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초연금, 노인 빈곤 개선 효과 가장 크나…소득 중 비중 작아

한국노인인력개발원 보고서…기초연금 노인 빈곤율 완화 효과 13.9%
노인 소득 중 공적 이전소득 30%↓…"생활비 스스로 마련해야 하는 상황"

 노인 빈곤 문제 해결을 위한 정부의 여러 정책 중 기초연금 제도의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분석됐다.

 다만 한국 노인 소득 중 기초연금 등 공적 이전소득이 차지하는 비율이 낮아, 노인의 먹고사는 문제는 노동을 통해 스스로 해결해야 하는 개인의 문제로 남아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15일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이 공개한 '노인 일자리 및 사회활동 지원사업 20년사'에 따르면 2022년 한국의 노인 빈곤율은 경제활동의 결과인 시장소득 기준 57.1%다.

 자유롭게 소비나 저축할 수 있는 소득인 처분가능소득을 기준으로 하면 노인 빈곤율은 38.1%다.

 시장소득 기준 빈곤율과 처분가능소득 기준 빈곤율 사이의 차이는 이전소득이 노인 빈곤 완화에 갖는 중요성을 보여준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는 한국의 노인 소득 빈곤율을 회원국 중 가장 높은 40.4%(2020년 기준)로 파악하고 있다. OECD 평균인 14.2%보다 3배 가까이 높다.

 우리나라는 내년에 인구의 20% 이상이 노인인 초고령사회에 진입하고 2035년에 노인 인구가 30%를 넘을 것으로 전망돼 앞으로 노인 빈곤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

 국의 노인 빈곤율이 OECD 회원국 중 1위로 나타났다. 2023.12.19 psik@yna.co.kr

 정부는 노인 빈곤 해소를 위해 '기초연금',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노인 일자리 사업' 등의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이중 기초연금의 노인 빈곤율 개선 효과가 압도적으로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기초연금은 소득 인정액이 일정 수준 이하인 65세 이상 노인에게 지급하는 공적연금으로, 정부는 노인 중 소득 하위 70%에게 지급하는 것을 목표로 매년 선정 기준액을 정한다.

 연금액은 올해 기준 월 33만4천814원이다. 정부는 2026년엔 기준 중위소득 50% 이하 저소득 노인부터 기초연금을 40만원으로 인상해 2027년 전체 수급자에게 월 40만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한국복지패널의 2008∼2018년 자료를 바탕으로 한 연구(김기태 외)에 따르면 기초연금의 노인 빈곤율 개선 효과는 도입 첫해인 2014년 5.2%에서 2018년 13.9%로 대폭 늘어났다.

 반면 연령과 무관하게 저소득 계층에게 급여를 지급하는 기초보장제도의 빈곤율 완화 효과는 2008년부터 2018년까지 2% 안팎을 유지했다.

 노인 일자리 사업의 효과는 2009년 0.0%에서 시작해 2015·2016년 0.5%, 2017년 0.8%, 2018년 1.0%로 점진적으로 증가했다.

 기초연금 등 공적 이전소득은 노인 빈곤율 해소에 효과적이나, 한국 노인의 소득 중 공적 이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낮다.

 작년 한국 노인의 소득원별 구성비를 보면 근로·사업소득 49.3%, 연금이나 정부로부터 받은 공적 이전소득 26.7%, 가족이나 지인에게 받은 사적 이전소득 9.2% 등이다.

 공적 이전소득의 또 다른 축인 국민연금을 수령하는 노인은 2003년 전체 노인의 8%에서 2023년 51.2%로 대폭 증가했으나 노인의 총소득 중 공적 이전소득이 차지하는 비중은 여전히 30% 미만이다

 반면 네덜란드와 프랑스, 독일, 스웨덴 등 유럽 국가는 노인 소득에서 공적 연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이미 2003년에 80∼90%대였다.

 한국노인인력개발원은 "이는 은퇴 후 연금으로 생활이 가능한 스웨덴, 독일, 프랑스 등의 노인과 달리 한국 노인은 생활을 위한 재원을 노동으로 스스로 마련해야 하는 상황임을 의미한다"고 분석했다.


의료.병원,한방

더보기
필수의료 의사 '사법부담' 정말 심할까…정부 연구분석 착수
응급·분만 등 필수의료 의사들이 주장하는 '사법 리스크'의 근거가 불분명하다는 지적이 나오자 정부가 의료사고 관련 판례 연구에 착수했다. 15일 의료계와 법조계에 따르면 보건복지부는 최근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에 의료사고 관련 판례를 수집해 분석하는 내용의 연구 용역을 발주했다. 정부 의료개혁의 핵심 과제 중 하나인 '의료사고 시 의료진 사법 리스크 완화' 추진을 위해서는 명확한 근거가 필요하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지난 4월 출범한 대통령 직속 의료개혁특별위원회(의개특위)는 산하에 의료사고안전망 전문위원회를 두고 의료사고처리특례법의 구체적 도입 방안을 논의해왔다. 의료사고처리특례법은 의료인이 보험·공제에 가입하면 의료사고 시 공소 제기를 당하지 않도록 면제해주는 내용을 담은 법안이다. 올해 초 나온 특례법 초안은 피해를 전액 보상하는 종합보험에 가입했다면 피해자가 원하더라도 소 제기를 할 수 없고, 응급·분만 등의 경우 중상해에도 공소를 제기할 수 없도록 해 논란이 일었다. 환자단체 등의 반발이 거세자 정부는 공청회와 의개특위 논의를 거쳐 '경과실에 한해 기소 면책'이라는 방침을 수립했다가, 결국 "보험 가입에 따른 (기소 면제 등) 형사 특례는 논의하지

학회.학술.건강

더보기
겨울철 단골손님 '요추염좌'…"따뜻하게 입으세요"
겨울철이면 허리 통증을 호소하는 사람들이 늘어난다. 추운 날에는 척추를 둘러싼 근육과 인대가 뻣뻣해지면서 뼈와 신경조직을 압박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성 척추질환 증상이 겨울에 더 악화하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다. 허리 통증에서 대표적인 것은 '급성요추염좌'다. 흔히 허리를 '삐끗'하면서 갑작스럽게 통증이 생겼다고 말하는 게 대부분 이 질환이다. 급성요추염좌는 허리뼈를 연결하는 인대가 갑자기 늘어나거나 찢어져 발생한다. 허리를 과도하게 움직이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 때, 잘못된 자세나 허리에 부담이 되는 자세로 오랫동안 앉아 있을 때 발생할 수 있다. 빙판길에서 균형을 잡으려고 허리에 힘을 줬을 때 생기기도 한다. 비만 역시 요추염좌의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된다. 요즘 같은 추운 날씨에도 급성요추염좌를 주의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요추염좌는 움직일 때 극심한 통증을 동반한다. 심호흡이나 재채기할 때 통증이 심해지며, 근육 경직이 나타나면서 경직된 쪽으로 자세가 기울어지기도 한다. 통증이 발생한 부위를 누르면 심한 통증이 나타나고, 자세를 바꿀 때마다 통증 강도가 달라지는 것도 특징이다. 요추염좌는 보통 X-선 검사 등을 통해 신경학적 이상 증상 없이 허리 통증만 있

메디칼산업

더보기