150조 빌린 정부, 언제까지 급전으로 재정 메울건가

또 韓 빼고 與지도부 만나는 尹… 국민이 어떻게 보겠나

▲ 매일경제 = 기강해이 공직사회, 보상체계 뜯어고치고 전문성 키워야

복지장관, 전공의에 사과 … 의료계도 조건 없이 대화 동참을

15년 무주택 4인가족조차 꿈도 못꾸는 강남 로또 청약

▲ 브릿지경제 = 고려아연 공개매수, '중국 변수' 경계해야 한다

▲ 서울경제 = 정부 '한은 마통' 누적 대출 152조 … 선심정책 경쟁할 때 아니다

국회, 기업인 무더기 증인 채택 … 망신주기 국감 악습 벗어나야

정부·의사 한발씩 물러나 '2026년 증원 재논의'로 대화 물꼬 터야

▲ 이데일리 = 76주년 국군의날에 첫걸음 뗀 북핵 대응 전략사령부

막오른 日 이시바 시대, 한일 우호·협력 흔들림 없어야

▲ 이투데이 = 수출 효자 반도체·자동차 이후엔 무엇이 있나

▲ 전자신문 = 사이버 위기 경보 체계 개선해야

▲ 파이낸셜뉴스 = 건군 76년, 한미일 공조 강화로 北도발 억제를

복지부 장관의 사과, 의정 갈등 풀 실마리 돼야

▲ 한국경제 = '병원 쇼핑'에 술술 새는 건보재정, 못 고치면 의료개혁도 차질

상고하저 우려 씻어낸 9월 수출 … 남은 퍼즐은 내수 살리기

첫 단추부터 잘못 끼운 1조 농어촌기금, 기업 팔 비틀기는 그만

▲ 경북신문 = 홍, 정쟁 격화… 정부 여당이 먼저 반성해야

▲ 경북일보 = TK, 골칫거리 빈집 특별 대책 마련해야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요즘이 진드기 물림 많은 시기…"치료 늦으면 생명 위협"
요즘 아침, 저녁으로 선선해진 날씨 덕분에 등산, 성묘, 야외 작업 등 바깥 활동이 늘고 있다. 그러나 이맘때 주의해야 할 건강 적신호가 있다. 바로 진드기 몰림에 의한 감염성 질환이다. 대표적으로는 쓰쓰가무시병,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라임병이 꼽히는데, 제때 발견해 치료하지 않으면 심각한 합병증이나 사망으로까지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고려대 안암병원 감염내과 서진웅 교수는 "가을철 야외활동 또는 작업 시에는 긴소매 옷, 긴 양말로 피부 노출을 줄이고 진드기 기피제를 사용하는 게 바람직하다"면서 "감염이 의심되면 즉시 전문의를 찾아 정확한 감별과 진단을 통해 적절한 치료를 받아야 합병증을 막을 수 있다"고 말했다. ◇ 가을철 대표 풍토병 '쓰쓰가무시병'…피부 중 습한 부위 공격 쓰쓰가무시병은 털진드기 유충에 의해 감염되는 급성 열성 질환이다. 털진드기 유충은 사람이 호흡하는 냄새를 감지해 피부에 붙어 흡혈한다. 이 과정에서 털진드기 유충에 있던 쓰쓰가무시균에 감염되는 것이다. 지난해의 경우 국내에서 총 6천268건의 쓰쓰가무시병이 발생했으며, 이 중 83.7%(5천246건)가 10∼12월에 집중됐다. 털진드기 유충은 주로 팔, 다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