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당發 의대신설 지지에 의료계 반발…여야의정協 참여 중단할까

의료계 "협의체선 정원 조정 얘기, 밖에선 의대 신설" 성토
의협비대委, 의학회 등 협의체 탈퇴 촉구…의대협회 29일 중단 논의

 의대 증원을 둘러싼 의정갈등이 봉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국민의힘이 경상북도 국립의대 신설을 추진한다는 소식에 '반쪽짜리'로 가동되던 여야의정 협의체가 위기에 처했다.

 협의체에 참여 중인 일부 의료계 단체가 거취를 고민하는 가운데 대한의사협회(의협) 비상대책위원회에서도 이들에게 탈퇴를 공개적으로 촉구하고 나섰다.

 28일 의료계에 따르면 의정갈등 해소를 위한 여야의정 협의체가 가동되는 와중에 한동훈 국민의힘 대표가 의대 신설을 지지한다는 발언을 내놓은 데 대한 의료계 내부의 불만이 확산하고 있다.

 익명을 요구한 한 의대 학장은 "협의하는 도중에 한동훈 대표가 경북 국립의대 신설을 얘기하는 게 맞는 일이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의대 학장들 사이에서도 협의체에서는 정원 조정을 얘기하는데 밖에서는 신설을 언급하면 진지한 대화 분위기가 되는 것이냐는 성토가 많다"고 전했다.

 KAMC는 의대 신설에 대한 학장들의 반발 기류 등을 고려해 29일 회의를 열어 협의체 참여 중단 여부 등을 논의할 방침이다.

 의학회 역시 협의체 논의가 더디게 진행되고, 대화 상대인 여당이 의대 신설을 추진하겠다고 밝히면서 고심이 깊어졌다.

 의학회 관계자는 "저희도 (협의체 참여 중단에 대해)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다"며 "어쨌든 요구한 게 잘 되고 있지 않기도 해서 가까운 시일 내에 (협의체 중단 여부를) 논의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의협 비대위가 KAMC와 의학회에 협의체 탈퇴를 거듭 촉구하는 것도 이들로서는 부담스러운 지점이다.

 의료계는 협의체가 정치권의 명분 쌓기에 불과한 게 아니냐는 의구심을 표해왔고, 한 대표의 이번 의대 신설 지지 발언으로 그런 의도가 명확해졌다고 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의협 비대위는 이날 "한 대표의 (의대 신설 지지) 발언은 협의체가 '알리바이용'이라는 걸 스스로 인정한 것이다.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진정성이 전혀 없다"며 "의학회와 KAMC가 알리바이용 협의체에서 나올 것을 요청한다"고 촉구했다.

 박형욱 비대위원장은 지난 22일 비대위 첫 브리핑 당시에도 의학회와 KAMC를 향해 "실제로 회의가 돌아가는 걸 보니 유의미한 결과를 만들어내지 못할 것 같다"며 "의료계 직역이 하나로 모인 비대위가 일을 하니까 무거운 짐을 벗고 거기서 나오시는 게 어떨까 생각한다"고 말한 바 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李대행 "확정된 유급·제적은 철회 없어"…학사유연화 불가 재확인
이주호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은 "각 대학은 7일까지 유급과 제적 대상을 확정해 원칙대로 처리할 것"이라며 "확정된 유급 또는 제적은 철회되거나 취소되지 않는다"고 밝혔다. 이 권한대행은 지난 5일 배포한 '2025학년도 의대 학사에 관해 학생 여러분께 드리는 말씀'에서 "일부 의대 학생들 사이에서 잘못된 주장이 유포되고 있어 바로잡고자 한다"며 이같이 말했다. 정부가 각 의대에 유급·제적 처분 현황을 오는 7일까지 제출하도록 요청한 가운데 일부 의대생들 사이에선 개별 대학이 대규모로 유급 또는 제적하는 건 불가능하다거나, 유급·제적되더라도 추후 학사 유연화 조치 등을 통해 복귀할 수 있다는 주장이 돌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에 이 권한대행이 이를 바로잡고자 지난 2일 대통령 권한대행직을 이어받은 후 처음으로 의대생들에게 공식 메시지를 전달한 것이다. 이 대행은 "추가적인 학사 유연화는 없다는 점을 다시 한번 확인한다"며 "미복귀로 인한 제적 등으로 결원이 발생할 경우 정부는 각 대학이 해당 결원만큼 편입학을 원활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7일이면 2025학년도 교육 대상자가 최종 확정되며, 정부는 이제 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꽃가루 농도 '매우 높음'…비염·결막염 등 알레르기 주의
나들이하기 좋은 따뜻한 봄철엔 불청객인 꽃가루 알레르기도 함께 찾아온다. 기상청에 따르면 최근 서울 등 수도권 일부 지역의 꽃가루 농도 위험지수는 소나무를 기준으로 '매우 높음'이다. '매우 높음'일 때는 거의 모든 꽃가루 알레르기 환자에게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으므로 가급적 외출을 자제하고 실내에 머물러야 한다. 꽃가루는 습하고 흐린 날보다 건조하고 따뜻한 날에 상대적으로 더 많이 날리기 때문에 나들이하기 좋은 날일수록 꽃가루를 더 조심해야 한다. 사실 꽃가루 자체는 몸에 나쁘지 않다. 그러나 우리 몸이 꽃가루를 위험한 물질로 착각해 면역시스템이 과잉 방어를 하면서 염증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것이 바로 꽃가루 알레르기다. 대표적인 알레르기 증상은 비염으로, 꽃가루가 코로 들어가 코안이 붓고 콧물과 재채기가 나온다. 눈이 충혈되고 가려워지는 결막염이나 피부가 빨갛고 가려워지는 피부염, 심한 경우 호흡 곤란으로도 이어지는 기관지 천식도 꽃가루가 동반하는 알레르기 증상이다. 권혁수 서울아산병원 알레르기내과 교수는 "이러한 증상은 대개 같이 오는 경우가 많고 환절기엔 감기도 잘 걸려 비염과 천식이 다 악화하기도 한다"며 "밤부터 새벽에 증상이 더 나빠진다"고

메디칼산업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